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역사 : 빛과 프리즘 그리고 무지개 = The history of the beginning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 the light, the prism and the rainbow / 저자 : 조세환,구영일,오정학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역사 : 빛과 프리즘 그리고 무지개 = The history of the beginning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 the light, the prism and the rainbow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역사 : 빛과 프리즘 그리고 무지개 = The history of the beginning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 the light, the prism and the rainbow / 저자 : 조세환,구영일,오정학
  • ·발행사항 서울 : 기문당, 2018
  • ·형태사항 361 p.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23 cm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257922  93300: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25.90911  듀이십진분류법-> 712.09519  
  • ·주제명 조경(예술)[造景]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조세환,구영일,오정학 2018 SE0000509306 525.90911-19-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조세환,구영일,오정학 2018 SE0000509307 525.90911-19-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헌정사-3
추천사-4
서문 : 왜 현대조경인가?-13
01.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다큐멘터리 : 청와대 10년(1970∼1979)의 대통령 문서 기록-17
  1. 1970-1971 년의 기록-18
    1.1 고속도로건설-19
    1.2 사적지 정화-20
    1.3 공공시설의 환경 조성-24
    1.4 국립공원과 관광개발-24
    1.5 개발제한구역-25
  2. 1972∼1973년의 기록 _ 청와대 조경담당관제 신설-26
    2.1 조경에 관한 세미나-26
    2.2 오휘영의 청와대 임용-28
    2.3 홍릉 주변 녹화 및 도로조경사업-32
    2.4 공장녹지조성 제도 확립 _ 산업시설 조경의 착수-33
    2.5 공공시설 조경-36
    2.6 국가 중요사적지 정화 착수-39
    2.7 대규모 관광개발 착수-42
    2.8 표토관리의 합리화-43
    2.9 박정희 대통령의 조경 관련 현장 지시사항-48
  3. 1974∼1975년의 기룩-50
    3.1 한국종합조경공사설립-51
    3.2 사적지 성역화사업 추진-53
    3.3 공공시설 조경-58
    3.4 산업단지 조경 제도화 추진상황 보고-60
  4. 1976∼1977년의 기록-62
    4.1 국립묘지 및 사관학교 조경-62
    4.2 관광개발-67
    4.3 산업단지ㆍ시설의 공원화-67
    4.4 특정지역조경-69
  5. 1978∼1979년의 기록-71
    5.1 산업단지ㆍ시설 조경-72
    5.2 신행정수도 건설과 조경계획-74
    5.3 육군훈련소 연무대 조경 완료-75
02. 한국 산업화와 현대조경의 태동 : 대통령 박정희와 현대조경 태동의 함수관계-81
  1. 1972.4.18일 청와대 조경세미나 개최와 5.2일 조경담당비서관 임명-83
  2. 조경 태동 배경으로서의 산업문명 고찰-84
    2.1 산업문명의 개념과 특징-84
    2.2 산업문명의 패러다임-86
    2.3 산업문명의 경관특성-87
  3. 산업화와 미국조경의 태동 :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백 미러(back-miiror)-88
    3.1 미국과 한국 산업화의 특성 비교-88
    3.2 옴스테드와 미국 조경의 태동, 그리고 전개-91
  4. 한국 산업화와 현대조경 태동 _ 배경, 특징, 그리고 정체성-95
    4.1 한국 산업화 과정과 특징-95
    4.2 산업화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조경 태동과 일제 강점기 조원(造圍)과 공원의 맥락-98
    4.3 산업화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정체성 고찰-100
  5. 대통령 박정희의 자연애호관과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함수관계-104
    5.1 대통령 박정희의 자연애호관 _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유전 형질-104
    5.2 박정희와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함수관계에 대한 관점-112
    제2장 미주 : 재미있는 읽을거리-125
03.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지휘자 : 조경가 오휘영 _ 청와대 조경담당비서관-129
  1. 한국 현대조경 태동의 우연성-130
    1.1 조경가 오휘영의 청와대 조경 브리핑-130
  2. 한국현대조경 태동의 프리즘이 되다 _ 오휘영의 청와대 조경담당비서관 취임-136
  3. 오휘영의 한국현대조경 전개 과정의 역할-142
    3.1 교육제도 구축-142
    3.2 조경 전문산업의 태동 _ 한국종합조경공사의 설립과 관련 산업 및 기술용역제도 구축-154
    3.3 공공기관 조경직제 구축 및 조경단체 설립-162
    3.4 조경 미디어의 발간 및 녹색조경문화포털 설립 _ 환경과 조경 및 라펜트-163
    3.5 오휘영의 조경 작품 및 참여 프로젝트와 후학 양성-166
  4. 한국 현대조경 태동과 전개의 성과 _ 미국 조경과의 비교 분석-169
    제3장 미주 : 재미있는 읽을거리-182
04. 한국조경의 대학교육-183
  1. 한국조경학회 창립-184
  2. 대학원 조경학과 개설-185
  3. 조경교재 발간-197
    제4장 미주 : 재미 있는 읽을거리-200
05. 한국 현대조경 산업 관련 제도의 시작과 전개-203
  1. 한국종합조경공사 설립-204
  2. 조경공사업 면허제도의 시작-208
  3. 조경기술자격 면허의 시작(국가기술자격법 개정)-217
  4. 조경 분야 전문용역업의 시작(기술용역육성법)-218
    제5장 미주 : 재미있는 읽을거리-222
06. 한국 현대조경 직제의 시작과 전개-225
  1. 한국종합조경공사 설립-226
    1.1 조경직제 도입의 시작-226
  2. 공무원 조경직제의 추진 _ '조경의 날 선정' 과 '조경대상' 시상-234
    2.1 조경직제 추진-234
    2.2 조경의 날 선정 및 조경대상 시상-238
    2.3 '조경의 날' 지정 문제 발생-241
    제6장 미주 : 재미있는 읽을거리-246
07. 한국 현대조경 단체 설립의 시작과 전개-249
    제7장 미주 : 재미있는 읽을거리-258
08. 한국 현대조경 법제의 추진-261
  1. 조경기본법 제정 추진 _ 좌절을 맛보다-262
  2. 조경진흥법 제정-265
    2.1 조경진흥법 제정 추진경위-265
    [조경산업 진흥법 제정의 배경과 주요 내용]-268
09. 국제적 교류 및 활동-291
  1. 세계조경가협회(IFLA)-292
    1.1 가입과 참가 시작-292
    1.2 한국조경가의 IFLA 임원의 활동 시작-294
    1.3 제29차 IFLA 한국총회 개최-300
    1.4 아시아지역과 교류의 시작-307
    1.5 2009 세계조경가협회 아시아ㆍ태평양 지역(IFLA-APR) 인천 총회 개최-311
    1.6 2010 제47차 IFLA 총회 참가-314
    1.7 국제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행정연맹 한국위원회(IFPRA :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창립 및 국제학술세미나 개최-315
    1.8 20101 IFPRA 총회참석-319
    1.9 Landscape Urbanism 국제 심포지엄 개최-319
    1.10 해외 조경상 수상의 시작-322
    1.11 해외 한국정원의 시작인가? 유행인가? 한류인가?-325
    1.12 한국조경시설물의 해외 진출 시작-330
    제9장 미주 : 재미있는 읽을거리-333
10. 한국조경 미디어의 태동과 전개-337
    제10장 미주 : 재미있는 읽올거리-342
11. 한국 현대조경 전개기의 역동적 운동 전개-343
  1. 전국토 공원화 운동-344
  2. 조경살리기 운동-345
  3. 조경관련 시민운동의 시작-350
    제11장 미주 : 재미있는 읽을거리-352
종결 : 빛과 프리즘 그리고 무지개-355
찾아보기-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