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4차 산업혁명 현장 전문가가 알려주는)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 박인근,홍지후,강남규,김성호,정구범 지음
(4차 산업혁명 현장 전문가가 알려주는)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4차 산업혁명 현장 전문가가 알려주는)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 박인근,홍지후,강남규,김성호,정구범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Jpub(제이펍), 2019
  • ·형태사항 xii, 288 p. :삽화, 도표 ;25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81-283)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8621507  9300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05.76  듀이십진분류법-> 005.7  
  • ·주제명 빅 데이터[big data]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박인근,홍지후,강남규,김성호,정구범 지음 2019 SE0000446137 005.76-19-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PART I 빅데이터가 열어 갈 4차 산업혁명 1
CHAPTER 01 빅데이터와 우리의 미래 3
1.1 2030년 어느 날 3
1.2 빅데이터란? 4
1.3 빅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 6
1.3.1 빅데이터와 자율주행 자동차 14
1.4 기업은 빅데이터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을까? 15
1.5 빅데이터가 열어 갈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16
1.5.1 미래는 자율형 분산 조직화된다 17
1.5.2 변화의 시간은 점점 짧아진다 18
1.5.3 시장 창조형 혁신이 필요하다 19
1.5.4 결국 인재가 가장 중요하다 21
1.5.5 빅데이터 기반의 온라인 평생 교육 22
CHAPTER 02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24
2.1 데이터 분석의 지난날 24
2.1.1 CRM에서 빅데이터 분석으로 24
2.1.2 데이터 마이닝 기술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술로 26
2.2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28
2.2.1 빅데이터의 정의 28
2.2.2 빅데이터의 특징 29
2.2.3 데이터 폭증 시대, 진정한 빅데이터 분석 32
2.2.4 빅데이터 분석 4요소 33
2.2.5 데이터 분석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34
2.2.6 빅데이터 기반 기술에는 무엇이 있는가? 35
2.2.7 분석 알고리즘 학습 39
2.2.8 데이터 인사이트를 기르는 방법 42
2.3 빅데이터 기술 섭렵하기 44
2.3.1 빅데이터 수집 45
2.3.2 빅데이터 저장 51
2.3.3 빅데이터 처리 57
2.3.4 빅데이터 분석 60
CHAPTER 03 빅데이터의 비즈니스 활용 사례 66
3.1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방향 67
3.2 해외 사례 70
3.3 국내 사례 79

PART II 빅데이터 구축 실무 95
CHAPTER 04 빅데이터 구축 97
4.1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개요 97
4.1.1 운영계 시스템(기간계) 97
4.1.2 분석계 시스템(데이터 웨어하우스) 98
4.1.3 데이터 레이크 98
4.2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 98
4.3 요구사항 분석 102
4.3.1 개선 방향 작성 104
4.3.2 분석 목표 수립 106
4.3.3 프로젝트 계획 108
4.3.4 보유 데이터 자산 확인 109
4.4 개발 계획 수립 112
4.4.1 일정 계획 수립 112
4.4.2 인력 계획 수립 116
4.5 목표 시스템 정의 119
4.6 기초 설계 126
4.6.1 고가용성 구성 126
4.6.2 개발 표준 정의 130
4.6.3 모델링 표준 정의 136
4.7 데이터 수집 설계 138
4.7.1 데이터 수집 계획 수립 138
4.7.2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 143
4.7.3 내/외부 데이터 수집 150
4.8 데이터 처리 설계 154
4.8.1 데이터 처리 계획 수립 155
4.8.2 데이터 처리 설계 156
4.9 플랫폼 구축 160
4.9.1 PMO 관리사항 161
4.9.2 하드웨어 조달 및 설치 164
4.9.3 소프트웨어 조달 및 설치 165
4.9.4 데이터 수집 166
4.9.5 업무 개발/테스트 167
4.9.6 통합 테스트 168
4.9.7 사용자 인수 테스트 171
4.9.8 오픈 및 완료 보고 171
CHAPTER 05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172
5.1 왜 데이터 전처리가 중요할까? 172
5.1.1 데이터 전처리란? 173
5.1.2 전송 및 전처리 업무의 문제 175
5.1.3 전송 방법의 구분 176
5.1.4 비실시간 데이터 전송 176
5.1.5 실시간 데이터 전송 180
5.1.6 크롤링과 스크랩핑 181
5.1.7 데이터 전송을 잘 수행하기 위한 준비사항 182
5.1.8 데이터 전송 및 전처리 시스템 구축 182
5.1.9 데이터 전송 포맷 187
5.1.10 로그 수집과 크롤링 189
5.1.11 하둡 연동 192
5.1.12 데이터 스펙 검증 및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연동 194
5.1.13 데이터 전처리 구현 195
5.2 머신러닝 기반 분석 프로세스 198
5.2.1 예측 모형 개발 프로세스 198
5.2.2 예측 모형 알고리즘 선정 프로세스 201
5.2.3 예측모형 알고리즘 종류 202
5.2.4 머신러닝 예측 모델 성능 평가 213
CHAPTER 06 빅데이터 운영 218
6.1 빅데이터 운영 기획 218
6.2 빅데이터 운영 228
6.3 운영 평가 235

PART III 빅데이터 활성화 산업혁명 기술 239
CHAPTER 07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241
7.1 인공지능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241
7.2 인공지능의 과거와 현재 241
7.2.1 고정관념의 변화 241
7.2.2 과거의 인공지능 243
7.3 쉬운 인공지능, 어려운 용어 245
7.4 인공지능의 개념 247
7.4.1 인공지능의 분류 249
7.5 인공지능 기초 알고리즘 251
7.5.1 퍼셉트론 251
7.5.2 퍼셉트론 활용 기초 253
7.6 인공지능 기술 분류 255
7.6.1 상황이해 259
7.6.2 언어이해 260
7.7 인공지능의 학습기법과 알고리즘 260
CHAPTER 08 빅데이터와 블록체인 262
8.1 비트코인의 탄생 262
8.2 비트코인에 코인은 없다 264
8.3 비트코인의 보상 265
8.4 블록체인의 구조 267
8.5 공개, 개인, 컨소시엄 블록체인 268
8.6 블록체인 기술의 산업적 활용 전망 272
8.7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블록체인 278

참고문헌 281
찾아보기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