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고려의 국제적 개방성과 자기인식의 토대 = The foundation self-awareness through international openness in Goryeo dynasty / 채웅석 편저 ;채웅석,최봉준,한정수,이승민,한혜선,신안식,홍영의,박종기,한준수 [저]
고려의 국제적 개방성과 자기인식의 토대 = The foundation self-awareness through international openness in Goryeo dynasty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고려의 국제적 개방성과 자기인식의 토대 = The foundation self-awareness through international openness in Goryeo dynasty / 채웅석 편저 ;채웅석,최봉준,한정수,이승민,한혜선,신안식,홍영의,박종기,한준수 [저]
  • ·발행사항 서울 : 혜안, 2019
  • ·형태사항 379 p. :삽화 ;24 cm
  • ·총서사항 (고려시대 역사·문화의 다원성과 통합성 연구총서 ;3)
  • ·주기사항 색인수록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연구임(NRF-2014S1A5B4062928)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946255  93910 :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4  듀이십진분류법-> 951.901  
  • ·주제명 고려사[高麗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채웅석 편저 ;채웅석,최봉준,한정수,이승민,한혜선,신안식,홍영의,박종기,한준수 [저] 2019 SE0000442697 911.04-19-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고려시대 역사.문화의 다원성과 통합성, 개방성을 찾아서

총론1 고려전기의 다원적 국제관계와 문화인식|채웅석
1. 다원적 국제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국제질서의 다중심성과 계서성
3. 국제관계의 다양성과 규율
4. 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인식
5. 맺음말:다원적.개방적 국제관계와 고려문화의 성격

총론2 고려시대 사회 성격론과 다원적 성격의 구조적 이해|최봉준
1. 머리말
2. 고려사회 성격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새로운 가능성
3. 다원적 사상지형과 국왕 중심의 통합 지향
4. 이중적 자아인식과 다원적 대외관계
5. 고려후기 정치사회적 모순과 사회적 다원성의 변화
6. 맺음말

제1부 국제적 개방성
제1장 고려전기 이방인.귀화인의 입국과 해동천하|한정수
1. 머리말
2. 사신과 교류
3. 상인과 교역
4. 내투와 정착
5. 혜화(惠和)와 해동천하
6. 맺음말
제2장 고려 국상(國喪)에 대한 거란?금?송의 조문사행(弔問使行) 양상과 다층적 국제관계|이승민
1. 머리말
2. 고려의 고애사(告哀使) 파견 양상과 성격
3. 조문사행(弔問使行)의 다층적 체계
4. 맺음말
제3장 고려후기 도기통형호에 보이는 원의 영향|한혜선
1. 머리말
2. 고려후기 원과의 관계와 도자기 교류
3. 한반도 출토 원대 도기통형호의 현황과 유입배경
4. 고려후기 관사명(官司銘) 도기통형호 제작과 그 의미
5. 맺음말

제2부  보편성과 자기인식
제1장 고려전기 역사계승의식과 이중적 자아인식|최봉준
1. 머리말
2. 역사계승의식과 국조 인식의 성격
3. 이중적 자아인식의 형성과 변화
4. 맺음말
제2장  고려전기의 북방 영토의식과 이민족 인식|신안식
1. 머리말
2. 북방 영토의식과 ‘천하관(天下觀)’
3. ‘고려장성(高麗長城)’과 이민족 인식
4. 맺음말
제3장 고려시대 금속제 기물 및 기와의 ‘연호’명 검토-대중국 ‘연호’의 시행과 고려의 다원적 국제관계-|홍영의
1. 머리말
2. 중국 연호명의 기재 유형과 양상
3. 대중국 ‘연호’의 사용과 그 배경
4. 맺음말

제3부  국가의례의 다원성
제1장 고려시기 지고신(至高神)의 존재와 신격(神格)의 다층위성|박종기
1. 머리말
2. 지고신과 다원사회론
3. 이규보 제문에 나타난 제신격(諸神格)
4. 신격의 다층위성
5. 맺음말
제2장 고려전기 연등회.팔관회의 기능과 의례적 특징|한준수
1. 머리말
2. 신라의 불교의례와 궁예 정권의 팔관회
3. 태조의 ?훈요?와 양회(兩會)의 국가의례화
4. 현종의 양회 복설(復設)과 개방적 국가의례의 전개
5. 맺음말
학술연구발표회 종합토론|개방성과 정체성-고려의 국제적 개방성과 자기인식의 토대-

찾아보기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