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경남의 기억을 걷다 : 경남의 역사 공간, 그리고 사람 / 류형진,유원숙,옥서연,하상억,정혜란,김정현 지음
경남의 기억을 걷다 : 경남의 역사 공간, 그리고 사람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경남의 기억을 걷다 : 경남의 역사 공간, 그리고 사람 / 류형진,유원숙,옥서연,하상억,정혜란,김정현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살림터, 2019
  • ·형태사항 554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기억을 걷다 ;05)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536-554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301148  0391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86  듀이십진분류법-> 951.95  
  • ·주제명 역사 문화[歷史文化]경상 남도[慶尙南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류형진,유원숙,옥서연,하상억,정혜란,김정현 지음 2019 SE0000481488 911.86-19-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류형진,유원숙,옥서연,하상억,정혜란,김정현 지음 2019 SE0000481489 911.86-19-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 머리에-5

1부 해안
1. 뭍이 되어버린 섬, 섬을 기억하다l거제l
섬은 뭍을 그리워하고 뭍은 섬을 향한다 - 사등면 견내량-18
의지할 곳 없던 고려 의종의 꿈이 스러지다 - 둔덕면 폐왕성(거제 기성)-21
평생 한 번도 보지 못한 왕의 존재를 인식하다 - 거제면 기성관-24
죄와 벌에 대하여 생각하다 - 거제면 반곡서원-27
임진년 누란의 위기를 헤쳐 나가며… - 옥포동 옥포대첩기념공원-30
도고 헤이하치로를 아시나요? - 장목면 송진포 마을-34
조선 수군을 바다에 묻다 - 장목면 칠천량-37
전쟁을 기억하고 기념하다 - 고현동 거제포로수용소-41

2. 전쟁의 아픔에서 평화를 생각하다l통영l
이순신의 도시, 통제영의 도시가 되다 - 문화동 통제영-46
두보가 꾸었던 평화의 꿈, 통영에 내려앉다 - 문화동 세병관-50
폰데목에서 이순신과 열녀를 만나다 - 당동 착량묘와 착량교-53
나라는 충신을 기리고, 백석은 사랑하는 연인을 기다리다 - 명정동 충렬사와 명정-56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 앉아… - 한산면 제승당-60
이순신 장군, 임진왜란을 바꾸다 - 한산면 한산대첩-63
아름다운 풍광과 전통이 통영의 문화를 깊게 하다 - 통영의 문화-66

3. 숨겨진 보물 같은 지역을 보다l고성l
고성에도 왕국이 있었다 - 송학동 고분-72
부처의 자비 같은 맑은 물이 샘솟다 - 연화산 옥천사-76
저수지에 담긴 물의 혜택을 천추(千秋)까지 누릴지니… - 대가면 대가저수지-80
뱃사람의 고된 역(役)이 조선의 바다에 저물다 - 하일면 소을비포성-83
마을 수호신이 마을의 보호를 받다 - 마암면 석마(石馬)-86
숲이 마을을 이롭게 할지니… - 마암면 장산숲-89

4. 하늘 끝, 땅의 머리, 보물섬이 되다l남해l
남쪽 바다 한 점 섬, 문학의 산실이 되다 - 노도 김만중유허비-94
비단을 두른 전설의 산이 역사가 되다 - 상주면 보리암-98
물러남이 나아감이 되다 - 이동면 난곡사-101
정지 석탑이 정지 장군을 기억하다 - 고현면 정지 석탑-104
큰 별이 바다에 떨어지다 - 설천면 충렬사-107
독일에 갔던 누나들, 돌아와 거울 앞에 서다 - 삼동면 독일마을-111

5. 영남과 호남이 만나다l하동l
영남과 호남, 섬진강에서 만나다 - 화개면 화개장터-116
십리 벚꽃길 따라 천년 고찰을 찾아가다 - 화개면 쌍계사-120
김수로와 허황옥의 일곱 아들, 성불하다 - 화개면 칠불사-124
백사송림, 애민정치의 표상이 되다 - 하동읍 하동송림-127
소설 속 허구의 공간이 실재가 되다 - 악양면 최참판댁-131
섬진강 길목을 지키다 - 악양면 고소성-135
현실의 어려움이 이상향을 만들다 - 지리산 청학동-139

6. 바다와 산을 함께 품다l사천l
지역을 이어주는 섬, 국제 교류의 흔적을 남기다 - 늑도 유적-144
왕에게는 마음의 고향이니 ‘풍패지향’이라 부르다 - 정동면 배방사지-147
향을 묻어 천년 소원을 빌다 - 곤양면 사천 매향비-150
“거북선을 출격시켜라!” - 대방동 대방진 굴항-153
400년 만에 한 줌 흙으로 돌아오다 - 용현면 선진리성-156
왕의 탯줄을 묻기에 좋은 땅이다! - 곤명면 세종 태실지-159
봉황이 품은 절, 많은 것을 품다 - 곤명면 다솔사-162
잘 가다가 삼천포로 와 빠지노? - 삼천포항-165

7. 달그림자가 노닐던 마산만, 역사를 품다l마산l
한반도 청동기 문화를 새롭게 보다 - 창원 진동리 유적-170
달그림자에 상처 입은 마음을 달래보다 - 해운동 월영대-173
우리 왕이 왔으나 우리를 위한 것은 아니었네 - 자산동 몽고정-176
원래의 진해(鎭海)를 아시나요? - 진동면 진해현 관아-179
오소, 보소, 사소! - 신포동 마산어시장-182
개항장 마산, 대한제국의 운명을 닮다 - 해운동 마산 조계지-186
삼진 사람들, 한뜻이 되어 독립 만세를 외치다 - 진동면 8의사 창의탑-189
마산만의 모습이 바뀌니 입맛도 바뀌다 - 봉암동 봉암 수원지-192
산업 역군이 사라지고 추억만 남다 - 창동 거리-196
4·19 혁명의 불을 지피다 - 구암동 국립 3·15 민주묘지-200

8. 고대 철 생산지가 기계공업 도시가 되다l창원l
창원에 지배세력이 등장하다 - 동읍 고인돌-204
초기 철기 문화의 보물 창고가 열리다 - 동읍 다호리 유적-207
살아남은 패총과 야철지, 창원의 과거와 현재를 잇다 - 외동 성산패총-210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부처가 되다 - 북면 백월산 남사-213
창원에 봉림산문이 자리 잡다 - 봉림동 봉림사지-217
나아가면 장군이요 들어오면 재상이라 - 북면 최윤덕 장군 묘-220
사라진 터전에서 역사를 찾다 - 서상동 창원읍성터-224
돌부처가 절집을 만들다 - 대방동 불곡사-227

9. 벚꽃 피는 식민도시, 한국 해군의 요람이 되다l진해l
잊힌 진해의 출발지 웅천을 기억하다 - 성내동 웅천읍성-232
끌려간 조선 도공들의 애한을 간직하다 - 두동 웅천 도요지-235
조선 정부, 일본과 교린을 추진하다 - 제덕동 제포-239
망각의 공간이 새로운 기억을 갖다 - 남문동 웅천왜성-243
제국주의 일본, 식민도시를 건설하다 - 중원 로터리-247
일본의 승전 공간에서 조선의 망국을 기억하다 - 제황산(帝皇山) 공원-251
김구와 이승만, 진해에서 이순신을 조우하다 - 남원 로터리와 북원 로터리-255

10. 사랑의 무대에서 역사를 만나다l김해l
하늘에서 내려온 수로가 왕이 되다 - 서상동 수로왕릉-260
바다를 건너온 사랑, 역사가 되다 - 구산동 허왕후릉-263
가락국이 해상무역으로 번성하다 - 봉황동 유적-266
철의 왕국, 타임캡슐을 열다 - 대성동 고분군-269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 김해에서 일어나다 - 동상동 사충단-272
과인은 도성을 버렸으나 너희는 돌아와야 한다 - 흥동 선조 어서각-276
‘대한 독립 만세’의 함성이 울려 퍼지다 - 무계동 3·1운동 기념탑-279
낙동강 물줄기를 바꾸어 평야를 만들다 - 김해평야-282
물은 생명을 품고 사람은 민주주의를 꿈꾸다 - 봉하마을 화포천-285

2부 내륙
1. 천축의 이상이 내려앉다l양산l
오래된 절집의 높은 위상이 대대로 이어지다 - 하북면 통도사-292
천여 년의 전통을 지닌 가야진 용신제를 돌아보다 - 원동면 가야진사-296
만고의 충신 박제상, 기억의 끝자락에 자리하다 - 상북면 박제상 효충공원-299
한때 양산의 주인, 부인과 함께 묻히다 - 북정동 부부총-303
김서현과 만명의 스캔들이 삼국통일로 이어지다 - 하북면 취산재-306
아픈 역사가 아름다운 풍광에 가려지다 - 동면 법기수원지-310

2. 의병에서 의열단으로l밀양l
만 마리 물고기가 돌이 되다 - 삼랑진읍 만어사-314
영남제일루, 밀양의 영욕과 함께하다 - 내일동 영남루-317
조선 사림파의 뿌리가 되다 - 부북면 예림서원-320
밀양 양반과 승려들, 같은 공간에서 다른 꿈을 꾸다 - 단장면 표충사-323
벼랑 끝에 길을 내다 - 삼랑진읍 작원잔도-327
의로운 일을 열렬히 행하다 - 내이동 의열기념관-330
1인자에 가려진 사람들, 밀양에 묻히다 - 부북면 박차정 묘-333

3. 낙동강을 따라 창녕의 역사가 흐르다l창녕l
첫 번째 삶의 터전을 만나다 - 부곡면 비봉리 패총-338
가야를 대신하여 신라를 선택하다 - 교동?송현동 고분군-341
지금부터 이곳은 짐의 영토니라! - 창녕읍 신라 진흥왕 척경비-344
통일신라의 불교, 창녕에 꽃피다 - 창녕읍 관룡사와 용선대-347
개혁가가 사라지니 절도 함께 사라지다 - 창녕읍 옥천사지-352
화왕산성에서 홍의장군을 만나다 - 창녕읍 화왕산성-355
UN군의 피로 물든 전투를 기억하다 - 남지읍 창녕지구 전승비-358
따뜻한 물로 병을 치유하다 - 부곡면 부곡온천-361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가다 - 우포늪 생태보전지구-365
창녕 양파가 한국의 맛을 풍성하게 하다 - 대지면 양파 시배지-368

4. 아라가야의 꿈이 깃들다l함안l
아라가야의 왕들이 머리산에 묻히다 - 가야읍 말이산 고분군-372
신라 비밀의 창고가 열리다 - 함안면 성산산성-377
함안 양반들의 유희, 불꽃이 되어 떨어지다 - 함안면 무진정-380
지식인의 처세를 보다 - 칠원읍 주세붕 묘소와 무기연당-383
메기가 침을 뱉어도 홍수가 난다 - 법수면 함안 뚝방길-386

5. 사람으로 의롭게 살기가 힘드나니l의령l
절은 사라지고 보물만 남다 - 의령읍 보천사지 3층 석탑, 승탑-390
북을 걸고 의병을 모으다 - 유곡면 현고수-394
홍의장군, 전라도로 향하는 길목을 지켜내다 - 의령읍 정암진-397
돈 벌기도 어렵지만 값지게 쓰기는 더 어렵다 - 부림면 백산 안희제 선생 생가-400

6. 영남 인재의 절반을 배출하다l진주l
하륜, 진주 인재들의 정점을 찍다 - 진양부원군 신도비-404
진주라 천리 길을 내 어이 왔던가 - 진주성-407
논개, 충신으로 되살아나다 - 의암-411
청동기박물관에 청동기가 없다니 - 대평면 대평리 유적-414
수정봉과 옥봉에서 가야를 생각하다 - 수정봉?옥봉 고분군-418
하늘 보고 침 뱉지 말라 - 수곡면 진주농민항쟁기념탑-421
저울처럼 평등한 세상을 만들자 - 형평운동기념탑-425
길 위에서 다시 길을 찾다 - 문산읍 문산성당-429

7.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다l산청l
돌무지 석탑, 왕릉이 되다 - 금서면 전(傳) 구형왕릉
류의태는 허준을 모른다 - 금서면 동의보감촌
세속과 인연을 끊으려던 절에 매화가 피어나다 - 단성면 단속사지
따뜻한 꽃이 우리 땅으로 건너오다 - 단성면 목면 시배지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다 - 시천면 산천재-447
남명과 퇴계, 두 스승이 학문과 인품을 인정하다 - 산청읍 서계서원-451
‘지리산의 눈물’이 내리다 - 시천면 외공리 민간인학살지-455
남사마을, 경남의 하회마을이 되다 - 단성면 남사마을-458
나라가 망했는데 세상을 사는 것이 큰 치욕이다 - 단성면 유림독립운동기념관-461

8. 금호미로 홍수를 막다l함양l
금호미로 홍수를 막다 - 함양읍 상림-466
왕의 아들이 새우섬에 잠들다 - 함양읍 세종왕자 한남군 묘-469
좌안동 우함양의 초석을 놓다 - 함양읍 학사루-472
동방 5현 중 한 분을 배출하다 - 지곡면 남계서원-475
화림동에서 무이구곡을 꿈꾸다 - 안의면 농월정-479
최초로 물레방아를 돌리다 - 안의면 연암 박지원 선생 사적비-482
죽어서 살 것인가, 살아서 죽을 것인가 - 서하면 황암사-485

9. 거창하게 거창하다l거창l
근심으로 사람을 떠나보내던 곳, 근심을 푸는 곳이 되다 - 위천면 수승대-490
백성을 가르침에 효도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 북상면 임씨 고택-493
남명에게 배운 강직함으로 절의의 상징이 되다 - 위천면 동계 정온 고택-496
역적을 벌하는 것보다 충신을 보전하는 것이 더 중할지니 - 웅양면 포충사-500
거창 신씨가 황산에 터를 잡다 - 위천면 황산마을-503
국가라는 이름으로 폭력이 이루어지다 - 신원면 거창사건 추모공원-506

10. 부처님의 보살핌이 한결같으시기 바랍니다l합천l
가야산 초입에서 가야를 생각하다 - 야로면 월광사지-512
영령들이여, 흠향하라 - 해인사 묘길상탑-515
바다에 풍랑이 쉬면 삼라만상이 바다에 비친다 - 가야면 해인사-518
부처님과 하늘의 보살핌이 한결같으시기를 바랍니다 - 해인사 팔만대장경-521
칼끝 같은 세상에서 칼날 같은 삶을 살다 - 가야면 정인홍 유적-524
황매산 자락에서 잊힌 절집을 바라보다 - 가회면 영암사지-528
신라와 백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다 - 합천읍 대야성-531
참고문헌-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