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정신건강사회사업론 =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 저자 : 정원철
정신건강사회사업론 =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정신건강사회사업론 =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 저자 : 정원철
  • ·발행사항 고양 : 공동체, 2018
  • ·형태사항 402 p. :도표 ;25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85-396)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1052090  93330: \1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8.3  듀이십진분류법-> 362.3  
  • ·주제명 정신 건강[精神健康]사회 복지[社會福祉]정신 장애[精神障碍]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정원철 2018 SE0000483351 338.3-19-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정원철 2018 SE0000483352 338.3-19-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3
제1장 정신건강환경과 사회복지-9
  제1절 정신질환의 실태와 정신건강시설의 현황-12
  제2절 정신건강사회사업의 의의 및 정의-21
  제3절 정신건강사회사업의 구성과 업무-26
  제4절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자질-34
  제5절 사회문제로서의 정신질병-39
  제6절 정신건강복지법의 이해-42
  제7절 장애인복지법과 정신장애-51
제2장 정신건강과 방어기전-57
  제1절 갈등과 불안-64
  제2절 방어기제의 종류-65
  제3절 정신장애와 방어기제-80
제3장 정신병리-81
  제1절 정신병리-83
  제2절 의식장애(Disorder of Consciousness)-84
  제3절 사고장애(Disorder of Thought)-87
  제4절 기분장애(Disorder of Mood and Affect)-93
  제5절 행동장애(Disorder of Behavior or Activities)-96
  제6절 지각장애(Disorder of Perception)-98
  제7절 기억장애(Disorder of Memory)-100
  제8절 지능장애(Disorder of Intelligence)-102
  제9절 병식(Insight)-103
제4장 DSM-5의 이해-105
  제1절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의 발달-107
  제2절 정신질병 진단의 실제-108
제5장 성격장애-129
  제1절 성격장애의 이해-131
  제2절 성격장애의 종류-139
  제3절 성격장애의 치료-156
  제4절 성격장애와 사회복지사-157
제6장 조현병-161
  제1절 조현병의 역사적 고찰-163
  제2절 조현병의 역학-164
  제3절 조현병의 원인론-165
  제4절 조현병의 진단 및 임상양상-170
  제5절 경과 및 예후-178
  제6절 조현병의 치료-179
  제7절 가족치료 및 가족교육-184
  제8절 기타 접근법-187
  제9절 조현병과 사회복지사-193
제7장 알코올 사용장애-197
  제1절 알코올 사용장애의 심각성-200
  제2절 알코올 사용장애의 정의와 형태-201
  제3절 알코올 사용장애의 원인-206
  제4절 알코올과 알코올 사용장애의 영향-211
  제5절 알코올 사용장애의 치료적 접근-217
  제6알코올 사용장애 치료 프로그램의 구성-221
  제7절 알코올 사용장애와 사회복지사-229
제8장 소아ㆍ청소년 정신장애-231
  제1절 자폐스펙트럼장애-233
  제2절 특정학습장애-239
  제3절 행동장애-24
  제4절 소아불안장애(Childhood Anxiety Disorder)-247
  제5절 청소년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250
  제6절 소아 및 청소년 정신장애의 치료적 접근-252
제9장 정신장애의 개입모델과 인테이크-253
  제1절 생리학적 모델-255
  제2절 정신역동적 모델-256
  제3절 사회학습 모델-257
  제4절 사회반응론적 모델-258
  제5절 사회스트레스 모델-259
  제6절 Intake-260
  제7절 사회사업의 사정-266
  제8절 심리ㆍ사회적 사정의 예-270
제10장 정신약물치료의 이해-283
  제1절 정신약물치료의 발달-285
  제2절 주요 정신치료 약물-287
  제3절 약물치료의 일반적 지침-292
  제4절 약물치료의 한계-293
제11장 낮병원, 사회기술훈련-297
  제1절 낮병원-299
  제2절 사회기술훈련-313
제12장 정신장애인의 사례관리-329
  제1절 사례관리의 특성-332
  제2절 사례관리 실천의 필요성-334
  제3절 사례관리의 실천모형-336
  제4절 사례관리자의 주요 역할-339
  제5절 사례관리의 전개과정-343
  제6절 사례관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349
제13장 정신사회재활과 지역사회 정신건강-351
  제1절 정신사회재활-353
  제2절 지역사회 정신건강-368
참고문헌-385
찾아보기-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