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 '독립'으로 가는 험난한 길 = The history of Zainichi Koreans in the post-liberation space : tumultuous road to the independence / 정영환 지음 ;임경화 옮김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 '독립'으로 가는 험난한 길 = The history of Zainichi Koreans in the post-liberation space : tumultuous road to the independence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 '독립'으로 가는 험난한 길 = The history of Zainichi Koreans in the post-liberation space : tumultuous road to the independence / 정영환 지음 ;임경화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푸른역사, 2019
  • ·형태사항 623 p. :삽화, 초상 ;23 cm
  • ·총서사항 (접경인문학 번역총서 ;001)
  • ·주기사항 원표제:朝鮮独立への隘路 :在日朝鮮人の解放五年史
    원저자명: 鄭栄桓
    참고문헌(p. 593-609), "관련 연표"와 색인수록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3079318)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121480  93900: \3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7  듀이십진분류법-> 951.904  
  • ·주제명 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재 일본 조선인(북한어)[在日本朝鮮人]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정영환 지음 ;임경화 옮김 2019 SE0000480155 911.07-19-10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정영환 지음 ;임경화 옮김 2019 SE0000483070 911.07-19-10=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정영환 지음 ;임경화 옮김 2019 SE0000483071 911.07-19-10=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추천의 글-5
한국어판 서문-10

한국어판 특별 보론|해방 전 재일조선인사
1 조선인의 도일과 정착(19세기 말~1920년대 전반)-38
2 재일조선인 사회의 형성(1920년대~1930년대)-57
3 전시체제와 재일조선인(1930년대 후반~1940년대 전반)-74

서장|해방 전후의 재일조선인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문제의 소재-86
2 시각과 과제-88
3 선행연구-93
4 이 책의 구성-95

제1장|해방과 자치
1 재일본조선인연맹의 결성과 조련 자치대-102
2 조련 자치대와 일본의 경찰권-114
3 ‘자치’와 분단: 쓰치우라土浦 사건-130

제2장|귀환, 송환, 거주권
1 귀환의 송환화-144
2 거주권의 위기: 생활권 옹호투쟁과 12월사건-159

제3장|외국인 등록령과 조선인단체
1 외국인 등록령 공포公布와 재일조선인단체-174
2 교섭에서 투쟁으로: 1947년 7월-189
3 외국인 등록 실시: 1947년 8월 이후-198
4 외국인 등록의 기반 정비: 등록 실시 후의 내무성 조사국-208

제4장|조국 건설의 일꾼
1 새 활동가의 탄생-220
2 활동가들의 세계-240

제5장|‘이중의 과제’와 재일조선인운동
1 조선독립 문제와 일본의 민주화-248
2 민족인가 계급인가-254
3 재일조선인의 참정권을 둘러싸고-264
4 남북 분단과 백무 서기장의 파면 문제-272

제6장|남북 분단과 민족교육
1 조선학교폐쇄령과 민족교육 옹호투쟁-286
2 남조선 단독선거와 건청 효고-298

제7장|‘조국과의 직결’과 일본의 민주화
1 ‘정당한 외국인 대우’란 무엇인가-314
2 ‘조국과의 직결’이 의미하는 것-326

제8장|조련과 민청의 해산
1 패전 후 일본의 단체 규제와 조선인단체-336
2 조련 해산론의 등장-342
3 특별심사국의 ‘방침 전환’과 조련ㆍ민청 해산-348
4 해산과 그 영향-358

제9장|외국인 등록체제의 형성
1 외국인 등록령 개정-370
2 재외국민등록과 외국인 등록-380

종장|조선 독립으로 가는 험한 길
1 봉쇄된 ‘해방’: 조선인 지배의 재편-396
2 새로운 ‘전시’로: 분단과 외국인 등록체제의 성립-402

보론 1 전쟁 책임과 식민지 지배 책임, 재일조선인은 어떻게 보았나
: 도쿄재판과 반민특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1 문제의 소재: ‘식민지 책임론’의 부재?-412
2 재일조선인운동의 ‘전쟁범죄인’ 추궁과 ‘친일파’ 문제-417
3 전범재판을 둘러싼 재일조선인의 논설-430
4 세계사적인 ‘식민지 책임론’으로 연결하기 위하여-450

보론 2 쓰시마 거류 조선인의 ‘해방 5년사’
: 재일본조선인연맹 쓰시마 도본부를 중심으로
1 쓰시마 조선인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나-456
2 패전 후 쓰시마의 ‘밀항’ 경비체제-460
3 재일본조선인연맹 쓰시마 도본부의 조직과 활동-467
4 남북 분단과 쓰시마의 조선인 사회-482
5 잊혀진 ‘국경의 섬’의 해방 공간-494

저자 후기-496
옮긴이 후기-502
관련 연표-514
본문 출처-519
도판 출처-520
주석-522
참고문헌-593
찾아보기-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