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초등 학부모 상담 / 지은이 : 김연민,김태승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초등 학부모 상담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초등 학부모 상담 / 지은이 : 김연민,김태승
  • ·발행사항 안산 : 푸른칠판, 2019
  • ·형태사항 239 p. :삽화 ;21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6537500  1337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2.61  듀이십진분류법-> 371.4  
  • ·주제명 학부모[學父母]교육 상담[敎育相談]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연민,김태승 2019 SE0000449261 372.61-19-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연민,김태승 지음 2019 SE0000461126 372.61-19-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연민,김태승 지음 2019 SE0000462037 372.61-19-1=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며

Part 1 학부모 상담이 두려운 당신, 지극히 정상이다 

1. 학부모 상담이 자신 없다면? - 14
- 교사라면 피할 수 없는 학부모 상담
- ‘교육 전문가’라는 의욕이 만든 긴장감
- 학교 상담의 근원적 문제
- 걸음마는 언젠가 달리기가 된다

2. 모든 학부모와 상담을 꼭 해야 할까? - 23
- 열 번의 공개수업보다 나은 한 번의 학부모 상담
- 해결이 아닌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
- 교사는 학부모 상담 최고의 수혜자

3. 도대체 학부모 상담이 뭐길래? - 33
- 쉽게 정의할 수 없는 ‘학부모 상담’
- 학부모 상담의 다양한 영역
- 주인공이 빠진 학부모 상담
- 라포Rapport를 넘어선 작업동맹Working alliance
- 학부모와의 작업동맹 체크리스트

4. 어렵게 느껴지는 학부모 상담의 숨은 진실 - 44
- 진실 1) 자동적 사고 속에 숨어 있는 비합리적 신념을 잡아라
- 진실 2) 회피 동기를 접근 동기로 바꾸자
- 진실 3) 교사로서의 인정 욕구를 바라보자
- 진실 4) 학생의 ‘평소 생활 모습’을 기록하라는 말의 오해
- 진실 5) 학부모 상담은 ‘학부모도’ 어려워한다

* 학부모에게 묻는 학부모 상담 : 학부모는 상담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Part 2 준비가 반이다, 학부모 상담
 
1. 막막함을 덜고 자신감은 더하는 상담 준비 - 64
- 학부모 상담 장소부터 점검하자
-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자리 배치
- 학생의 다양한 장점들을 찾아 놓자
- 학생의 욕구를 충족시킬 전략을 세워 두자
- 학부모 상담 신청서를 ‘잘’ 활용하자
- 알아 두면 쓸모 있는 관찰 포인트

2. 내가 아는 학생 정보는 보험이다 - 78
- 알고 있는 만큼 말할 수 있다
- 학부모의 양육 방식을 알면 학생이 보인다?
- 학생의 최근 생각을 알아보는 학급 활동
- ‘가장 바쁜 시간표’로 학생의 스트레스 원인 알기
- 교우 관계도로 향후 교우 관계 중심 살펴보기
- 상담 과정 기록을 위해 스스로 점검하기

3. 상담 준비, 이것만큼은 조심하자 - 94
- 섣부른 넘겨짚기는 위험하다
- 교사는 형사도, 성직자도 아니다

* 학부모에게 묻는 학부모 상담 : 학부모도 상담이 두렵고 불편하다

Part 3 학부모 상담 기술, 이것만 알아 두자

1. 학부모 상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 108 
- ‘옳은 말’보다 ‘좋은 말’에 대한 감각을 키우자 
- ‘팩트 폭력’이 아닌, 따뜻한 환대와 성장의 시간을 만들자 
- 환대의 말, 이것만은 조심하자

2. 공허한 상담을 막는 핵심 기술 ①_욕구 파악, 지금 여기 - 119 
- 상담이 공허해지는 이유 
- 상담 내용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 
- ‘이야기 내용’보다 ‘말하는 의도와 욕구’ 파악 
- ‘지금 여기’에 집중하기

3. 깊이 있는 상담으로 이끄는 핵심 기술 ②_경공반명 - 131 
- 겉도는 대화, 무엇이 문제일까 
- 경청의 첫걸음은 ‘목적 있는’ 듣기 
- 적극적 경청은 반응이 중요하다 
- 연습할수록 익숙해지는 ‘경청’ 
- 공감을 ‘공감답게’ 하기 
- 상대를 비추는 거울이 되는 ‘반영’ 
- 상대의 대화를 명확하게 해 주는 ‘명료화’

4. 학부모를 이해하면 상담이 쉬워진다 - 147 
- 교사를 힘들게 하는 학부모 유형 
- 교사의 이야기를 듣지 못하는 학부모 
- 관점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학부모 
- 교육이나 양육에 관심 없는 학부모 
- 학부모가 교사에게 모든 것을 맡긴다고 한다면? 
- 학부모의 상황을 고려해 보자 
- 학부모 상담이 본질을 벗어날 때 

5. 화가 난 학부모와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 - 164 
- 상담에서만큼은 맞불작전이 의미 없다 
- ‘화’의 원인을 바라보면 답이 있다 
-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할까ㆍ

6. 상담, 그 이후가 중요하다 - 176 
- 상담의 진짜 주인공은? 
- 상담의 주요 내용을 학생과 ‘공유’하라 
- 상담 이후의 학생 모습을 학부모와 나누자 
- 학부모 상담을 학급 활동으로 연계하자 
- 상담 이후의 모습을 기록하기 
- 다음 걸음에 용기를 주기 위해

7. 학부모 민원이나 상담에서 이것만은 꼭 기억하자! - 186

* 학부모에게 묻는 학부모 상담 : 상담 이후 선생님을 더 신뢰하게 되었어요!

Part 4 학부모 상담, 즉문즉설

1. 학부모 고민 해결 - 203
- 학습 태도 / 생활 습관 / 교우 관계 / 자녀와의 관계 / 사교육 고민

2. 선생님 고민 해결 - 220
- 상담 전 학생 파악이 고민될 때 / 상담 중 난감한 상황에 처했을 때 / 상담 중 오해 해소와 더 나은 해결이 필요할 때 / 그 밖에 더 좋은 상담을 원할 때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