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 시스코 전문가가 말하는 네트워크 따라잡기.vol. 1-2 / 진강훈 외 지음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 시스코 전문가가 말하는 네트워크 따라잡기. vol. 1-2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 시스코 전문가가 말하는 네트워크 따라잡기.vol. 1-2 / 진강훈 외 지음
  • ·판사항 3차 개정증보 4판
  • ·발행사항 서울 : BM성안당, 2018, (2019 2쇄)
  • ·형태사항 2책 :천연색삽화 ;28 cm
  • ·총서사항 (BM성안당 ;8292)
  • ·주기사항 권말부록: 네트워킹을 하면서 꼭 알아두어야 할 약어 등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1582925 (vol. 1)  13000: \17500 ISBN: 9788931582925 (vol. 2)  13000: \17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04.57  듀이십진분류법-> 004.67  
  • ·주제명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vol. 1 진강훈 외 지음 2018 SE0000467640 004.57-19-2-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vol. 2 진강훈 외 지음 2018 SE0000467641 004.57-19-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Vol. 1]

PART 01 네트워크 세상에 들어서며
01 네트워크가 없어도 잘 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014
02 이제는 인터넷 세상-015
03 네트워킹의 정체-016
04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017

PART 02 네트워크와 케이블, 그리고 친구들
01 LAN(Local Area Network)이란?-022
02 이더넷은 인터넷의 친구?-023
03 그럼 토큰링(TokenRing)은요?-027
04 UTP 케이블만이라도 제대로 알아볼까요?-030
05 케이블, 이 정도만 알면…-032
06 맥 어드레스(MAC Address)에 대한 이야기-038
07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044
08 OSI 7 Layer(계층)는 왜 만들어졌나요?-051
09 컴퓨터는 프로토콜(Protocol)로 말한다-055

PART 03 TCP/IP와의 만남
01 TCP/IP를 모르면 인터넷을 아는 게 아니다?-060
02 이 세상에서 나만을 위한 유일한 것-063
03 컴퓨터는 이진수로만 이해한다는데…-067
04 이진수 계산 그 첫 번째-069
05 이진수 계산 그 두 번째-072

PART 04 네트워크 장비에 관한 이야기
01 랜카드도 세팅해야 되나요?-086
02 허브이야기 그 첫 번째-091
03 허브의 한계-096
04 허브 이야기 그 두 번째-098
05 허브의 끝과 스위치의 시작-101
06 험한 세상의 브리지(다리?)되어 그대 지키리-106
07 브리지/스위치의 기능-108
08 Looping(뺑뺑이)은 왜 생길까요?-119
09 스패닝 트리되지 않는 스위치는 팥 없는 찐빵!-122
10 라우팅이냐, 스위칭이냐?-125

PART 05 IP 주소로의 여행
01 IP 주소 이야기 - 1탄-134
02 라우터에서의 IP 주소 이해-136
03 IP 주소 이야기 - 2탄-139
04 IP 주소 이야기 - 3탄-142
05 IP 주소의 활용-149
06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의 시작-153
07 서브넷 마스크에도 기본은 있다-156
08 서브넷 마스크의 기본 성질-161
09 서브넷 마스크, 그 속으로…-166
10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시험-178
11 IP와 서브넷에 대한 정리-185

PART 06 스위치를 켜라!
01 스위치와 브리지-192
02 스패닝 트리로 가는 첫 번째 관문 2가지-193
03 스패닝 트리를 잘하려면 3가지만 기억하세요!-198
04 누가 누가 더 센가? STP에서 힘 겨루기-201
05 스위치에서 대장 브리지(루트 브리지) 뽑기-204
06 졸병 브리지(Non Root Bridge)의 루트 포트 선출기-211
07 스패닝 트리의 마지막 단계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 뽑기-214
08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5가지 상태 변화-217
09 배운 거 써먹기 - 직접 한 번 구성해 보자구요!-221
10 스패닝 트리에 변화가 생기던 날-229
11 카타리스트 스위치 바라보기-235
12 카타리스트 스위치 구성하기-241
13 맥 어드레스는 어디에 저장되어 있을까요?-252
14 가상의 랜(Virtual LAN)이란?-256
15 VLAN에서 꼭 기억해야 할 몇 가지-261
16 VLAN에서의 트렁킹과 VTP(VLAN Trunking Protocol)-265
17 VLAN의 구성-276
18 실제 상황! VLAN-293

PART 07 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
01 라우터를 한 마디로 말하자면…-306
02 라우터는 무슨 일을 할까요?-308
03 라우터는 어떻게 생긴 녀석일까요?-309
04 라우팅 프로토콜과 라우티드 프로토콜-315
05 스태틱(Static) 라우팅 프로토콜과 다이내밀(Dynamic) 라우팅 프로토콜-318
06 라우팅 테이블에 대한 이야기-320
07 AS 그리고 내부용과 외부용 라우팅 프로토콜-323
08 라우터 구성의 시작-326
09 라우터의 중요한 몇 가지 모드-333
10 라우터 안에는 어떤 것들이 살까요?-339
11 내가 가진 라우터의 현재 정보는 모두 이곳에!-350
12 라우터 셋업 모드-357
13 라우터에 명령을 입력하는 두 번째 방법-370
14 스태틱(Static) 라우팅을 이용한 라우터 구성-383
15 스태틱 라우팅만 알면 디폴트 라우트는 식은 죽 먹기-391
16 라우터의 구성 명령에 대한 버전별 정리-411
17 디스턴스 벡터(Distance Vector)와 링크 스테이트(Link State)-419
18 라우터의 패스워드 구성-426
19 시스코 라우터의 친구 찾기 CDP-433
20 텔넷(Telnet)을 이용한 장비 접속-440
21 핑(Ping)과 트레이스(Trace)-445

찾아보기-452

[Vol. 2]

PART 08 라우팅 프로토콜과의 한판
01 RIP라는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이야기-008
02 RIP와 함께 춤을?-014
03 Distance - Vector 라우팅 알고리즘에서의 문제점과 해결책-034
04 IGRP 라우팅 프로토콜-044
05 OSPF 라우팅 프로토콜-072

PART 09 라우터, 그 속으로 전진!
01 네트워크 접근 제어 액세스 리스트(Access List)-096
02 액세스 리스트에서 이것만 알면 다 안다-099
03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의 시작-104
04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의 예제-109
05 텔넷포트(VTY Port)에서의 액세스 리스트-116
06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Extended Access List)-118
07 라우터의 장애 대비 HSRP-124
08 IP 주소의 변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131

PART 10 세상을 넓고 네트워킹은 계속된다
01 WAN은 어렵다?-140
02 HDLC보다 괜찮은 PPP-144
03 프레임 릴레이(Frame-Relay) 구성-151
04 ISDN의 추억-166

PART 11 선이 없는 세상, 무선으로의 여행
01 무선으로의 여행-174
02 무선 랜에서의 두 가지 중요한 모드-178
03 무선 랜의 통신 표준-182
04 무선 통신에서의 인코딩 3가지-187
05 무선 네트워크에도 이름이 있답니다 - SSID-189
06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보안-194
07 AP를 직접 만져보자-198
08 AP를 직접 구성해볼까요?-202
09 정말 색다른 네트워크 장비(?)-208

PART 12 IPv6로 떠나는 여행
01 IPv6, 왜 필요한 걸까요?-214
02 IPv6의 탄생-218
03 왜 갑자기 IPv4에서 IPv6로 뛰었을까요?-220
04 IPv6에서 무엇이 달라졌냐고 묻는다면…-222
05 IPv6의 주요 특징에 대한 첫 번째 이야기-229
06 IPv6의 주요 특징에 대한 두 번째 이야기-235
07 IPv6 주소는 어떻게 생겼을까요?-246
08 IPv6와의 어색한 동거-252
09 라우터에서 IPv6 구성-254

APPENDIX 부록
01 네트워킹을 하면서 꼭 알아두어야 할 약어-264
02 시스코 장비의 패스워드 복구 방법-304
03 라우터 실습-309
04 서브넷 마스크 해설-325
05 네트워크의 기초-338

찾아보기-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