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미학 /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 지음 ;김동훈 옮김
미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미학 /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 지음 ;김동훈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마티, 2019
  • ·형태사항 444 p. ;19 cm
  • ·총서사항 (미학 원전 시리즈 ;1)
  • ·주기사항 원표제:Aesthetica
    원저자명: Alexander Gottlieb Baumgarten
    권말부록: 『미학』원전 전체 차례 ; 『형이상학』참조 구절 ; 『철학적 윤리학』 참조구절
    참고문헌(p. 421-430)과 색인수록
    독일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000885  9316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12.7  한국십진분류법-> 165.16  듀이십진분류법-> 111.85  듀이십진분류법-> 193  
  • ·주제명 미학[美學]독일 철학[獨逸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 지음 ;김동훈 옮김 2019 SE0000479091 112.7-19-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 지음 ;김동훈 옮김 2019 SE0000479092 112.7-19-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서론,§1~13
본론
Ⅰ 이론적 미학
  1) 발견술, 제1부
    A) 인식의 아름다움 일반에 대하여, 제1장, §14~27
    B) 인식의 아름다움의 특정한 종류에 대하여
     a) 미적 인간의 특징
      *) 긍정적 성격
        α) 본성, 제2장,§28~46
        β) 훈련, 제3장,§47~61
        γ) 가르침, 제4장,§62~77
        δ) 열정, 제5장,§78~95
        ξ) 교정, 제6장,§96~103
      *) 부정적 성격, 제7장,§104~114
     b) 미적인 풍요로움
      *) 일반론, 제8장,§115~118
      *) 각론
        α) 소재
          A) 소재 그 자체, 제9장,§119~129
          B) 소재에서 파생된 것
            a) 토피카, 제10장,§130~141
            b) 내용을 풍요롭게 해주는 논증들, 제11장,§142~148
        β) 인물들, 제12장,§149~157
        γ) 둘의 용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
          1) 언제나 쓰이는 절대적 용법, 제13장,§158~166
          2) 이따금 쓰이는 상대적 용법, 제14장,§167~176
     c) 미적인 크기
      *) 일반론, 제15장,§177~190
      *) 각론
        α) 소재
          A) 절대적 소재, 제16장,§191~201
          B) 상대적 소재, 제17장,§202~216
          C) 소재에 대한 관념의 관계
            a) 일반, 제18장,§217~229
            b) 사유의 종류에 따른 특수한 사유방식
              1) 단순한 사유방식, 제19장,§230~265
              2) 평범한 사유방식, 제20장,§266~280
              3) 숭고한 사유방식
                Ⅰ) 그 본성, 제21장,§281~309
                Ⅱ) 그에 반대되는 결함, 제22장,§310~328
          D) 크기를 증대시켜주는 논증들, 제23장,§329~351
        β) 인물들, 미적 중요성과 고상함
          A) 인물들의 절대적 크기, 제24장,§352~363
          B) 아름답게 숙고하고자 하는 인물들의 상대적 크기
            a) 단순하거나 평범한 크기, 제25장,§364~393
            b) 숭고한 크기, 제26장,§394~422
     d) 미적 진리
      *) 일반론, 제27장,§423~444
      *) 각론
        α) 그와 반대되는 거짓, 제28장,§445~477
        β) 개연성
          A) 일반론, 제29장,§478~504
          B) 각론
            a) 허구적 내용에 있어서의 개연성
              1) 역사적 허구에 있어서의 개연성, 제30장,§505~510
              2) 시적 허구에 있어서의 개연성, 제31장,§511~525
            b) 우화에 있어서의 개연성, 제32장,§526~538
        γ) 입증하는 논증들, 제33장,§539~554
        δ) 진리를 향한 미적 추구
          A) 절대적 진리 추구, 제34장,§555~565
          B) 상대적 진리 추구
            a) 일반론적인 진리 추구와 역사적인 진리 추구, 제35장,§566~584
            b) 시적인 진리 추구, 제36장,§588~613
     e) 미적인 빛
     f) 미적 확실성
     g) 인식의 미적 생명력
  2) 방법론 제2부
  3) 기호론 제3부
Ⅱ실천적 미학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