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마음의 새로운 과학 : 인지혁명의 역사 / 하워드 가드너 지음 ;장병탁,강윤희,김기현,김청택,이상훈,이인아,정민화,한성일 옮김
마음의 새로운 과학 : 인지혁명의 역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마음의 새로운 과학 : 인지혁명의 역사 / 하워드 가드너 지음 ;장병탁,강윤희,김기현,김청택,이상훈,이인아,정민화,한성일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형태사항 xii, 624 p. ;23 cm
  • ·주기사항 원표제:Mind's new science :history of the cognitive revolution
    원저자명: Howard Gardner
    참고문헌(p. 577-612)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18530  93180: \4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1.3  듀이십진분류법-> 153.4  
  • ·주제명 인지 심리학[認知心理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하워드 가드너 지음 ;장병탁,강윤희,김기현,김청택,이상훈,이인아,정민화,한성일 옮김 2018 SE0000474979 181.3-19-10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하워드 가드너 지음 ;장병탁,강윤희,김기현,김청택,이상훈,이인아,정민화,한성일 옮김 2018 SE0000474980 181.3-19-10=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역자서문

제1부 인지혁명

1장. 소개: 『메논』이 가져다준 것
1.1 그리스인들의 의제
1.2 인지과학의 정의와 범위
1.3 이 책의 목적과 계획

2장. 인지과학의 기반 구축
2.1 힉슨 심포지엄과 행동주의에 대한 도전
2.2 과학사의 중요한 한 순간
2.3 인지과학의 핵심적인 이론적 근원
2.4 촉매역할을 한 만남들과 주요 저작물

3장. 인지과학: 첫 몇 십 년
3.1 합의된 탄생일
3.2 1960년대: 차츰 박차를 가하다
3.3 슬로언 계획
3.4 인지과학의 주요 특성들

제2부 인지과학: 역사적 관점

4장. 이성, 경험, 그리고 철학의 위상
4.1 데카르트의 정신
4.2 데카르트에 대한 경험주의자의 반응
4.3 칸트와 토대 철학
4.4 논리경험주의자들의 기획
4.5 논리경험주의에 대한 해명과 철학의 수정된 역할들
4.6 리처드 로티: 인식론은 필요한가?
4.7 철학의 영역 보존하기
4.8 인식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들
4.9 완전한 인지주의자: 제리 포더
4.10 결론: 철학의 변증법적 역할

5장. 심리학: 방법과 내용의 만남
5.1 1950년대부터 시작되는 연구의 세 주축선
5.2 19세기의 과학적 심리학
5.3 20세기 초기
5.4 게슈탈트 심리학: 위에서의 관점
5.5 인지로의 전환
5.6 심리학의 공헌

6장. 인공지능: 전문가 도구
6.1 1956년 여름, 다트머스 회의
6.2 인공지능의 아이디어
6.3 다트머스 사인방의 프로그램
6.4 프로그래밍의 다른 이정표들
6.5 경이적인 SHRDLU
6.6 중추적인 이슈들
6.7 1970년대의 혁신
6.8 중국어 방
6.9 비판자와 옹호자: 계속되는 논쟁

7장. 언어학: 자율성을 위한 모색
7.1 처음에 무색의 초록 개념들이 있었고...
7.2 이전 시대의 언어학
7.3 촘스키의 생각의 진화
7.4 잠정적인 평가

8장. 인류학: 개별 사례를 넘어서
8.1 레비-브륄: 원시인의 마음을 탐구하다
8.2 에드워드 타일러: 학문으로서의 인류학을 시작하다
8.3 영국의 인류학
8.4 미국의 인류학
8.5 언어와 언어학의 특별한 지위
8.6 구조주의적 접근
8.7 민족과학
8.8 심리학의 개입
8.9 레비-브륄 재고

9장. 신경과학: 환원주의와의 구애
9.1 칼 래슐리, 연구 의제를 제시하다
9.2 신경의 기능은 얼마나 특이한가?
9.3 도널드 헵의 대담한 통합
9.4 힉슨 심포지엄을 재방문하다
9.5 휴벨과 비셀의 결정적인 논증
9.6 전체론적 견해
9.7 인지의 신경적 기반: 두 시스템에 관한 연구
9.8 신경과학은 인지과학에 종말을 고할 것인가?

제3부 통합 인지과학을 향해: 현재의 노력, 미래의 전망

서론

10장. 세상을 지각하기
10.1 지각의 영원한 퍼즐
10.2 컴퓨터 시뮬레이션
10.3 데이비드 마의 연구
10.4 지각에 대한 깁슨주의자의 견해
10.5 대조적인 관점들
10.6 대립의 해소방안

11장. 심적 이미지: 상상이 꾸며낸 허구?
11.1 서론: 심적 이미지의 역사
11.2 스티븐 코슬린의 모델

12장. 범주화된 세계
12.1 범주에 대한 고전적 견해
12.2 색 용어의 세계
12.3 개념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조망
12.4 범주화는 인지적 관점에서 연구될 수 있는가?

13장. 얼마나 합리적인 존재인가?
13.1 인간 사고 과정의 불합리성
13.2 인간의 인지 편향: 트버스키와 카너먼의 입장
13.3 결론

14장. 결론: 계산론적 패러독스와 인지적 과제
14.1 정신표상의 중심성
14.2 계산론적 패러독스
14.3 인지적 도전 과제

에필로그: 1984년 이후 인지과학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