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캠퍼스 디자인 : 학생이 성공하는 대학 만들기 / C. Carney Strange,James H. Banning 공저 ;배상훈,변수연,함승환,윤수경,전수빈 공역
캠퍼스 디자인 : 학생이 성공하는 대학 만들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캠퍼스 디자인 : 학생이 성공하는 대학 만들기 / C. Carney Strange,James H. Banning 공저 ;배상훈,변수연,함승환,윤수경,전수빈 공역
  •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9
  • ·형태사항 460 p. :삽화, 도표 ;23 cm
  • ·주기사항 원표제:Designing for learning :creating campus environments for student success(2nd ed.)
    원저자명: Charles Carney Strange, James H. Banning
    참고문헌(p. 413-452)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9717390  9337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7.3  듀이십진분류법-> 378.17  
  • ·주제명 대학 교육[大學敎育]교수법[敎授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C. Carney Strange,James H. Banning 공저 ;배상훈,변수연,함승환,윤수경,전수빈 공역 2019 SE0000472690 377.3-19-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C. Carney Strange,James H. Banning 공저 ;배상훈,변수연,함승환,윤수경,전수빈 공역 2019 SE0000472691 377.3-19-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차례

역자 서문 3
저자 서문 7


제1부 캠퍼스 환경의 구성 요소와 영향

 제1장 대학의 물리적 환경: 장소와 공간 구성의 중요성 33
 장소로서의 캠퍼스 36
 비언어적 메시지의 전달 44
 학습의 장소 54
 장소감을 통한 연결 70

 제2장 집합체로서 환경: 인간 특성의 영향 85
 인간 집합체로서 환경 89
 유유상종과 학생 하위문화 90
 개념의 종합과 정리 114

 제3장 조직 환경: 대학은 어떻게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가 125
 조직화된 환경의 본질 127
 조직화된 환경의 해부 134
 조직화된 환경의 역동성 152
 조직의 성과 159

 제4장 사회적으로 구성된 환경: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관점 171
 백문이 불여일견 175
 캠퍼스 문화 186

 제2부 성공적 학습과 성장을 촉진하는 캠퍼스 환경 만들기 
 학습의 기본적인 속성 198
 대학 캠퍼스 디자인의 위계 구조 205

 제5장 소속감과 안전감의 형성 촉진하기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형성하는 캠퍼스 환경 213
 사회적으로 구성된 요소들 223
 보편적 디자인의 원칙 239
 캠퍼스 평가와 대응 방법 252

 제6장 학생 참여 이끌어 내기 265
 학습 참여 이론 267
 대학생의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물리적 환경 273
 학생 참여를 촉진하는 인간 집합적 환경 281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조직 환경 283
 학생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 구성적 환경 288
 캠퍼스 환경 진단과 대응 293

 제7장 학습 공동체 만들기 297
 공동체의 특징 300
 성공적인 공동체 303
 공동체의 다양한 차원들 305
 대학에서 공동체 만들기와 도전 315
 평가와 기관의 대응 325

 제8장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통한 학습 333
 지금까지 일어난 일들 335
 현재의 상황 338
 다가올 미래 368

 제9장 학생 성공과 학습 증진을 위한 캠퍼스 디자인과 진단 375
 학습 생태계를 지향하며 376
 캠퍼스 디자인 매트릭스 380
 학생 발달 생태계 385
 대학의 교육 정책과 실천 전략들 393

 참고문헌 413
 찾아보기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