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박경리 문학과 젠더 / 토지학회 편저 ;지은이 : 오혜진,김은경,최경희,장미영,강지윤,김양선,홍순애
박경리 문학과 젠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박경리 문학과 젠더 / 토지학회 편저 ;지은이 : 오혜진,김은경,최경희,장미영,강지윤,김양선,홍순애
  • ·발행사항 서울 : 마로니에북스, 2018
  • ·형태사항 223 p. ;21 cm
  • ·총서사항 (토지학회 총서 ;4)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11-223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535640  04810 : \1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여류 문학[女流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토지학회 편저 ;지은이: 오혜진,김은경,최경희,장미영,강지윤,김양선,홍순애 2018 SE0000442477 810.9-18-6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토지학회 편저 ;지은이: 오혜진,김은경,최경희,장미영,강지윤,김양선,홍순애 2018 SE0000442478 810.9-18-6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편집자의 말

1. 오혜진: 전근대와 근대의 교차적 여성상에 관해-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시장과 전장』, 『토지』를 중심으로
1. 박경리 소설의 여성상 
2.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는 여성들
3. 사랑과 시대와의 불협화음
4. 결론

2. 김은경: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모성성의 탈신화화 양상과 가부장제에 대한 대응 방식
1. 서론
2. 부계(父系) 가부장제도로부터 소외와 ‘계산적’ 모성
3. ‘부정적(否定的) 혈통’ 계승과 부계(父系) 가부장제도에 대한 위협
4. ‘사도마조히즘’적 감정의 경제와 모권(母權)의 문제
5. 결론

3. 최경희: 1960년대 박경리 문학에 나타난 ‘연애교양’ 연구-『성녀와 마녀』, 『암흑의 사자』, 『재혼의 조건』을 중심으로
1. 서론
2. 『여상』, 『여원』에 나타난 ‘연애교양’의 담론화 양상
3. ‘연애교양’에 대한 순응과 저항의 연애서사
4. 결론

4. 장미영: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와 섹슈얼리티 연구-『창』을 중심으로
1. 서론
2. 낭만적 사랑의 허구와 고립적 섹슈얼리티
3. 열정적 사랑의 추구와 공감적 섹슈얼리티
4. 연민의 확장과 관계적 사랑의 재구(再構)

5. 강지윤: 원한과 내면-탈식민 주체와 젠더 역학의 불안들
1. 서론
2. 친밀한 낯선 자들
3. 원한과 내면: 탈식민 주체와 젠더 역학의 불안들
4. “나는 어떤 사랑의 대상인가?”: 『표류도』의 실패
5. 결론

6. 김양선: 향토 멜로드라마와 여성의 위치성-박경리의 『파시(波市)』를 중심으로
1. 서론
2. 향토, 여성의 장소-수옥의 위치성
3. 대도시를 이동하는 여성-학자의 위치성
4. 전쟁 너머의 운명, 이국으로의 이동?명화의 경우
5. 결론

7. 홍순애: 박경리 소설 『표류도』에 나타난 ‘법’과 젠더 정치학
1. 서론
2. 법을 대리하는 ‘관습’의 유제와 축첩의 공포
3. ‘음행의 상습 없는 부녀’와 법적 ‘정의’의 역설
4. ‘윤락녀’의 법적 소외와 법 폭력의 양상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