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정신장애 치료와 재활을 위한) 인지재활 : 치료자 지침서 / Alice Medalia,Nadine Revheim,Tiffany Herlands 공저 ;최기홍,박용천,장선경 공역
(정신장애 치료와 재활을 위한) 인지재활 : 치료자 지침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정신장애 치료와 재활을 위한) 인지재활 : 치료자 지침서 / Alice Medalia,Nadine Revheim,Tiffany Herlands 공저 ;최기홍,박용천,장선경 공역
  •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8
  • ·형태사항 194 p. :삽화 ;26 cm
  • ·주기사항 원표제:Cognitive remediation for psychological disorders :therapist guide
    권말부록: 의뢰서 양식 등
    참고문헌: p. 191-194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9715570  9318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6.5  듀이십진분류법-> 616.89  
  • ·주제명 심리 치료[心理治療]정신 장애[精神障碍]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Alice Medalia,Nadine Revheim,Tiffany Herlands 공저 ;최기홍,박용천,장선경 공역 2018 SE0000508764 186.5-19-4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Alice Medalia,Nadine Revheim,Tiffany Herlands 공저 ;최기홍,박용천,장선경 공역 2018 SE0000508765 186.5-19-4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역자 서문-3
서문-7
제1장 치료자를 위한 기본 정보-15
  인지재활이란 무엇인가-15
  왜 정신과 환자에게 인지재활을 제공해야 하는가-16
  어느 시기에 정신과 환자에게 인지재활을 제공해야 하는가-19
  인지재활은 어디에서 제공해야 하는가-20
  인지적 결함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은-20
제2장 치료의 원리-23
  NEAR의 목표-23
  NEAR 프로그램의 구조에 대한 소개-24
  NEAR 회기의 예시-26
  이론적 근거-27
  효과성 연구-36
제3장 인지재활 프로그램 세팅하기-43
  세팅-44
  장비 및 치료도구-44
  컴퓨터 구매-46
  인지훈련 과제 구비하기-46
  인지훈련 프로그램 이름 짓기-47
  스태프 훈련 및 슈퍼비전-48
  환자 선발-51
  치료팀과의 의사소통-53
  인지훈련 서비스 제공 준비를 위해 걸리는 시간-54
  인지훈련에 내담자를 의뢰하는 과정-56
  의뢰과정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57
제4장 적절한 소프트웨어 고르기-61
  소프트웨어 선택-61
  목표 인지 영역-68
  내담자에게 요구되는 기초적 기술-71
  과제 목표의 특성-72
  내적 동기와 과제 관여를 높이기-73
제5장 초기면접과 평가-81
  내담자와의 만남-82
  공식ㆍ비공식적 평가-84
  초기면접 시 발생하는 일반적인 상황-89
  일정 설정하기-90
제6장 치료 계획-91
  치료 목표가 될 인지적 손상을 파악하라-91
  구조화의 필요성을 파악하라-92
  내담자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과제를 파악하라-92
  수정이 필요한 학습 유형을 파악하라-93
  적절한 난이도를 파악하라-93
  내담자의 주의 유지력을 파악하라-94
  컴퓨터 사용 훈련의 필요성을 파악하라-94
  회기의 빈도와 시간을 확인하라-94
  훈련에 사용할 소프트웨어를 파악하라-95
  적절한 집단학습 환경을 파악하라-96
  초기 치료 단계에서의 치료 계획에 대한 일반적인 조언-97
  치료 단계 전반에 걸쳐 치료 계획을 이끌기 위한 과제 접근 분석의 활용-97
  치료 계획 견본-103
제7장 세부적인 인지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전략-107
  주의와 작업기억 훈련-107
  기억력 훈련-108
  문제해결 능력 훈련-110
  학습을 촉진하기 : 임상가는 얼마나 관여해야 하는가-114
  안내 질문 전략-115
제8장 치료 단계-119
  시작 단계-119
  치료의 중간 단계-128
  치료의 마지막 단계-132
  사례(계속해서 마리아의 사례)-133
제9장 브릿지 그룹-137
  상위인지 그룹-138
  인지 기술 향상 그룹-148
  요약-156
제10장 어려운 치료 상황 다루기-159
  계속 움직이는 내담자-159
  마우스 조작을 잘 못하는 내담자-161
  계속 지각하고 결석하는 내담자-162
  계속해서 피드백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165
  한 가지 활동만 하기를 원하는 내담자-169
제11장 프로그램 평가-171
  프로그램의 활용성 평가-171
  프로그램의 질 평가-175
  요약-176
부록-179
참고문헌-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