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교육평가의 이해 = Educational evaluation / 저자 : 박휴용
교육평가의 이해 = Educational evaluation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교육평가의 이해 = Educational evaluation / 저자 : 박휴용
  • ·발행사항 파주 : 정민사, 2018
  • ·형태사항 247 p. :삽화 ;25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35-243)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095897  93370: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3.7  듀이십진분류법-> 371.26  
  • ·주제명 교육 평가[敎育評價]표준화 검사[標準化檢査]지능 검사[知能檢査]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박휴용 2018 SE0000508509 373.7-19-7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박휴용 2018 SE0000508510 373.7-19-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3
Ⅰ. 교육평가의 기초 
  1. 교육평가란 무엇인가?-15
    1) 측정과 평가-15
    2) 교육평가의 영역과 기능-18
    3) 평가의 성격 변화-21
  2. 교육평가의 유형-22
    1)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22
    2) 교수학습 과정에 따른 분류-26
  3. 평가의 모형-28
    1) 목표달성 모형-29
    2) 정보처리 모형-32
    3) 판단중심(의사결정) 모형-35
    4) 자연주의 모형-41
    5) 기타 평가모형-44
  4. 평가의 준거-9
    1) 타당도-49
    2) 신뢰도-50
    3) 객관도와 실용도-55
    4) 절대기준평가에서의 타당도 추정 방법-55
    5) 수행평가에 대한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58
Ⅱ. 표준화 검사의 이해 
  1. 표준화 검사란 무엇인가?-65
    1) 표준화 검사의 유래-65
    2) 표준화 검사의 적용-66
    3) 표준화 검사의 문제점-67
  2. 표준화 검사를 둘러싼 논쟁들-76
    1) 표준화 검사의 옹호론-76
    2) 표준화 검사의 비판론-81
    3) 고부담 표준화 검사의 교육적 해악-84
  3. 표준화 검사의 정치학-88
    1) 표준화 검사의 보급 배경-88
    2) 표준화 검사와 NCLB의 등장-90
    3) 표준화 검사에 대한 저항-91
Ⅲ. 지능검사의 이해 
  1. 지능검사의 탄생-97
    1) 표준화 검사와 근대적 학교의 만남-97
    2) 집단 지능검사의 보급과정-99
    3) 결정론적 지능관-102
  2. 지능에 대한 상이한 해석 : Murray(2008) 논쟁-104
    1) 개인별 능력차에 대한 Murray의 주장-104
    2) 집단 내 학력 차이에 대한 Murray의 주장-105
    3) IQ와 학업능력의 관련성-108
  3. 표준화 지능검사의 본질-110
    1) 지능검사의 우생학적 기반-110
    2) 지능의 유전성에 대한 편견-112
    3) 지능검사의 인종ㆍ문화적 편향성-115
Ⅳ. 실제 평가의 분석 
  1. PISA 평가-123
    1) PISA 평가의 개요-123
    2) PISA 평가의 성격-127
  2. TIMSS 평가-134
  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검사-137
  4. 대학수학능력평가-140
    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140
    2) 수능을 둘러싼 논란과 문제점-142
    3) 수능 개선방안-145
Ⅴ. 대안적 평가 
  1. 대안적 평가의 등장배경-153
    1) 표준화 검사의 문제점-153
    2) 대안적 평가의 필요성-154
    3) 평가의 다양한 접근법-156
  2. 비형식적 평가의 이해와 실천-160
    1) 교수적 대화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161
    2) 교수적 대화의 개념화와 실천조건-162
    3) 교수적 대화의 구조와 실행단계-164
    4) 비형식적 형성평가의 연구와 실천-171
  3. 형성평가-176
    1) 형성평가의 등장배경-176
    2) 형성평가의 성격과 역할-178
    3) 형성평가 실천을 위한 기본 원칙과 전략들-179
    4) 형성평가 실천을 위한 교사 역할과 교사 교육-180
    5) 형성평가의 실천 사례 분석 : 교사 피드백 연구-182
  4. 수행평가-188
    1) 수행평가의 개념 및 특징-189
    2) 수행평가의 유형-193
    3) 수행평가의 성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평가의 객관성-201
    4) 수행평가의 문제점 개선방안-204
  5. 새로운 평가방식의 시도-209
    1) 성취평가제-209
    2) 표준기반평가-214
    3) 성장평가-223
나가는 말 : 평가의 미래-230
참고문헌-235
찾아보기-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