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여성학강의 = An introduction to women's studies : 일곱 번째 이야기 /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엮음 ;김정화,오정진,김경례,김은진,오미영,임은주,이안나,김혜정,최희경,안미수,백수진,박해숙,류진아 [지음]
여성학강의 = An introduction to women's studies : 일곱 번째 이야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여성학강의 = An introduction to women's studies : 일곱 번째 이야기 /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엮음 ;김정화,오정진,김경례,김은진,오미영,임은주,이안나,김혜정,최희경,안미수,백수진,박해숙,류진아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신정, 2019
  • ·형태사항 277 p. :삽화, 도표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124848  9333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7.1  듀이십진분류법-> 305.4  
  • ·주제명 여성학[女性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엮음 ;김정화,오정진,김경례,김은진,오미영,임은주,이안나,김혜정,최희경,안미수,백수진,박해숙,류진아 [지음] 2019 SE0000457388 337.1-19-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엮음 ;김정화,오정진,김경례,김은진,오미영,임은주,이안나,김혜정,최희경,안미수,백수진,박해숙,류진아 [지음] 2019 SE0000457389 337.1-19-1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3

1장 “나는 페미니스트다”: 한국 페미니즘의 역사
'페미니즘'이 뭐라고?-13
근대여성, 담을 넘어 집 밖으로 나서다!-17
근우회와 신여성-20
크리스챤 아카데미와 여성운동 전성시대-23
호주제 폐지에 담긴 정신-28
페미니스트 선언 이후-30

2장 삶에서 젠더는, 때로 남루하다
남자가 좋아?여자가 좋아?-38
성별이 뭐라고:젠더의 과대대표성, 핍진성-40
황폐한 성별 정체성-41
무한하고 풍요로운 존재의 차이-48
총체적인 세계성을 살자-50
결론 및 요약-50

3장 여성의 몸과 사회
'여성의 몸':제기되는 문제들-57
타고난 몸, 만들어진 몸, 생산(생성)하는 몸-59
생식(인간재생산)하는 몸-64
아름다운 몸-69
결론 및 요약- 다양한 몸들과 평등한 사회-73

4장 미디어로 젠더 읽기 
TV속 젠더-81
대중가요,영화 속 젠더-85
광고, 인터넷과 모바일 속 젠더-89
여성의 목소리 내기와 백래시-96

5장 성을 말하다: 섹슈얼리티 말하기와 질문하기
성을 말하다:섹슈얼리티 말랗기와 질문하기-103
우리사회의 성문화 읽기-106
섹슈얼리티, 변화를 꿈꾸며-118

6장 신자유주의시대의 사랑과 연애
새롭지만 위험한 자유와 불안한 청춘들-125
연애 권하는 사회와 연애불능의 청춘들-128
사랑은 아~무나 하나?어느 누가 쉽다고 했나?-132
새로운 자유를 찾아 새롭게 사랑하라!-143

7장 변화하는 사회, 변화하는 가족
점점 더 작아지는 가족-151
1인 가구, 낭만과 외로움 사이-152
다양한 가족의 등장-154
결혼은 계약이다-156
이혼인 듯 이혼 아닌 졸혼을 권하다-158
모성 이데올로기와 죄책감-159
슈퍼맘과 맘충-161
가족 내 권력과 불평등의 문제, 가정폭력-163
대인가족을 꿈꾸며-166

8장 돌봄에도 민주주의가 필요하다
우리 삶을 이루는 돌봄의 조각들-173
돌봄의 책임과 권리-174
남자는 돌보지 않는다, 다만 돌봄을 받을 뿐이다?-175
가족 돌봄과 돌봄 노동은 동전의 양면-178
평생 돌봄의 결과는 빈곤과 의존-180
돌봄에도 민주주의가 필요하다-182
결론 및 요약:돌봄공동체를 향하여-184

9장 평등하게 일하기
나에게 '일'이란?-192
나의 희망 직업:성별화된 교육과의 상호 영양-195
차별의 개념: 직접차별과 간접차별-198
최초의 여성 ㅇㅇㅇ들,  유리천장은 깨졌는가?-200
성별임금격차, 능력차이일까?성차별일까?-203
경력단절은 왜 문제일까?-205
성평등 노동을 위하여-207

10장 젠더, 아레나가 아니라 아고라
현대사회의 젠더는 왜 갈등하는가?-215
한국 1기 젠더 갈등:표현의 시대-217
한국 2차 젠더 갈등:혐오의 시대-219
젠더 갈등과 '감남역 살인사건'-222
젠더, 아레나가 아닌 아고라를 위해-225
글을 마치면서-227

11장 성평등과 여성정책
나아진듯 나아지지 않은 현실-235
여성정책, 현실에 등장하다-239
성별영향평가로 정책을 성 주류화하다-241
여성정책의 효과는 남성에 대한 역차별만 남기고-246
단일하지 않은 여성과 남성 사이에서 성평등 실현하기-250


12장 글로벌 시대, 여성의 이주와 삶
글로벌 시대, 국경을 넘는 사람들-259
지구화, 야누스의 두 얼굴-260
신화 속에 갇힌 아시아 여성들-261
글로벌 엄마, 수출되는 모성-262
수입되는 신부들,누구를 위하여?264
욕망 충족의 도구로 전락한 이주여성들-268
국내에서의 여성이주의 장벽들-270
글로컬 공간에서의 공존을 위하여-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