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 : 국한문 독본과 총독부 조선어급한문독본 비교 연구 = Colonical sinographic sphere and the shifting Korean inscription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mixed-script readers and the govermenet general Korea's Korean-literary sinitic readers / 지은이 : 임상석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 : 국한문 독본과 총독부 조선어급한문독본 비교 연구 = Colonical sinographic sphere and the shifting Korean inscription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mixed-script readers and the govermenet general Korea's Korean-literary sinitic readers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 : 국한문 독본과 총독부 조선어급한문독본 비교 연구 = Colonical sinographic sphere and the shifting Korean inscription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mixed-script readers and the govermenet general Korea's Korean-literary sinitic readers / 지은이 : 임상석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8
  • ·형태사항 448 p. :삽화 ;24 cm
  • ·총서사항 (연세근대한국학 총서 ;125)(연세근대한국학 총서 ;L-098)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436-444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가 혼합수록됨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052644  93810 : \3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06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한국 근대 문학[韓國近代文學]문학 독본[文學讀本]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임상석 2018 SE0000447046 810.906-19-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임상석 2018 SE0000447047 810.906-19-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 3
들어가는 글 : 국한문 독본류와 조선어급한문독본 = 11
제1부 대한제국기 독본류와 계몽 = 19
  제1장『소학독본』: 갑오개혁의 계몽과 언해
    1. 개혁의 이념과 번역 = 21
    2. 경서 언해와 국가적 위기 = 25
    3.『채근담』과 차명으로 구성한 조선의 전통 = 32
    4. 소결 = 39
  제2장『실지응용작문법』: 대한제국기의 문화와 계몽운동
    1. 계몽운동과 최재학 = 41
    2. 독자적 수사 체계의 구성 = 45
    3. 최재학의 작가의식 = 49
    4. 국한문체 작문법 = 52
    5. 새로운 문화의 구상 = 56
    6. 소결 = 65
  제3장『실지응용작문법』,『실용작문법』,『문장체법』: 주권 상실과 계몽의 단절
    1. 한자권의 전통과 문자의 전환 = 67
    2. 편자들의 정치적 배경 = 70
    3. 새로운 작문법과 한문전통 = 77
    4. 한문 산문 체제의 구성 과정 = 82
    5. 소결 = 90
제2부 한자권의 식민화와 독본 = 93
  제1장 이각종과 쿠보 토쿠지의『실용작문법』
    1. 1910년대 글쓰기와 식민지 교육 = 95
    2. 실용과 학문 = 100
    3. 수사학, 문법과 학문 = 104
    4. 한일 실용작문의 비교 = 114
    5. 소결 = 117
  제2장『시문독본』의 편찬 과정과 최남선의 출판 운동 
    1.『시문독본』의 위상 = 120
    2. 1910년대의 통속 문체 = 123
    3. 최남선의 출판 운동과『시문독본』의 편찬 = 131
    4. 계몽기 국한문 독본류와『시문독본』 = 137
    5. 소결 = 143
  제3장『시문독본』과 국학의 모색 
    1. 일제 식민지와 국학의 시작 = 145
    2.『시문독본』의 국역 = 149
    3. 고전 질서의 해체 = 156
    4. 최남선의 식민지 체제 수용 = 160
    5.『시문독본』국학의 통속성 = 164
  제4장『실지응용작문대방』: 1920년대의 한문유산
    1. 1920년대 작문법과 독본 = 166
    2. 한문유산과 근대 지식의 절충 = 170
    3.『실지응용작문대방』의 글쓰기 = 177
    4. 소결 = 186
제3부 조선총독부의 조선어ㆍ한문 교과서와 식민지 어문정책 = 189
  제1장 통감부의『보통학교학도용 한문독본』의 성격과 배경 
    1. 통감부에서 발행한 한문독본 = 191
    2. 한국의 한문전통과 통감부의 한문 교과 = 194
    3. 독본의 수구적 이념과 차별적 정책 = 197
    4. 계몽기 한국 독본들과의 비교 = 205
    5. 소결 = 208
  제2장 중등교육용 조선어급한문독본 개론 
    1. 조선어급한문 교과 = 210
    2. 전근대적 언어 질서와 식민지 = 213
    3. 식민지 경영과 문화통합 = 220
    4. 일본 한문 문장의 조선문 번역 양상 = 229
  제3장 조선어급한문독본의 조선어 인식 
    1. 조선어급한문독본의 개편과 조선어 인식 = 236
    2.『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24)의 조선어 인식과 번역 = 238
    3. 한문과 일본어의 조선어 번역 양상 = 244
    4.『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1933)의 조선어 위상 = 254
    5. 소결 = 256
  제4장 조선어급한문독본의 번역 양상 : 총독부 국어독본과의 비교 연구
    1. 식민지 조선어의 형성과 총독부 독본 = 258
    2. 일본어독본에서 번역된 조선어급한문독본의 기사들 = 261
    3.『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의 번역 = 266
    4.『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의 번역 = 270
    5. 소결 = 274
  제5장 식민지 조선과 동문(同文)의 허상 그리고 번역 
    1. 식민통치와 총독부의 독본 = 277
    2. 대한제국기 동문의 역동성과 식민지 = 281
    3. 조선총독부 독본과 번역 = 287
    4. 피식민자가 공유한 식민자의 문화적 이상 = 294
맺는 글 :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 = 299
    1. 근대 독본과 한문 전통 = 299
    2. 일제의 조선어ㆍ한문 독본 = 305
    3. 문자 교체와 식민지 한자권 = 308
보론 : 식민지 교육과 교과서 = 313
  제1장 번역된 일제 교육정책 :「보통학교직원 수지요강」
    1.『구교과서취의』 = 315
    2. 다와라 마고이치와 일제 교육정책 = 318
    3.「보통학교직원 수지요강」의 번역 양상과 문체 = 322
    4. 대한제국 훈령과의 비교 = 330
    5. 소결 = 334
  제2장 1910년대 작문교육과 한문고전 :『신문계』의 독자투고
    1. 작문의 근대와『신문계』의 독자투고 = 336
    2. 1910년대 학교 작문교육의 양상 = 339
    3. 한문조건과 독자투고 작문 = 346
    4. 소결 = 351
  제3장 교과서와 한국 현대문학 연구 :『근대 국어교과서를 읽는다』에 대하여
    1. 현대문학 연구와 근대 초기의 교과서 = 353
    2. 번역과 한국의 교과서 = 357
    3. 근대 교과서 편찬의 실상 = 360
    4. 교과서 연구의 전망 = 364
부록 = 367
  『소학독본』(1895)의 한문고전 차용 양상과 거명된 인물의 목록 = 369
  『시문독본』(訂正合篇)의 수록문 일람표 = 372
  『통감부 한문독본』의 내용과 출전 = 377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과『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단원 일람 = 383
  「보통학교직원 수지요강」의 번역문 = 401
  『신문계』문림(文林)ㆍ현상작문(懸賞作文) 통계표 = 424
참고문헌 = 436
초출일람(수록순) = 445
간행사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