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비교발전 행정론 = Comparative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세계 각국의 발전경험 비교와 한국의 발전전략! / 지은이 : 이도형,김정렬
비교발전 행정론 = Comparative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세계 각국의 발전경험 비교와 한국의 발전전략!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비교발전 행정론 = Comparative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세계 각국의 발전경험 비교와 한국의 발전전략! / 지은이 : 이도형,김정렬
  • ·판사항 제4판
  •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9
  • ·형태사항 xix, 512 p. ;26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65-506)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307176  93350: \3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50  듀이십진분류법-> 351  
  • ·주제명 비교 행정론[比較行政論]발전 행정[發展行政]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이도형,김정렬 2019 SE0000488123 350-19-9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이도형,김정렬 2019 SE0000488124 350-19-9=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편 비교발전행정 일반론
  제1장 비교발전행정의 개념과 역사
    Ⅰ. 비교발전행정의 개념-3
    Ⅱ. 비교발전행정 연구의 역사 : 진화단계별 특성-6
    Ⅲ. 비교발전행정 연구의 새로운 방향-17
  제2장 비교발전행정의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국가발전의 지향점 모색과 비교방법
    Ⅰ. 연구대상 : 국가발전의 진면목 찾기-21
    Ⅱ. 연구방법 : 비교연구 방법론의 기원과 전개-55
  제3장 발전이론과 발전실제의 분석
    Ⅰ. 서구 발전이론으로서의 근대화론-73
    Ⅱ. 근대화론에 의거한 개발도상국들의 발전실제 분석-77
    Ⅲ. 남미의 종속이론-80
    Ⅳ. 현대 발전이론들의 이론적 시사점과 발전전략적 함의-87
제2편 세계 각국의 발전전략과 행정개혁에 관한 비교분석
  제4장 비교분석의 방법론 : 기본가정과 분석틀
    Ⅰ. 기본가정-103
    Ⅱ. 분석틀-104
    Ⅲ. 주요 분석대상국가의 개관-111
    Ⅳ. 과제작성과 참고자료 예시-112
  제5장 미국 : 공공관리의 역동성과 거버넌스의 다충성 및 발전전략의 성찰
    Ⅰ. 개관-115
    Ⅱ. 미국 행정의 역사제도적 기반-116
    Ⅲ. 미국 정부조직구조 : 공공관리의 역동성-118
    Ⅳ. 미국의 발전전략 : 거버넌스의 다층성-122
    Ⅴ. 미국 발전전략의 성찰과 향후 발전과제-128
    Ⅵ. 미국 행정개혁의 기원과 동향-135
  제6장 영국 : 신우파와 신좌파의 발전전략과 행정개혁
    Ⅰ. 개관-139
    Ⅱ. 영국 행정의 기원과 특성-140
    Ⅲ. 영국 신우파와 신좌파의 발전전략 비교-146
    Ⅳ. 영국 신우파와 신좌파의 행정개혁 비교-150
  제7장 유럽 국가들의 시련과 영광 : 쇠퇴한 맹주와 부상한 강소국
    Ⅰ. 개관-158
    Ⅱ. 쇠퇴해가는 서유럽의 맹주 : 독일과 프랑스-158
    Ⅲ. 북유럽 복지국가의 건실한 보루 : 스웨덴-167
    Ⅳ. 세계화의 도전과 강소국의 대응 : 네덜란드, 아일랜드, 스위스-174
  제8장 일본 : 관료중심 행정의 공과와 미래
    Ⅰ. 개관-190
    Ⅱ. 일본 행정의 역사제도적 기반-191
    Ⅲ. 현대 일본의 행정제도와 정책결정패턴-192
    Ⅳ. 일본의 발전전략과 행정개혁-197
  제9장 싱가포르 : 관리국가의 행정제도적 특성과 발전전략
    Ⅰ. 개관-203
    Ⅱ. 싱가포르 관리국가의 기원과 특성-204
    Ⅲ. 싱가포르의 행정제도와 행정개혁-213
    Ⅳ. 세계화의 도전과 싱가포르의 발전전략-216
  제10장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과거와 미래
    Ⅰ. 개관-227
    Ⅱ. 동아시아의 고도성장과 제도의 역할-229
    Ⅲ.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실상과 본질-234
    Ⅳ. 한국형 발전국가의 미래상 모색-240
  제11장 사회주의를 경험한 대륙규모 국가의 발전전략 : 중국, 인도, 러시아
    Ⅰ. 개관-242
    Ⅱ. 사회주의 패권국가였던 러시아와 중국의 체제전환 비교-243
    Ⅲ. 대륙규모 국가군의 발전전략 : 중국, 인도, 러시아-252
  제12장 제3세계 국가의 실패와 도전 : 아르헨티나, 필리핀, 쿠바, 베네수엘라 
    Ⅰ. 개관-260
    Ⅱ. 제3세계 국가들의 저발전 원인에 관한 분석시각-261
    Ⅲ. 제3세계 국가의 실패사례 분석 : 아르헨티나와 필리핀-270
    Ⅳ. 제3세계 국가의 발전가능성 탐색 : 쿠바와 베네수엘라-277
  제13장 비교분석의 종합과 교훈 : 신공공관리의 공과와 비교발전행정의 대응과제
    Ⅰ. 개관-281
    Ⅱ. 신공공관리적 행정개혁의 성과와 문제점-282
    Ⅲ. 세계화 및 행정학 위기에 대한 비교발전행정의 대응과제-291
제3편 세계화 시대 한국의 국가 발전전략
  제14장 세계화의 이해와 세계화 흐름 관리하기 
    Ⅰ. 세계화의 개념과 그 명암-303
    Ⅱ. 자본 세계화의 방식 : 터보, 카지노, 카우보이 자본주의-312
    Ⅲ. IMF 관리체제 하의 구조조정과 그 정치, 경제, 사회적 비용-316
    Ⅳ. 자본세계화에 대한 대안적 세계화 논의-323
    Ⅴ. 관리적 세계화의 필요성과 국민국가의 존재이유-333
  제15장 세계화의 시대적 정언명령 제대로 읽기 
    Ⅰ. 관리적 세계화를 위한 국가 발전전략의 재구성-340
    Ⅱ. 세계화의 시대적 정언명령 : 국부, 국질, 국격-341
    Ⅲ. 협의의 국가경쟁력 논의의 한계와 국가잠재력 개발의 필요성-350
  제16장 나라경제의 체질 개선하기 : 국부신장
    Ⅰ. 지속적 국부신장을 위한 시스템적 접근의 필요성-360
    Ⅱ. 산업구조 변동과 전략산업의 육성-361
    Ⅲ. 국가차원의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에의 투자-371
    Ⅳ. 교육개혁 : 지식자본의 형성-376
    Ⅴ. 고용창출, 유지를 위한 적극 노동시장정책의 제도화-380
    Ⅵ. 사회간접자본 확충 : 국토의 세계적 중심성과 접근성 확보-384
    Ⅶ. 에너지 확충대책-387
  제17장 살기 좋은 나라 만들기 : 국질 제고
    Ⅰ. 생활일류국의 조건 : 국질 개념의 발전론적 함의-390
    Ⅱ. 복지정책의 제도화-391
    Ⅲ.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문화생활의 향유-400
    Ⅳ. 환경보건과 생태적 전환-406
    Ⅴ. 복합 안전사회의 안전권-414
  제18장 세계가 함께 하고 싶은 나라 만들기 : 국격 완비
    Ⅰ. 21세기 발전이념으로서의 코피티션-419
    Ⅱ. 국제사회에서의 협력자적 역할을 통한 국격 완비-420
    Ⅲ. 세계시민으로서의 한국인의 행동좌표-425
  제19장 나라 살림살이의 질 높이기 : 행정개혁 
    Ⅰ. 정부경쟁력 제고를 위한 행정개혁의 필요성-427
    Ⅱ. 종합적 개혁모델로서의 Re-ing-432
    Ⅲ. 거버넌스체제의 구축-442
  제20장 좋은 나라 만들기 시민운동본부 : 시민사회의 역할
    Ⅰ. 열정적 공중으로서의 시민-447
    Ⅱ. 시민의식과 공동체주의의 재발견-448
    Ⅲ. 시민운동과 사회발전-453
    Ⅳ. 지역사회개발 : 정부로부터 시민 홀로서기-457
    Ⅴ. 글로벌 시민사회 형성에의 참여-462
참고문헌-465
인명색인-507
사항색인-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