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혐오, 교실에 들어 오다 : 학교 안 혐오 현상의 실태와 대책 / 이혜정,민윤,박진아,이신애,김아미,남미자,이정연 지음 ;경기도교육연구원 기획
혐오, 교실에 들어 오다 : 학교 안 혐오 현상의 실태와 대책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혐오, 교실에 들어 오다 : 학교 안 혐오 현상의 실태와 대책 / 이혜정,민윤,박진아,이신애,김아미,남미자,이정연 지음 ;경기도교육연구원 기획
  • ·발행사항 서울 : 살림터, 2019
  • ·형태사항 223 p. :삽화, 도표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20-223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301216  03370: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0.88  듀이십진분류법-> 370.114  
  • ·주제명 학교[學校]혐오[嫌惡]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혜정,민윤,박진아,이신애,김아미,남미자,이정연 지음 ;경기도교육연구원 기획 2019 SE0000480940 370.88-19-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이혜정,민윤,박진아,이신애,김아미,남미자,이정연 지음 ;경기도교육연구원 기획 2019 SE0000530242 370.88-19-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며-5

1. 혐오, 학교 안으로 들어오다-7

2. 학교에서의 차별 그리고 혐오-12

제1장 혐오 현상이란?-21

1. 혐오, 혐오 표현, 혐오 현상-23
1)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혐오-23
2) 혐오 표현과 혐오 현상-25
3) 혐오 표현의 유형-28
2. 혐오와 소수자 집단-30
3. 혐오 현상과 학교-33

제2장 학교 안 혐오 현상 들여다보기

1. 학교 안 혐오 현상을 본다는 것-37

1) 제한된 조건 속에서의 질적 연구-37

2) 너른중학교 2학년 1반의 특성-42

-학업성적이 중요시되는 학교문화-42
-일상적인 욕설 사용과 미디어 문화-43
-비공식적인 학생문화: 남학생 중심의 위계질서-44

2. 혐오의 이유: 교실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49

1) 여성혐오, 가장 두드러지는 혐오 현상-50

-여학생의 화장을 둘러싼 혐오 현상-50
-혐오의 대상이 되는 ‘뚱뚱한’ 몸-50
-‘섹드립’을 통한 여학생 모욕주기와 여성혐오-59

2)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이유로 혐오의 대상이 되는-65

3) 무능력한 사람은 놀림과 혐오를 받을 만한 사람?-71

3. 혐오의 방식: 공개적 모욕과 멸시를 표출하는-76

1) 공개적인 멸시, 모욕, 위협의 방식-76

-동물화-77
-공격적 표현-80
-차별과 혐오의 의미를 담은 욕설-83
-친한 사이에서 장난으로-90

2) 차별표시의 방식-94

4. 혐오에 대응하는 방식: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97

1) 소극적인 대응-97

-혐오 상황에 대한 무시와 회피-97
-혐오 상황에 대한 동조-106

2) 적극적인 대응-111

-혐오 표현에 대한 거부-111
-또 다른 폭력으로 맞대응하기-113
-서로 공감하고 힘을 주는 연대-119
-혐오 상황에 대한 도움 요청-122

제3장 학교 안 혐오 현상, 왜 문제인가?-133

1. 학교의 성차별주의와 여성혐오-135
2. 학업성적 중심의 학교문화와 혐오 현상-140
3. 학교라는 질서와 정상성의 재생산-144

제4장 학교 안 혐오 현상, 어떻게 극복할까?-149

1. 평등한 학급 운영과 소수자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수업 재구성-151

1) 혐오 현상에 대처하는 학급 운영과 생활지도-151
-혐오 현상의 주체가 학생인 경우 생활지도 방향-152
-교사에 의한 혐오 현상에 대한 고민과 노력-161
-평등과 관계 중심의 학급 운영-164

2) 혐오, 차별 현상을 다루는 수업 실천-168

-혐오 현상 극복을 위한 수업 실천의 준비: 차별 인식 조사-168
-혐오와 차별 현상을 다루는 수업 재구성-168

2. 학교 민주주의 실현과 성평등교육 실시-192

1) 학교 전반의 운영에 있어서의 변화-192

2) 교과서 개정과 페미니즘 교육-193

-교과서 개정-193
-페미니즘 교육-194

3) 학생 생활과 인권 문제의 개선-195

-학생 인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의 복장 및 외모 규정 개선-195
-단위학교별 인권구제시스템의 형성과 정착-199
-학교 내 차별과 혐오 현상 관련 학생 모니터링단 운영-200

3. 평등하고 안전한 학교를 위한 교육정책 실행-203

1) 법률ㆍ제도의 개선-203

2) 민주시민교육의 질적 전환-205

3) 교육과정과 교과서-207

4) 교원 교육-209

맺음말-211

참고 문헌-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