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풍수 역사 이론 비평 : 풍수의 비밀코드를 밝히다 / 지은이 : 박정해
풍수 역사 이론 비평 : 풍수의 비밀코드를 밝히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풍수 역사 이론 비평 : 풍수의 비밀코드를 밝히다 / 지은이 : 박정해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8
  • ·형태사항 334 p.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지도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18-325)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2430  93380: \3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8.4  듀이십진분류법-> 133.3337  
  • ·주제명 지관[地官]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박정해 2018 SE0000456656 188.4-19-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박정해 2018 SE0000456657 188.4-19-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추천사 = 4
책을 펴내며 = 6
제1부 풍수논리와 현상 
  1장『금낭경』에 나타난 바람의 의미와 논리성 = 14
    1. 고전에 나타난 바람인식 = 14
    2. 기승풍즉산의 원리와 응용 = 19
    3.『금낭경』의 관점에서 본 바람의 의미와 논리성 그리고 한계성 = 22
  2장 풍수논리 속의 물(水) = 30
    1. 물의 인식과 활용 = 30
    2. 물의 풍수구성과 역사 = 37
제2부 풍수논리의 비교연구 
  3장 형세풍수와 이기풍수의 역사비교 연구 = 48
    1.『청오경』에 '풍수자성'이라 등장한 풍수 = 48
    2. 형세풍수의 역사와 특징 = 50
    3. 이기풍수의 역사와 특징 = 52
    4. 형세풍수와 이기풍수의 비교와 활용 = 55
  4장 양택풍수와 음택풍수 논리구성의 특징 비교분석 = 65
    1. 양택풍수와 음택풍수의 역사와 풍수서 = 65
    2. 양택과 음택풍수의 구성 = 70
    3. 양택풍수와 음택풍수의 비교 = 80
제3부 풍수논리의 인식과 방향성 
  5장 조선 유학자들의 동기감응론 인식 = 86
    1. 동기감응론의 어원과 다양한 논의 = 86
    2. 동기감응론의 비판적 시각 = 95
    3. 조선 유학자들의 풍수에 대한 양면성 = 100
    4. 조선 유학자들의 동기감응론 인식 = 104
  6장 동기감응론의 한계성에 따른 방향성 모색 = 111
    1. 동기감응론의 인식과 비교 = 111
    2. 사례를 통한 동기감응론의 한계성 제시 = 118
제4부 풍수의 발전과 특징 
  7장 나경의 발전과 특징분석 = 130
    1. 중국 나경의 발전과 특징 = 130
    2. 한국 윤도 및 나경의 역사 = 136
    3. 나경의 특징분석 = 140
  8장 명당의 의미와 특징분석 = 149
    1. 명당의 역사와 특징 = 149
    2. 풍수서에 나타난 명당의 특징과 형상분류 = 156
제5부 풍수논리의 역사적 전개 
  9장 풍수 발복론의 역사적 전개와 한계성 비판 = 168
    1. 풍수 발복론의 참위ㆍ도참설과의 결합 = 168
    2. 풍수 발복론의 논리구성과 역사적 변화 = 173
    3. 풍수 발복론의 한계성 비판 = 179
  10장 용론을 이끈 풍수서와 시대별 발전과정 = 185
    1. 풍수고전에 나타난 용의 어원과 시대별 특징 = 185
    2. 용론의 풍수적 구성 = 189
    3. 용론을 이끈 풍수서의 비교와 용론의 시대별 발전과정 = 195
  11장 풍수 혈의 형상과 이론의 역사적 전개 = 206
    1. 혈의 정의 및 이론정립 = 206
    2. 혈 형상의 구성과 분류 = 212
    3. 혈법의 역사적 전개 = 221
  12장 사격의 역사와 풍수적 해석 = 228
    1. 사격론과 이상향 = 228
    2. 사격 구성요소의 특징과 의미 = 231
    3. 사격의 역사와 풍수적 해석 = 237
제6부 풍수논리의 분석과 시도 
  13장 호순신『지리신법』의 논리성과 한계성 분석 = 248
    1.『지리신법』의 역사와 이론구성 = 248
    2. 호순신『지리신법』의 인식체계 = 258
    3.『지리신법』의 차별성과 한계성 = 264
  14장 물형론의 역사와 음ㆍ양택 산도 = 271
    1. 유상유형의 물형론 구성 = 271
    2. 유형유기의 물형론 역사와 활용 = 278
    3. 음ㆍ양택 산도의 사례와 특징 = 286
  15장『택리지』가 가지고 있는 양택론의 특징과 현실적 가치 = 295
    1.『택리지』의 역사성과 본질 = 295
    2.『택리지』의 구성과 양택론 = 299
    3. 이중환의 지리인식과 현대화 논리의 대응성 = 313
참고문헌 = 318
찾아보기 =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