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통일 연구자의 눈에 비친)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 = The history and politics of socialist Vietnam in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studies specialists / 지은이 : 채수홍,김병로,김성철,백지운,서보혁,이찬수,정동준,조동준,천경효,최규빈
(통일 연구자의 눈에 비친)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 = The history and politics of socialist Vietnam in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studies specialists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통일 연구자의 눈에 비친)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 = The history and politics of socialist Vietnam in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studies specialists / 지은이 : 채수홍,김병로,김성철,백지운,서보혁,이찬수,정동준,조동준,천경효,최규빈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 ·형태사항 xiii, 341 p. :삽화, 도표 ;23 cm
  • ·총서사항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탈사회주의 연구총서 ;2)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28324  94340: \2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4.1  듀이십진분류법-> 959.7  
  • ·주제명 역사[歷史]정치(권력)[政治]베트남(국명)[Vietnam]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채수홍,김병로,김성철,백지운,서보혁,이찬수,정동준,조동준,천경효,최규빈 2019 SE0000479997 914.1-19-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채수홍,김병로,김성철,백지운,서보혁,이찬수,정동준,조동준,천경효,최규빈 2019 SE0000479998 914.1-19-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Ⅴ
머리말-Ⅸ

제1부 사회주의 베트남의 정치경제적 변화와 미래

제1장 베트남 탈-사회주의화의 정치경제와 미래 ― 채수홍
1. 서론: 사회주의 베트남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5
2. 개혁정책의 역사적 과정-8
1) 베트남전쟁 이후 사회주의 건설 과정-8
2) 개혁정책의 배경과 초기 효과-13
3. 1990년대 베트남 개혁정책의 효과와 부작용-17
4. 순항하는 베트남 경제와 심화되는 모순-23
5. 결론: ‘사회주의’ 베트남의 현재, 저항, 그리고 정치적 미래-31

제2장 베트남 사회주의의 발전에 대한 단상: 중국 · 북한과의 비교 ― 김병로
1. 서론: 속도전-43
2. 베트남 사회주의 발전의 현주소-46
1) 정치적으로는 어떤 변화의 수준에 와 있는가?-46
2) 경제적으로는 어느 단계에 와 있는가?-52
3) 국제사회의 편입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는가?-56
3. 베트남 사회주의 체제의 비전과 도전-60
4. 전쟁으로 다져진 민첩성과 실용주의-66
5. 결론: 공산주의 정부의 유연성을 기대하며-72

제2부 사회주의 베트남의 전쟁, 난민, 그리고 재현

제3장 ‘베트남공화국’의 몰락: 
지엠 정권의 ‘식민지적 민족주의’, ‘서구적 종교 편향’, ‘하향적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 이찬수
1. 서론: 베트남을 답사하며-81
2. 억압에 저항하며 민족주의를 싹틔우다-83
3. 두 가지 민족주의가 등장하다-86
1) 호찌민의 공산주의적 민족주의, ‘베트남 국민’의 탄생-86
2) 지엠의 반공주의적 민족주의, 식민지 의식의 연장-89
4. 민중적 정서의 심층이 중요하다-92
1) ‘베트남공화국’과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92
2)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94
5. 종교 편향은 자신의 종교도 무너뜨린다-95
1) 친가톨릭 정책과 내부적 분열-95
2) 불교의 사회 참여와 전쟁의 발발-97
6. 결국은 ‘심층’이 승리한다-100
1) 정당성 없는 정당화-100
2) 도이머이와 다시 ‘심층남부’-102
7. 결론: 민중의 종교적 정서가 문화의 심층이다-105

제4장 월남전쟁과 월남인의 미국 이주 ― 조동준
1. 서론-115
2. 남월남의 패망과 월남민의 1차 이주-117
1) 강대국의 체면-118
2) 소개작전-122
3) 1차 보트피플-128
3. 남월남의 정치적 변화와 2차 보트피플-130
1) 월남의 사회주의화-131
2) 2차 보트피플-134
3) ‘질서 있는 이주’ 프로그램-138
4. 결론-141

제5장 독백과 망각의 전쟁: 
중월전쟁과 아시아 냉전의 역설성 ― 백지운
1. 서론: 중월전쟁과 아시아 냉전-147
2. 말 못 하는 기억의 귀환-12
1) 불구의 기억-152
2) 일그러진 영웅의 귀환-156
3. 전선과 배후, 균열하는 이데올로기-160
1) 열사가 남긴 빚-162
2) 개혁개방의 비판과 정당화-166
3) ‘숭고한 희생’이라는 신화-168
4) 집단망각의 맥락-171
4. 결론: 사회주의 진영의 탈냉전-173

제3부 사회주의 베트남의 대외관계 변화

제6장 베트남에 대한 중국의 경제지원과 경제제재, 1960~1978 ― 최규빈
1. 서론-183
2. 중국의 베트남 원조와 중국-베트남 관계, 1960~1978-185
1) 중국의 베트남 원조의 동기-185
2) 중국과 베트남의 유대와 갈등, 1965~1975-189
3) 형제적 우호관계의 종말, 1975~1978-198
3. 결론-205

제7장 베트남과 미국의 관계정상화 과정, 그 요인과 함의 ― 서보혁
1. 서론-213
2. 베트남전쟁 종식 이후 베-미 관계, 1975~1985-214
3. 개혁 천명 이후 베-미 관계, 1986~1989-218
4. 관계정상화를 향하여, 1990~1995-221
5. WTO 가입과 탈사회주의, 1995~2007-226
6. 결론: 평가와 시사점-229
1) 베-미 관계 정상화 평가-229
2)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231

제8장 베트남의 대중국 정책: 
남중국해 이슈를 중심으로 ― 김성철
1. 서론-237
2. 남중국해에서의 중-베 분쟁-242
1) 분쟁의 역사적 개관-242
2) 중-베 해양권 분쟁-245
3. 상설중재재판소 결정과 베트남의 대중국 헤징-249
4. 베트남의 대중국 헤징: 인과의 깔때기-254
1) 국제 정세 인식의 변화: 협력-갈등의 중첩성-254
2) 안보 역량: 대외관계 다변화 및 군사협력 강화-258
3) 경제 역량: 비의존적 발전-263
4) 헤징의 선택: ASEAN의 분열, 미국 커미트먼트의 한계-266
5. 결론-269

제4부 사회주의 베트남의 통제와 시민사회

제9장 통제된 다양성: 
베트남의 소수민족과 민족학박물관 ― 천경효
1. 서론-279
2. 베트남의 민족집단-281
1) 베트남의 민족 분류-281
2) 베트남 소수민족 문제-282
3. 기념과 기억의 공간으로서의 박물관-284
1) 북부 베트남의 박물관 개관-287
2) 베트남 민족의 재현: 민족학박물관의 사례-289
4. 결론: 다민족의 재현과 박물관-300

제10장 도이머이 개혁 이후 베트남의 시민사회 ― 정동준
1. 서론-307
2. 서구 중심의 시민사회-310
3. 베트남의 시민사회-314
4. 다른 나라와의 비교로 본 베트남 시민사회-320
5. 결론-329

찾아보기-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