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교육과정 : 이론과 실천이 만나다 / 온정덕,변영임,안나,유수정 공저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교육과정 : 이론과 실천이 만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교육과정 : 이론과 실천이 만나다 / 온정덕,변영임,안나,유수정 공저
  • ·발행사항 서울 : 살림터, 2018
  • ·형태사항 214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12-214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300813  03370 : \1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4  듀이십진분류법-> 375.001  
  • ·주제명 교육 과정 개발[敎育課程開發]수업 설계[授業設計]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온정덕,변영임,안나,유수정 공저 2018 SE0000446158 374-18-1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온정덕,변영임,안나,유수정 공저 2018 SE0000446159 374-18-1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며 
서문 

1부 이해중심 교육과정 만나기

1장 왜 이해를 목표로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하는가? 
1.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2. ‘이해’가 왜 중요한가? 
2장 이해중심 교육과정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1. 무엇을 중심으로 가르칠 것인가? 내용의 우선순위 정하기 
2. 어떻게 학생들의 사고와 탐구를 유도할 것인가? 핵심질문 만들기 
3. 학생들이 이해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평가 계획하기 
4. 어떤 활동이 학생들의 이해를 뒷받침하는가? 학습활동 계획하기 
5. 교사의 사고를 조직하기 위한 틀: 단원 설계 템플릿 
3장 이해를 목표로 하는 수업은 어떻게 다른가? 
1.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어떻게 다른가? 
-개념적으로 사고하기 
-안내자 혹은 코치의 역할 하기 
-학생의 사고와 오개념 드러내기 
-평가 설계자처럼 생각하기 
2. 블룸의 ‘이해’와 어떻게 다른가? 
3. 백워드 설계 템플릿은 여러 버전이 있나? 
4. 백워드 설계는 교과서 단원을 중심으로 설계하나? 
5. 프로젝트 수업과 어떻게 다른가? 
6. 거꾸로 수업과 어떻게 다른가? 
 
2부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하기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흐름 

1장 바람직한 학습결과 어떻게 확인할 것인가? 
1. ‘교육과정 풀기’ 어떻게 할 것인가? 
-‘내용 체계’ 확인하기 
-성취기준 분석하기 
-교육과정 자료 살펴보기 
2. 중요한 교육내용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지식 추출하기 
-일반화된 지식 추출하기 
-핵심기능 추출하기 
3. 핵심질문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역량은 어떻게 찾을 것인가? 
#1단계 템플릿 완성 
#백워드 설계 1단계 Q&A 
2장 다양한 이해의 증거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1. 수행(평가)과제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수행(평가)과제 요소(GRASPS) 활용하기 
-채점기준 작성하기 
2. 그 외의 평가 방법과 자기평가 및 반성을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2단계 템플릿 완성 
#백워드 설계 2단계 Q&A 
3장 학습활동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1. 학습활동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이해의 6가지 측면 활용하기 
-핵심질문 활용하기 
2. 학습활동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WHERETO 요소 활용하기 
3. 학생맞춤형 수업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준비도에 따른 맞춤형 수업 전략 
-관심사 및 흥미에 따른 맞춤형 수업 전략 
-학습프로파일에 따른 맞춤형 수업 전략 
-복합적인 맞춤형 수업 전략 
#3단계 템플릿 완성 
#백워드 설계 3단계 Q&A 
#이해를 위한 수업 효과 이야기 

3부 시가 피어나는 교실 이야기

1장 국어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설계할까? 
-시가 피어나는 교실 
-가족과 함께하는 연두마을 동시 콘서트 
-수다쟁이 꼬마 시인들의 시끌벅적 동시랜드 
-설계안 1 
-설계안 2 
2장 국어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실천하는가? 
1. 연두마을 동시 콘서트 이야기 
-무엇을 중심으로 가르칠 것인가? 
-무엇을 공부할까? 
-이해했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어떻게 사고하고 탐구할 것인가? 
-자연은 어떻게 탐색할까? 
-가족은 어떻게 탐색할까? 
-동시와 어떻게 친해질까? 
-동시 콘서트는 어떻게 준비할까? 
-가족과 함께하는 동시 콘서트 
-어떻게 달라졌는가? 
2. 꼬마 시인들의 동시랜드 이야기 
-무엇을 중심으로 가르칠 것인가? 
-무엇을 공부할까? 
-이해했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시가 재미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재미있는 시는 어떻게 쓸까? 
-시를 주어진 공간에 어떻게 전시할까? 
-어떻게 달라졌는가? 
3. 시가 피어나는 교실 프로젝트를 마치고 
 
4부 자연이 들려주는 ‘생명’ 이야기

1장 과학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설계할까? 
-과학 수업에 대한 부담과 고민 
-‘생명’ 단원을 개발하고 실행하게 된 이야기 
-‘생명’ 단원의 이해중심 수업 설계 
-설계안 1 
-설계안 2 
2장 과학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실천하는가? 
1. 과학 수업 이야기 
-이 단원을 어떻게 시작할까? 
-기초탐구보고서는 어떻게 쓸까? 
-우리 주변의 동물은 어떻게 조사할까? 
-동물은 어떻게 분류할까? 
-땅에 사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물에 사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하늘을 나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특이한 환경에 사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동물원의 동물은 행복할까? 
-행복한 동물원은 어떻게 설계할까? 
-이 단원을 배우고 성찰은 어떻게 할까? 
2. 도덕 수업 이야기 
-생물은 사람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생명은 어떻게 대해야 할까? 
-생명신문은 어떻게 만들까? 
3. 국어 수업 이야기 
-책은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할까? 
-부탁하는 글은 어떻게 쓸까? 
4. ‘동물원을 부탁해’를 실행하고 
-과학 전담 교사 이야기 
-도덕 전담 교사 이야기 
-3학년 담임교사 이야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