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국방외교와 무관 :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는 역할 / 왕종표 지음
국방외교와 무관 :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는 역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국방외교와 무관 :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는 역할 / 왕종표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좋은땅, 2019
  • ·형태사항 222 p. :삽화, 도표 ;23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주요 용어 해설 등
    참고문헌: p. 188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4354153  03390: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91.1  듀이십진분류법-> 355.03  
  • ·주제명 국방 정책[國防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왕종표 지음 2019 SE0000477629 391.1-19-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왕종표 지음 2019 SE0000477630 391.1-19-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Prologue-10

Ⅰ 집필을 시작하며-15

Ⅱ 이론적 고찰 및 전개-19

1. 국가안보 목표, 전략 및 비전
가. 국가안보 목표-19
나. 국가안보 전략-20
(1) 자립안보 의식
(2)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3) 역내 안보협력 제도화 및 글로벌 평화 증진
다. 국방목표와 국방외교의 연계-24
라. 우리의 비전Vision-27

2. 국방외교의 탄생 및 활동
가. 국방외교의 등장 및 중요성-28
나. 이론적 배경 및 연혁-30
(1) 이론적 배경
(2) 우리 국방외교의 연혁
다. 국방외교의 개념 정립-38
(1) 국방외교의 위상
(2) 국방외교 수행체계
(3) 국방외교 정책목표와 추진전략
(4) 의사결정 및 정책결정 과정
(5) 국방외교의 범위와 영역
(6) 국방외교의 목적과 기능
라. 국방외교 활동 영향요인 및 주요 활동분야-51
(1) 국방외교 활동 영향요인 분석
(2) 주요 활동분야

3. 우리의 무관제도 및 무관운영
가. 무관제도의 등장 배경 및 의의-59
(1) 무관제도의 등장 배경
(2) 무관제도의 의의
나. 무관의 정의 및 구분-66
(1) 무관의 정의
(2) 무관의 구분
다. 무관의 임무와 기능-70
(1) 무관의 임무
(2) 무관의 기능
라. 무관부 운영 현황-73
(1) 재외在外 무관부
(2) 주한駐韓 외국무관부

Ⅲ 현실태 진단 및 개선방안-80

1. 국방외교 분야

가. 주변 4개국의 국방외교 활동 추이-80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러시아
나. 우리의 국방외교 활동 추진경과 및 실태-88
(1) 분야별 추진경과
(2) 최근까지의 추진실태 요약
다. 중점 추진(案)-114
(1) 정책 발전방향
(2) 조직·제도 분야
(3) 운영 분야

2. 무관운영 분야
가. 주요국가의 최근 무관운영 소개-129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최근 유럽국가의 무관운영 변화
(5) 기타 주요국의 부관운영 현황
(6) 요약 / 소결론
나. 최근까지의 무관제도 및 운영·관리 실태-158
(1) 선발·교육 관리
(2) 경력 관리
다. 중점 추진(案)-164
(1) 무관의 외교역량 강화
(2) 임무수행여건 보장 분야
(3) 인사관리 분야

Ⅳ 집필을 마무리하며-182

-187부록
1. 주요 용어 해설-189
2. 재외공관 무관주재령-193
3. 재외공관 무관주재령 시행규칙-196
4. 재외공관 주재 무관요원 선발 및 관리 훈령-201
5. 美 FAO(Foreign Area Officer, 지역전문장교) 제도 소개-209
6. 美 JMAS(Joint Military Attache School, 합동무관학교) 운영 소개-214
7. 중국·일본의 방산현황과 무관운영-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