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새로 읽는) 한국고전문학사 / 지은이 : 최강현
(새로 읽는) 한국고전문학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새로 읽는) 한국고전문학사 / 지은이 : 최강현
  • ·발행사항 서울 : 明文堂, 2019
  • ·형태사항 4책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내용: 1.고대편 -- 2.중고편 -- 3.고려편 -- 4.조선편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155045 (1)  04800: \20000 ISBN: 9791190155069 (2)  04800: \25000 ISBN: 9791190155076 (3)  04800: \25000 ISBN: 9791190155083 (4)  04800: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  
  • ·주제명 한국 고전 문학[韓國古典文學]한국 문학사[韓國文學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1 고대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1 810.9-19-14-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1 고대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2 810.9-19-14-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2 중고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3 810.9-19-1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2 중고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4 810.9-19-14-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3 고려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5 810.9-19-14-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3 고려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6 810.9-19-14-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4 조선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7 810.9-19-14-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4 조선편 지은이: 최강현 2019 SE0000476698 810.9-19-14-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국조 단제 영정들-2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7 
-책머리에-10 
-머리말-12 
-먼저 알기[범례]-19 
Ⅰ. 머리말-27 
Ⅱ. 한국 상고문학사의 현황-33 
1. 고려시대에 지어진 국문학사「삼국유사」-34
2. 조선시대에 지어진 국문학사「동문선」-39
3. 4250~4270(1917-1946)년대의 상고문학사-44
4. 4280(1947~1956)년대 상고문학사-53
5. 4290(1957-1966)년대 상고문학사-59
6. 4300(1967-1976)년대 상고문학사-67
7. 가야·탐라·발해국을 다룬 국문학사-75
Ⅲ. 한국 고전문학사의 지향(指向) 
1. 한국인의 뿌리-84
2. 천손족과 동이족-87
3. 한국인 어디에서 살았나?-121
4. 천속족 한국인의 말과 글-124
5. 한국 문학의 갈래-131
IV. 언제 어떤 문학이 있었나? 
1. 한국 첫째시대 원시문학-137
2. 한국 둘째시대 신시문학-143
3. 한국 셋째시대 밝다나라 문학-148
4. 한국 넷째시대 선진문학-165
5. 한국 다섯째시대 부여와 삼한 문학-298
Ⅴ. 맺음말-313 
-참고문헌-317 
-찾아보기-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