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몽골 구비서사문학과 문화의 상관성 연구 / 지은이 : 이안나
몽골 구비서사문학과 문화의 상관성 연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몽골 구비서사문학과 문화의 상관성 연구 / 지은이 : 이안나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9
  • ·형태사항 307 p. ;24 cm
  •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Minsokwon archebooks ;123)(민속원 ;1656)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81-295)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2744  94380: \2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39.309  듀이십진분류법-> 894.23009  
  • ·주제명 몽골 문학[蒙古文學]구비 문학[口碑文學]서사 문학[敍事文學]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목차


서문-4
1장 몽골 구비서사문학 속의 인물 모티프와 문화적 의미-15
  01 몽골 고대서사 문학에 나타난 '막내'에 대한 형상과 사회ㆍ문화적 의미 고찰-16
    1. 들어가기-16
    2. 막내아들 - 불을 지키는 자-19
    3. 약자의 반전 - 지역의 권력자-24
    4. 막내의 사회ㆍ문화적 의미-33
    5. 맺음말-37
  02 몽골 구비서사문학 속의 어린아이 형상과 그 문화적 함의-39
    1. 들어가기-39
    2. 설화 속의 어린아이 형상 - 상상의 증폭-42
    3. 영웅서사시 속의 어린아이 형상 - 상징의 증폭-50
    4. 어린아이 형상의 문화적 함의-63
    5. 주체적 어린이의 현대적 의미-67
    6. 맺음말-70
2장 몽골 구비서사문학에 나타난 기형 모티프와 문화적 의미-73
  03 몽골 고대 서사문학에 나타난 기형 모티프와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 1 동물 기형을 중심으로-74
    1. 들어가기-74
    2. 동물 기형 - 신성의 신체 비틀기-76
    3. 나가기-92
  04 몽골 고대 서사문학에 나타난 기형 모티프와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 2 외눈박이의 대장장이 화소를 중심으로-95
    1. 들어가기-95
    2. 외눈박이와 대장장이-97
    3. 나가기-111
3장 구비서사문학과 민속에 나타난 몽골 유목민의 생활과 문화-115
  05 몽골 유목민의 '중심'에 대한 의식과 생태적 세계관 - 창세신화와 주거공간을 중심으로-116
    1. 들어가기-116
    2. 창세신화 속의 세계중심-119
    3. 주거공간 속의 세계중심-129
    4. 맺음말-142
  06 몽골 유목민의 색채민속과 그 문화적 함의 - 흑백 색채를 중심으로-145
    1. 들어가기-145
    2. 서사문학 속의 흑백 색채-147
    3. 기층신앙 속의 흑백 색채-158
    4. 생활의례 속의 흑백 색채-165
    5. 맺음말-169
  07 활쏘기를 통해 본 몽골 신화상의 후흐데이 메르겐의 형상과 성격-173
    1. 들어가기-173
    2. 후흐데이 메르겐의 형상과 성격-177
    3. 맺음말-192
4장 한ㆍ몽 구비서사문학과 비교 문화-197
  08 몽골과 한국의 물 상징성에 대한 비교 고찰 - 구비서사 문학과 민속을 중심으로-198
    1. 들어가기-198
    2. 창조의 원수(原水)-199
    3. 생명 탄생의 근원-201
    4. 생명의 원기, 영생수-205
    5. 통과의례와 물-207
    6. 물의 신앙적 의미-209
    7. 물의 정화, 재생, 치유력-213
    8. 장애물, 죽음, 별리(別離)-219
    9. 맺음말-223
  09 한국과 몽골인의 영혼관에 대한 비교 연구 - 사령(死靈)을 중심으로-225
    1. 들어가기-225
    2. 한국과 몽골인의 영혼에 대한 이해-226
    3. 육체혼과 자유혼-229
    4. 세 가지 혼-234
    5. 맺음말-238
미주-241
참고문헌-281
찾아보기-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