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 김명혜,백미숙,나영,김성윤,이종임,한희정,이소현,홍지아,홍숙영,이경숙,홍현영,김수아 지음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 김명혜,백미숙,나영,김성윤,이종임,한희정,이소현,홍지아,홍숙영,이경숙,홍현영,김수아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출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9
  • ·형태사항 322 p. :도표 ;23 cm
  • ·총서사항 (여성커뮤니케이션 연구총서 ;15)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03-322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8903411  93300: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7.2  듀이십진분류법-> 305.42  
  • ·주제명 매체[媒體]페미니즘[feminism]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명혜,백미숙,나영,김성윤,이종임,한희정,이소현,홍지아,홍숙영,이경숙,홍현영,김수아 지음 2019 SE0000491503 337.2-19-7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명혜,백미숙,나영,김성윤,이종임,한희정,이소현,홍지아,홍숙영,이경숙,홍현영,김수아 지음 2019 SE0000491504 337.2-19-7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먼 길을 왔지만 그래도 아직 갈 길은 멀다 _ 김명혜 -5

1부 페미니즘과 젠더: 역사와 개념 

1장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와 젠더 현실 _ 백미숙 -21
1. #우리에게도 계보가 있다 -21
2. 1980년대 사회변혁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들’ -25
3. 여성운동의 정치세력화와 ‘여성 일반’의 정체성 형성 -29
4. 영페미니스트 문화운동과 반성폭력 연대 운동의 여성주의 정체성 -33
5. 2000년대 차이의 정치학과 ‘신생 여성주의운동’ -39
6. 신자유주의 ‘백래시’와 여성운동의 위기 -44
7. 신자유주의 여성 주체의 정치성과 온라인 페미니즘 -47
8. 지금, 여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페미니즘 -51

2장 퀴어 이론과 교차성 _ 나영 -55
1.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 -56
2. Born this way? 성소수자 권리 운동과 정체성의 한계들 -65
3. 퀴어와 교차성 -70
4. 교차성과 퀴어를 다루는 미디어의 태도와 변화 -73

3장 남성성 이론과 한국의 남성성 _ 김성윤 -79
1. 남성성의 위기? -79
2. 가부장제적 지배의 역사 -81
3. 남자 만들기: 젠더 사회화와 수행 -86
4. 남성성의 발생: 남성 경제와 동성 사회성 -91
5. 남성성의 분해: 젠더 위계, 그리고 패권의 황혼 -96
6. 젠더 질서의 위기 -102

2부 미디어와 페미니즘 이슈 

4장 방송사의 조직 문화, 노동 그리고 젠더 _ 이종임 -109
1. 조직 문화 탐구가 필요한 이유 -109
2. 미디어 조직의 위계적 성별화 -112
3. 방송사의 불균등한 성비 -116
4. 방송사 여성 인력의 노동 환경 -121
5. 성평등한 조직 문화 구축을 위해 필요한 것 -129

5장 미디어와 성폭력 _ 한희정 -133
1. ‘성폭력’의 개념과 이해 -133
2. 성폭력 사건 보도의 문제와 개선책 -138
3. 드라마의 성폭력 재현 -148
4. 영화의 성폭력 재현 -154
5. 성폭력 사건의 불편한 보도와 재현, 비판적으로 맞서기 -160

6장 미디어의 다문화 재현과 젠더 _ 이소현 -165
1.다문화사회와 미디어 -165
2. 다문화주의란 무엇인가? -167
3. 한국적 다문화주의-이주민, 순혈주의, 그리고 젠더 -171
4. 한국 미디어와 다문화 주체의 재현 -175
5. 다문화사회의 미디어와 문화적 다양성 -184

7장 미디어가 재현하는 여성과 남성 _ 홍지아 -188
1. 실재와 재현 사이 -188
2. 사적 공간의 여성, 공적 공간의 남성 -191
3. 상징적 소멸과 반영가설 -194
4. 미디어의 젠더 재현 -197
5. 다시, 실재와 재현 사이 -206

8장 몸과 젠더 정치, 그리고 저항 _ 홍숙영 -209
1. 몸과 젠더 정치 -209
2. 몸의 소외와 여성의 배제 -215
3. 인구 정책과 몸에 대한 개입 -217
4. 노동 현장: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성적 착취 -219
5. 사적 저항에서 공적 저항으로 -221
6. 저항과 미디어의 재현 -224
7. 저항을 넘어 -226

9장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과 젠더 _ 이경숙 -230
1. 텔레비전 오락의 일상생활 전유 -230
2. 리얼리티 오락 프로그램의 관찰과 젠더 재현 -234
3. 먹방·쿡방의 남성들과 젠더 -239
4. 오락 프로그램에서 재현되는 소년·소녀 아이돌의 섹슈얼리티 -243
5. 오락 프로그램의 여성 임파워먼트 -248

10장 게임 문화와 젠더 정치 _ 홍현영 -254
1. 게임 속 젠더적 재현 양식 -256
2. 소비되는 서사 -262
3. 게임을 둘러싼 젠더 갈등 -268
4. 새로운 게임 문화를 바라며 -276

11장 디지털 미디어 시대 여성주의운동 _ 김수아 -279
1. 디지털 미디어 세계와 여성 -279
2.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여성운동 방식 -287
3. 제4물결 페미니즘과 그 의미 -299

 참고문헌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