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저주하는 일본인 저주받는 일본인 / 저자 : 고마쓰 가즈히코 ;역자 : 김용의,김희영,송영숙,주혜정,차주연,최가진
저주하는 일본인 저주받는 일본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저주하는 일본인 저주받는 일본인 / 저자 : 고마쓰 가즈히코 ;역자 : 김용의,김희영,송영숙,주혜정,차주연,최가진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9
  • ·형태사항 266 p. :삽화 ;24 cm
  •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minsokwon archebooks ;118)
  • ·주기사항 원표제:呪いと日本人
    원저자명: 小松和彦
    권말부록: 아베노 세이메이 아베노 세이메이1. 아베노 세이메이세이메이(安倍晴明) - 세이메이세이메이 신사신사(晴明神社) - 교토(京都)
    색인수록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2362  9438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88.213  듀이십진분류법-> 398.410952  
  • ·주제명 저주[咀呪]민간 신앙[民間信仰]일본(국명)[日本]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고마쓰 가즈히코 ;역자: 김용의,김희영,송영숙,주혜정,차주연,최가진 2019 SE0000440106 388.213-19-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고마쓰 가즈히코 ;역자: 김용의,김희영,송영숙,주혜정,차주연,최가진 2019 SE0000447970 388.213-19-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고마쓰 가즈히코 ;역자: 김용의,김희영,송영숙,주혜정,차주연,최가진 2019 SE0000447971 388.213-19-1=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한국어판에 부쳐 = 4
프롤로그 = 11
제1장 되살아나는 '저주'의 세계 = 20
  '저주'와 관련된 사색의 시작 = 22
  의사도 고치지 못하는 병 = 25
  '생령(生靈)'이 타인에게 재액을 끼친다 = 27
  이누가미(犬神)는 부(富)도 재액도 초래한다 = 29
  이누가미 빙의와의 만남 = 30
  이누가미 대 민속종교인의 대결 = 31
  '저주'의 전문가가 '저주'를 조작한다 = 33
  저주신앙 이자나기류(いざなぎ流) = 35
  되돌려주는 주술적 방식으로 다른 사람을 저주한다 = 37
  악마ㆍ외법(外法)을 잘라 내다 = 39
  어떻게 하면 사람을 저주로 죽이는가 = 40
  '제문'이 말해주는 '이자나기류'의 기원 = 42
  이자나기류 민속종교인은 '외법 사용자'인가 = 46
  어떤 저주 이야기 = 47
  저주의 기원과 보수(報酬)의 시스템 = 51
  왜 현대인은 미즈코(水子)의 재앙을 신경 쓰는가 = 52
  저주 세계로의 타임머신 = 53
제2장 왜 사람들은 '저주'를 두려워하는가 = 56
  "당신을 저주하겠다!" = 58
  '저주'가 지배하는 세계 = 59
  금지하기 때문에 더욱 저주한다 = 61
  저주 받은 나라(奈良) 왕조 = 63
  가까운 관계이기 때문에 '저주'가 일어난다 = 67
  '저주하는 마음'에 설명을 덧붙인다 = 68
  일본 역사를 바꾼 '죽은 자의 저주' = 69
  왜 죽은 자를 두려워하는가 = 71
  어령, 인간의 공포심이 '창조'한 신들 = 72
  건드리지 않는 신에게 뒤탈 없다 = 74
  사람을 오니(鬼)로 바꾸는 '저주하는 마음' = 76
  두려워해야 할 것은 사람의 마음 = 78
  인간사회는 처음부터 저주받았다 = 80
  '정의의 저주'란 = 82
  문명개화는 저주를 가라앉히는 것과 함께 = 83
  동란기에 날뛰는 원령 = 86
  사회를 비판하는 죽은 자의 저주 = 91
  왜 사람들은 '저주'를 두려워하는가 = 93
  누구나가 저주하고 또 저주받는다 = 95
제3장 어떻게 저주하는가 = 96
  언령신앙(言靈信仰), 말을 하면 그것이 '저주'가 된다 = 98
  '도코우(とこう)',『고사기(古事記)』와『일본서기(日本書紀)』속에서 발견되는 저주 = 100
  주금도(呪禁道), 주술적 장벽으로 몸을 방어하고 지킨다 = 102
  고독(蠱毒), 동물의 혼백을 부려서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 104
  염매(厭魅), 인형을 괴롭혀서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 106
  주술은 기술이다, 지배자를 매료시키는 뉴 테크놀로지 = 107
  기비노 마키비(吉備眞備)의 음모 = 108
  음양도, '시키가미(式神)'를 조종해서 사람을 주살(呪殺)한다 = 109
  밀교(密敎)의 중핵에 있는 저주신앙=조복법(調伏法) = 112
  밀교의 조복법, 부동명왕(不動明王)을 조종하여 주살하다 = 115
  저주의 전문가 구카이(空海) = 116
  신불(神佛)을 독촉하여 주력(呪力)을 상승시킨다 = 119
  '역(逆)'의 주법(呪法) = 121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밀교 조복법 = 123
  여우를 조종하는 '외법(外法)' = 125
  천황 즉위의 '비법 중의 비법'이란 = 127
  '다지니천법'으로 가마쿠라 막부를 저주ㆍ조복한 고다이고(後醍醐) 천황 = 129
  다케다 신겐(武田信玄)과 우에스기 겐신(上杉謙信)이 이용했던 '이즈나(飯綱)의 법(法)'이란 = 132
  경애법(敬愛法), 남녀화합의 러브 매직 = 134
  신불(神佛)에게 억지로 '저주'를 떠맡기는 법 = 138
  신불에게 못을 박아 넣는 것만으로도 '저주'가 발동한다 = 140
  '우시노토키 마이리'의 작법, 그 첫 번째 = 142
  '우시노토키 마이리'의 작법, 그 두 번째 = 145
  '우시노토키 마이리'의 작법, 그 세 번째 = 146
제4장 저주를 푸는 방법 = 148
  TV 드라마〈미토코몬(水戶黃門)〉의 마지막 장면 = 150
  '저주'가 '게가레(ケガレ)'를 발생시킨다 = 152
  '게가레'는 '외부'에서 침입한다 = 154
  '게가레'를 추대해서 선반 위에 올린다 = 157
  세이 쇼나곤의 어설픈 불제 의례 = 159
  '게가레'를 시각화하는 트릭은 주술사가 연출한다 = 162
  제례가 모두를 '상쾌'하게 만든다 = 163
  천황으로 응축되는 국가의 '게가레' = 164
  사회적 지위가 상승할수록 집중되는 '게가레' = 167
  일본인은 무엇을 '바람직하지 않은 게가레'로 보았는가 = 169
  '오니'의 등장,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만드는 트릭 = 171
  '오니'를 연기하고 불제 후 버려진 사람은 누구인가 = 172
  '게가레' 발생의 원인은 위정자에게 있다 = 175
  '오른손에 검을, 왼손에 염주를' = 177
  권력은 주술로 지탱된다 = 181
  '게가레'를 불제하는 '한 김 빼기(ガス抜き)' 의례 = 182
  '희생양'을 낳는 '이중 안전장치' 기구 = 183
  신불마저도 '희생양'이 된다 = 185
  다음에 '불제 당하는' 자는 누구인가 = 188
부록 = 190
  1. 아베노 세이메이(安倍晴明) - 세이메이 신사(晴明神社) - 교토(京都) = 192
  2. 이노에 내친왕(井上内親王)ㆍ사와라 친왕(早良親王) - 가미고료 신사(上御靈神社) - 교토(京都) = 204
  3. 스가와라노 미치자네(菅原道眞) - 기타노 텐만구(北野天滿宮) - 교토(京都) = 215
  4. 사쿠라 소고로(佐倉惣五郎) - 도쇼지 소고 영당(東勝寺宗吾靈堂) - 지바(千葉) = 228
에필로그 = 239
지은이 후기 = 243
옮긴이 후기 = 247
찾아보기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