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고전문학 교육의 중심과 주변 / 지은이 : 한창훈
고전문학 교육의 중심과 주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고전문학 교육의 중심과 주변 / 지은이 : 한창훈
  • ·발행사항 전주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 ·형태사항 369 p. :도표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54-369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3720287  0380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7  듀이십진분류법-> 895.707  
  • ·주제명 고전 문학[古典文學]교육 이론[敎育理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한창훈 2019 SE0000496694 810.7-19-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한창훈 2019 SE0000496695 810.7-19-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 머리에-5
Ⅰ. 문학교육의 현상과 지형 
  제1장 평생교육 사회와 문학교육-11
  제2장 문학교육의 위계성과 차별성-37
  제3장 문학교육과 공동체적 연대감-68
Ⅱ. 고전문학 교육의 다층적 양상 
  제1장 고전문학 교육 연구 동향과 전망-89
  제2장 고전시가 교육 연구 방법론의 재검토-111
  제3장 고전시가 교육과 시각 매체-134
  제4장 사범대학 학습자 관점을 통해 본 고전문학의 재미 고찰-155
Ⅲ. 조선시대 문학의 다각적 해석 
  제1장 '계해반정'에 대한 향반층의 문학적 대응-171
  제2장〈오륜가〉에 나타난 '우정'에 대한 인식과 그 양상-200
  제3장〈만분가〉: 초기 유배가사의 정서 표출 양상-213
  제4장〈만언사〉: 후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자기 연민의 시선-224
  제5장〈선상탄〉과〈누항사〉, 표현의 사실성과 문제 해결의 관념성-236
  제6장〈소유정가〉의 구성 방식과 문학적 가치-249
  제7장 '계몽'과 '소통'의 변증법적 논리 성찰 : 고은지,『계몽가사의 소통환경과 양식적 특징』(보고사, 2009)-256
Ⅳ. 주변에서 중심 파악하기 
  제1장 제주학, 무엇을 어떻게 품어야 하는가?-269
  제2장 제주 유배 체험과 그 문화적 성격-289
  제3장 제주인의 동아시아 인식과 그 의미-310
  제4장〈瀛州十景歌(영주십경가)〉: 제주의 절경 돌아보기-328
  제5장 '검은바다'와 더불어 사는 사람들 이해하기 : 김영돈,『한국의 해녀』(민속원, 1999)-337
제6장 '중심'과 '주변'의 문화 변증법적 논리 : 허남춘,『 제주도 본풀이와 주변 신화』(보고사, 2011)-345
참고문헌-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