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인의) 언어 문자 : 우리말에 귀를 대면 / 지은이 : 심재기
(한국인의) 언어 문자 : 우리말에 귀를 대면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인의) 언어 문자 : 우리말에 귀를 대면 / 지은이 : 심재기
  • ·발행사항 서울 : 明文堂, 2019
  • ·형태사항 419 p. ;19 cm
  • ·총서사항 (명문동양문고 ;10)(심재기 교수 산문선 ;3)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8020782  03810 : \1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710.4  듀이십진분류법-> 495.7  
  • ·주제명 한국어[韓國語]수필집[隨筆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심재기 2019 SE0000448430 710.4-19-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심재기 2019 SE0000448431 710.4-19-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 우리말에 귀를 대면
그끄제와 그글피 13 
암•수의대결 16 
'운전수’와 ‘식모’ 19 
눈썹과 손톱 21 
글 23
사람과 넋 26 
세 개의 낱말 28 
웃음과 울음 31 
‘아재’의 교훈 34 
귀화어 37
‘싼것’과‘비싼것’ 40 
‘있다’와 ‘없다’ 43
● 사람이 되는 길
신언서판(身言書判) 후유중 49 
귀를 기울인다는 것 53 
하늘보다 높은 사람 57 
압존(壓尊)의 원리 61 
입술이 더러운 사람들 65 
옛날 딸의 글, 오늘의 아버지 글 69 
말이 된다는 것은 73 
말을 잘한다는것은 77 
시(詩)를 읽을 때 81 
사람 이름 땅 이름 85 
엽전이 별 수 있어 89 
시조를 지으시던 한문 선생님 93
● 민족과 삶의 자취
꽃 이름과 민족정서 99 
유행어를 통해 본 현대사 103 
맞서기를 피하는 간접대화 107 
풍자와 해학과 개작한 시(詩)들 111 
어떤 뜻을 취할것인가 115
하늘•사람•법•술수 119
모순어법(矛盾語法)의 존재 이유 123 
숨겨 적은 추모의 마음 127 
속담에 나타난 과학정신 131 
민족성과 민족감정 135
● 역사 속의 우리말
낱말이 증명하는 가까운 나라 141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고문서(古文書) 145 
몽고외래어 ‘수라’와 ‘보라’ 149 
오랑캐의 감투 153 
삼전도비(三田渡 碑)를바라보며 157 
‘물레’와 ‘씨아’의영웅, 문익점 161 
중앙아시아의 고려 말 165 
우리들의 성명 석 자, 그 미래는 169 
이름이나 바꾸어볼까 173 
사모님과 주머니 177
● 우리말의 뿌리
‘안전띠’와‘죽순’ 183 
한국인의 이름 석 자 187
현대국어의 뿌리 191
고향에 돌아온 여인 195
본적지를 잃은 인삼(人蔘) 199
윷놀이의 다섯 사위 ‘도•개•걸•윷•모’ 203
낱말의 대물림 207
낱말과 삶의 자취 211
‘소년•소녀’ 의 옛말을 찾아서 215
삼각산(三角山) 과 우이동(牛耳洞) 219
● 우리말 바로쓰기 12제(題)
‘하느님’과 ‘심령언어’ 225 
전망과 갈무리 229 
‘계시다’와 ‘드리다’ 233 
‘영성체’와‘영세’ 237 
‘사•임 •당’이라는 세글자 241 
내 탓인가, 네 탓인가 245 
‘사랑하사’와 ‘빌으소서’ 249 
‘한다라는’과 ‘되어지는’ 253 
‘감사’와 ‘찬미’ 257 
참 한국인의 소원 261 
고유어만 쓰기, 과연 옳은가? 265 
주는 것과 받는 것 269
● 우리말은 아름답다
한국어와 한국인275 
우리말 바로 가꾸기 296 
옛말의 되살림 304 
국어순화의 정도(定道) 318 
우리말은 아름답다 324 
우리말 연구는 통일의 밑거름 331 
한글날 공휴일 존폐론에 부쳐 335
말련(聯) 기행(紀行) 342
● 어원산책
‘용하다’의 본적 찾기 357 
‘추녀’와 ‘두레박’ 364 
‘빡빡하다’와 ‘씩씩하다’의 어원 371 
‘말쑥하다’와 ‘얄팍하다’의 어원 377 
‘무궁화’의 내력 384 
'짱꼴라’의 조자(鳥子) •팔자(八字) 389 
불교에서 유래한 낱말들 398
‘-치다’가 붙는 낱말 404 
몽고에서 유래한 낱말들 408 
시새움•용솟음•억누름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