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우리 아이 독서 고수 만들기 : 행복한 공부의 신 프로젝트-현명한 유·초등 부모되기 / 글 : 정용호
우리 아이 독서 고수 만들기 : 행복한 공부의 신 프로젝트-현명한 유·초등 부모되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우리 아이 독서 고수 만들기 : 행복한 공부의 신 프로젝트-현명한 유·초등 부모되기 / 글 : 정용호
  • ·판사항 2판, 2018년 개정판
  • ·발행사항 고양 : 행공신, 2018
  • ·형태사항 255 p. :천연색삽화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5902088  23040: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29.8  듀이십진분류법-> 028.5  
  • ·주제명 어린이 독서[--讀書]독서 지도[讀書指導]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 정용호 2018 SE0000452561 029.8-19-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Part Ⅰ 독서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1. 독서란 무엇일까? - 18
2. ‘학습’에 대한 오해부터 바로잡기 - 20
3. 학습에서 ‘지식’이 가장 중요할까? - 22
4. 독서의 가장 큰 효과는 배경지식 습득일까? - 24
5. 책을 읽을 때 ‘이해’라는 사고만 할까?   - 28
6. 왜 책을 많이 읽으면 사고력이 좋아질까? - 30
7. 지식 습득에서는 이름이나 명칭이 가장 중요할까? - 32
8. 책 내용의 얼마만큼을 기억할 수 있을까? - 34
9. 단순 암기는 왜 기억에서 금방 사라질까? - 39
10. 다독을 하면 배경지식이 많아질까? - 42
11.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끼치는 독서의 영향은 얼만큼일까?  - 44
12. 읽기란 텍스트의 의미 파악만을 뜻할까? - 47
13. 한글책 읽기 능력과 영어 습득은 별개일까? - 49
14. 책 읽기는 무조건 좋은 걸까?  - 51
15. 좋은 책만 골라 주면 아이가 책을 잘 볼까? - 54
16.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독서는 특별할까? - 58

Part Ⅱ 언제, 어떤 책을 골라야 하나?
1. 책 선택의 첫 번째 기준 - 내 아이 - 62
2. 책 선택의 두 번째 기준 - 뇌 발달 - 65
3. 0~6세 유아의 발달 특성과 책 선택시 참고할 도서 - 70
4. 책 선택의 세 번째 기준 -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 - 73
5. 책 선택의 네 번째 기준 - 사회부터? 과학부터? - 76
6. 책 선택의 다섯 번째 기준 - 초등학교 교육과정 - 80
7. 책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 83 
8. 재미있는 문학책이란 어떤 책일까? - 85
9. 왜 비문학 책 읽기가 중요한가? - 87
10. 쉬운 비문학 책이란 어떤 책일까?  - 90  
11. 재미있는 비문학 책이란 어떤 책일까?  - 92 
12. ‘아는 재미’를 쉽게 느낄 수 있는 비문학 책은 어떤 책일까? - 95  
13. 한국사 책 고르는 기준은 무엇일까? - 99
14. 재미있는 역사책이란 어떤 책일까?  - 103   
15. 위인전을 고르는 기준  - 105    
16. 자연관찰 책을 고르는 기준  - 109  
17. 명작을 고르는 기준 - 111
18. 리더쉽 동화 꼭 읽어야 하나? - 113  
19. 단행본이 좋을까? 전집이 좋을까? - 115
20. 학습만화? 좋을까! 나쁠까! - 117
21. 책을 잘 보는 아이라면 학습만화를 어떻게 활용할까?  - 119  
22. 학습만화만 보는 아이라면 어떻게 해야 하나? - 121
23. 괜찮은 학습만화를 고르는 기준 - 124
24. 인문고전은 언제 읽어야 하나? - 125

Part Ⅲ 국영수보다 독서가 더 중요해진 이유
1. 이제는 국영수보다 독서가 더 중요해요!  - 130  
2. 학교생활기록부로 알 수 있는 독서의 중요성 - 131
3. 학교 시험 점수에도 큰 영향을 주는 독서 - 134
4. 고입과 대입 면접에도 큰 영향을 주는 독서 - 136
5. 국어와 영어 성적을 결정하는 독서 - 137
6. 쓰기 평가로도 알 수 있는 독서의 중요성 - 139   
7. 정리해 볼게요! - 141

Part Ⅳ 책 읽기 FAQ
1. 뇌가 80% 정도 발달하는 0~3세 때 책을 많이 읽어야 할까요?  - 146
2. 언제까지 읽어 주어야 하나요? - 150
3. 읽기 독립은 언제, 어떻게 해야 하나요? - 152
4. 그림책은 어떻게 읽어 주고, 언제까지 봐야 하나요? - 155
5. 첫째와 둘째의 책 읽기 진행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157
6. 독후활동 꼭 필요한가요? 자기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면 좋은가요? - 159
7. 책보다 노는 것을 더 좋아하는 아이는 어떻게 할까요? - 163
8. 책만 많이 보면 공부를 잘 하게 될까요? - 164
9. 정독이 중요한가요? 다독이 중요한가요? 적당한 독서량이란?   - 167
10. 혼자 읽을 때 소리내서 읽어야 하나요? - 169
11. 아이가 직접 책을 고르는 것이 좋을까요? - 172
12. 책 편식 어떻게 해야 하나요?  - 174  
13. 명작, 전래 무섭다는 아이 기다려 줘야 하나요? 안 읽어도 상관 없나요? - 176
14. 책만 많이 읽어주면 한글도 뗄 수 있나요?  - 177
15. 융합 독서가 중요한가요? - 180
16. 초등 중학년이 넘었는데 책을 멀리 하는 아이는 어떻게? - 184
17. 토론도 해야 하나요?  - 187
18. 쓰기(독서록, 독서일기, 논술), 얼마나 잘 써야 하나요? - 189
19. 부모의 의견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은가요?  - 193
20. 책을 볼 때 반드시 바른 자세로 봐야 하나요? - 195
21. 책 읽어 주는 남편으로 이끌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198

Part Ⅴ 세가지소원 추천 도서 목록
4~6세 추천 도서 - 205
7세~초등 2학년 추천 도서 - 227
초등 3학년~6학년 추천 도서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