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무형유산을 바라보는 다층적 시각 /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편 ;글쓴이 : 이정훈,정성미,함한희,홍태한,박순철,이정송,이종주,윤동환,오세미나,김빛나라,조나영
무형유산을 바라보는 다층적 시각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무형유산을 바라보는 다층적 시각 /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편 ;글쓴이 : 이정훈,정성미,함한희,홍태한,박순철,이정송,이종주,윤동환,오세미나,김빛나라,조나영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9
  • ·형태사항 297 p. :삽화, 도표 ;24 cm
  • ·총서사항 (무형유산정보연구소 학술총서 ;2)(민속원 ;1669)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87-295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2881  94380: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00.15  듀이십진분류법-> 353.7  
  • ·주제명 무형 문화[無形文化]문화 유산[文化遺産]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편 ;글쓴이: 이정훈,정성미,함한희,홍태한,박순철,이정송,이종주,윤동환,오세미나,김빛나라,조나영 2019 SE0000459125 600.15-19-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편 ;글쓴이: 이정훈,정성미,함한희,홍태한,박순철,이정송,이종주,윤동환,오세미나,김빛나라,조나영 2019 SE0000459126 600.15-19-5=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을 겸한 해제|함한희-5

1부|무형유산 정체성 탐구의 다양성-17

무형문화와 전통유산으로서의 설화 연구방법론|이정훈-19
Ⅰ. 설화연구 성과 검토-현장Context과 작품Text 사이의 진자운동振子運動-21
Ⅱ. 설화와 무형문화유산적 독해-25
Ⅲ. 설화의 무형문화유산적 연구방법론 네 가지-66

악기장의 전통지식 및 기술 변화에 대한 의미와 장인 정체성 연구|정성미-39
Ⅰ. 머리말-41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45
Ⅲ. 전통지식과 과학적 지식의 경계-47
Ⅳ. 전통과 창조의 모호성-57
Ⅴ. 새로운 장인정체성-69
Ⅵ. 맺음말-73

유네스코 협약체제로 인한 남북한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의 변화와 갈등|함한희-79
Ⅰ. 머리말-81
Ⅱ. 무형문화유산의 개념화 작업과 등재제도-83
Ⅲ. 아리랑과 김치, 중복 등재의 문제-91
Ⅳ. 남북한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책-95
Ⅴ. 맺음말-102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서울굿을 중심으로|홍태한-105
Ⅰ. 원형에서 전형으로-107
Ⅱ. 무형문화재 교육 방법의 사례 검토-110
Ⅲ. 무형문화재 제도에 따른 굿 학습 방법의 변화-117
Ⅳ. 맺음말-무형문화재 제도와 굿 학습-124

딥 러닝을 이용한 무형유산 텍스트 문서의 시대적 분석-이치피디아 설화 자료 중심으로-|박순철·이정송-129
Ⅰ. 서론-131
Ⅱ. 시대적 분석의 필요성과 이치피디아-133
Ⅲ. 딥 러닝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136
Ⅳ. CNN을 이용한 무형유산 텍스트 문서 시대적 분석 시스템-139
Ⅴ. 실험 및 결과 분석-142
Ⅵ. 결론-144

2부|무형유산 현장성 탐구의 다층성-145

어린이의 사회화와 원형화소 시론-<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이종주-147
Ⅰ. 서론-149
Ⅱ. 기본 구조:창조신화인가, 민담인가-153
Ⅲ. 엄마와 오누이의 대비적 서사구조-157
Ⅳ. 호랑이와 오누이의 대립구조:해달 상징과 어린이 사회화-163
Ⅴ. “해와 달”의 원형화소와 독일 동화의 사례-167
Ⅵ. 결론:변이화소와 문화적 재창조의 문제-171

무당굿 연행의 구조와 원리|윤동환-177
Ⅰ. 서론-179
Ⅱ. 굿의 구성과 연행요소-181
Ⅲ. 연행요소의 특성과 연행단락-184
Ⅳ. 굿의 유형과 주연행요소-190
Ⅴ. 결론-197

폐백음식의 상업화와 변화 양상-전주지역을 중심으로-|오세미나-199
Ⅰ. 머리말-201
Ⅱ. 선행연구검토-202
Ⅲ. 과거의 폐백음식-206
Ⅳ. 결혼식장과 함께 등장한 전문폐백음식업체-210
Ⅴ. 전주폐백음식의 변화 양상-213
Ⅵ. 맺음말-222

삼베짜기 복원과 삼베마을 탄생을 둘러싼 제 문제|김빛나라-227
Ⅰ. 머리말-229
Ⅱ. 사양길로 들어선 삼베-230
Ⅲ. 삼베짜기의 복원-234
Ⅳ. 문화적 실천과 문화유산의 정치 사이에서-237
Ⅴ. 남은 문제들-240
Ⅵ. 맺음말-242

실크로드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대화형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박순철·이정송-245
Ⅰ. 서론-247
Ⅱ. 무형문화유산과 실크로드 온라인 플랫폼-248
Ⅲ. 실크로드의 대화형 플랫폼 구축-252
Ⅳ. 실크로드 국가 간의 디지털 격차-253
Ⅴ. ICT의 기술 격차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254
Ⅵ. 결론-256

장소기억을 통해 바라본 전주미래유산|조나영-259
Ⅰ. 머리말-261
Ⅱ. 전주미래유산의 탄생-267
Ⅲ. 기억에서 미래유산으로-271
Ⅳ. 맺음말-282

참고문헌-287
원전출처-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