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치명적 자유의 향연 : 아나키즘과 함석헌 / 황보윤식,김대식,이소흔,강종권,한송옥 지음
치명적 자유의 향연 : 아나키즘과 함석헌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치명적 자유의 향연 : 아나키즘과 함석헌 / 황보윤식,김대식,이소흔,강종권,한송옥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문사철, 2019
  • ·형태사항 255 p. ;23 cm
  • ·총서사항 (함석헌평화연구소 아나키즘 시리즈 ;1)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853627  9330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28  듀이십진분류법-> 320.57  
  • ·주제명 함석헌,咸錫憲,1901-1989무정부 주의[無政府主義]자유[自由]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황보윤식,김대식,이소흔,강종권,한송옥 지음 2019 SE0000478103 340.28-19-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황보윤식,김대식,이소흔,강종권,한송옥 지음 2019 SE0000478104 340.28-19-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권두언 | 참살이 책을 펴내면서-4

‘아나키즘 오해’에 대한 역사적 고찰-15
》 황보윤식
      들이는 말-아나키즘의 발현-17
      1. 아나키즘, ‘절대 자유’의 발견-22
      2. 아나키즘무정부주의 곡해의 역사적 배경-37
      3. 아나키즘, 테러리스트 오해의 역사과정-56
      마무리말-아나키즘의 영성-67

아나키즘 역사와 현대 사회-79
》 강종권
      1. 들말: 국가주의와 아나키즘-81
      2. 아나키즘의 기원-83
      3. 동아시아의 아나키즘-88
      4. 현대 사회와 아나키즘-105
      5. 날말: 인간존엄의 자유를 찾기 위해-110

함석헌학과 아나키즘-원자적 자아를 정초하다-113
》 김대식
      1. 함석헌의 학문과 사상의 체계적 특수성-116
      2. 원자적 자아 확립을 위한 ‘공부’-118
      3. 수양적 유토피아니스트 함석헌과 원자적 자아의 획득을 위한 ‘수양’-120
      4. 함석헌학의 시론: 세계민중정신의 발현으로서의 3·1혁명과 혁명의 주체로서의 민중-124

한국의 종교와 언어적 아나키즘-141
》 이소흔
      1. 언어와 종교-143
      2. 종교에 나타난 언어적 아나키즘-146
      3. 한국어와 종교의 상관관계-148
      4. 성서의 한국어 번역 양상-158
      5. 한글에 깃든 아나키즘 정신-168

함석헌과 아나키즘의 메타적 성 담론-173
》 김대식
      1. ‘무정부주의’ 번역의 문제와 함석헌의아나키즘-175
      2. 함석헌과 그의 성 인식 및 성적 실천에 대한 아나키즘적 해석-180
      3. 함석헌의 성 관념에 비판적 평가를 위한 아나키즘적 방향성-186

영국의 종교/켈트/철학적 전통 안에서 에코아나키즘을 그려보다-193
》 김대식
      1. 어우러짐/어울림의 실패: 신학적 담론을 다시-생각하기
         -제1테제: 후기범재신론으로 다시 정초해야 한다!-195
      2. 경험의 편견을 판단중지하기: 베이컨의 경험론에 대한 성찰
         -제2테제: 생태적 우상을 타파해야 한다!-199
      3. 평화와 행복을 다시-생각하기: 버트런드 러셀을 통한 생태철학
         -제3테제: 더불어 행복해야 한다!-207
      4. 어우러짐/어울림의 가능성: 켈틱 영성과 함석헌의 협화주의적 에코아나키즘
         -제4테제: 어울림의 영성을 지향해야 한다!-214

Religion at the Barricades: Ham Sok Hon’s Liberation Theology
바리케이드에 선 종교: 함석헌의 해방신학-225
》 Songok Han Thornton 한송옥
      Abstract-227
      1. Gandhism, Hamism and the Ethics of Resistance-230
      2. The Death of Minjung Resistance-233
      3. Hope for a Post-Globalist Hamism-238
      4. The Resurrection of Mary Magdalene-241
      5. All Dove and No Serpent-245

필진 약력-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