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법화경』의 삼보(三寶) 구조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하영수 저
『법화경』의 삼보(三寶) 구조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법화경』의 삼보(三寶) 구조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하영수 저
  • ·발행사항 서울 : 씨아이알, 2019
  • ·형태사항 xiv, 290 p. ;23 cm
  • ·총서사항 (불교연구총서 ;16)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65-279)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107620  9322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223.54  듀이십진분류법-> 294.382  
  • ·주제명 묘법 연화경[妙法蓮華經]삼보(불교)[三寶]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하영수 저 2019 SE0000492594 223.54-19-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I. 서 론 
1. 대승경전의 ‘사상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3
1) 근대 이후의 대승불교 연구에 대한 검토 -5
2) 『법화경』의 성립사적 연구에 대한 평가 -11
3) 본 연구의 관점 -17
2. 연구의 목적 -22
1) 문제의 제기 -22
2) 『법화경』의 삼보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5
3) 『법화경』을 바라보는 시선들 -27
3. 연구 방법 -30

II. 삼보(三寶) 개념과 『법화경』의 비밀의 해석학 
1. 삼보 개념에 대한 개관 -43
2. 『법화경』 논리 구조의 특징 -57
1) 현상과 본질의 이중 구조 -57
2) 비밀로서의 『법화경』 -63
3. ‘비밀’의 용례에 대한 검토 -68
1) rahasya의 용례에 대한 검토 -68
2) guhya의 용례에 대한 검토 -73
4.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비밀의 세 가지 요건 -77

III. 『법화경』의 삼보와 비밀 
1. 법(法)의 비밀을 밝힘 -91
1) 일불승(一佛乘)의 교설 -92
2) 비밀로서의 일불승 -95
2. 불(佛)의 비밀을 밝힘 -99
1) 붓다의 영원성(永遠性) -99
2) 붓다의 변재성(遍在性) -104
3) 붓다의 본질 -109
3. 승(僧)의 비밀을 밝힘 -110
1) 부촉(付囑, nik?epa)의 두 대상-‘종지용출 보살’과 ‘영산회상의 보살’ -111
2) 두 번의 ‘부촉(付囑)’-‘별부촉’과 ‘총부촉’ -114
3) 두 그룹의 보살들의 관계 -119
4) 궁극적인 승보 -121
4. 『법화경』의 삼보와 『대반열반경』 -128
5. 소결 -132

IV. 불보(佛寶)의 재해석-석가모니 붓다의 보살행 
1. 문제의 소재 -143
1) 불교사에 있어서 보살행의 의의 -143
2) 『법화경』에 있어서 석가모니 붓다의 보살행 -145
3) 「여래수량품」의 문제의 경문 -146
2. 범어본에 의한 해당 구절의 재해석 -152
1) 범어 사본에 의한 원문확정 -152
2) 경전의 문맥에 의한 확인 -156
(1) 구원실성불(久遠實成佛)의 보살행 -156
(2) 가야근성불(伽倻近成佛)의 보살행 -161
3. 불보의 의미-석가모니 붓다의 현재진행형 보살행 -165
1) 석가모니 붓다의 서원과 예토성불-『비화경』의 설명 -165
2) 석가모니 붓다의 예토교화와 「신해품」 -168
3) 『법화경』에서의 Padma와 Pu??ar?ka -170
 (1) Padma, 종지용출의 보살 -172
(2) 종지용출 보살의 보살행 -173
(3) Pu??ar?ka는 누구인가?-예토에서 교화하는 석가모니 붓다 -178
(4) Saddharmapu??ar?ka의 의미-정법에 대한 붓다의 보살행 -186
4. 열반 후의 붓다 -190
1) 여래의 실재 -191
(1) 영취산에서의 영원한 설법 -191
(2) 생사의 초월 -192
2) 여래의 부재 -197
5. 소 결 -201

V. 승보(僧寶)의 재해석-여래의 대리인, 법사(法師) 
1. 붓다의 열반과 법사 존재의 요청 -213
2. 법사에 대한 기존의 해석 -214
3. 문제의 진단-법사에 대한 개념정의의 부재와 그 위상(位相) -222
4. 『팔천송반야경』의 법사 개념 -227
1) 법사의 정의-법의 체화(體化) -227
2) 법의 체화자로서의 법상(法上)보살 -230
3) 체화의 방법 -233
4) 법사의 위상 -234
5. 『법화경』 「법사품」의 법사 개념 -236
1) 법사에 대한 명확한 규정 -237
2) 법사의 위상 -239
3) 『법화경』에서 법의 체화 -243
6. 소결 -244

VI. 결 론
참고문헌 -265
찾아보기 -280
저자소개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