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 글로벌 정보화에 비춘 새로운 지평 / 엮은이 : 김상배 ;지은이 : 김상배,이승주,신범식,김유향,강하연,송태은,신성호,이신화,조한승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 글로벌 정보화에 비춘 새로운 지평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 글로벌 정보화에 비춘 새로운 지평 / 엮은이 : 김상배 ;지은이 : 김상배,이승주,신범식,김유향,강하연,송태은,신성호,이신화,조한승
  •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 ·형태사항 356 p. :삽화 ;22 cm
  • ·총서사항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20)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8108886  93340 :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1  듀이십진분류법-> 320.9519  
  • ·주제명 남북 관계[南北關係]4차 산업 혁명[四次産業革命]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엮은이: 김상배 ;지은이: 김상배,이승주,신범식,김유향,강하연,송태은,신성호,이신화,조한승 2018 SE0000442090 340.911-18-9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엮은이: 김상배 ;지은이: 김상배,이승주,신범식,김유향,강하연,송태은,신성호,이신화,조한승 2018 SE0000442091 340.911-18-9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1부 남북관계의 새로운 지평
1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남북관계: 협력과 갈등의 새로운 지평
I. 머리말
II. 4차 산업혁명, 새로운 기회와 도전
III. 정보통신 분야의 기회와 도전
IV. 신흥안보 분야의 기회와 도전
V. 맺음말
2장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남북 경제협력
I. 서론: 문제의 제기
II. 이론적 검토
III. 경제협력 방안의 설계
IV. 4차 산업혁명 시대 남북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델
3장 북한 에너지체제 구축 과제와 남북 에너지협력 방안
I. 에너지안보 체제의 환경 변화
II. 북한의 에너지 현황
III. 북한 에너지전환의 과제
IV. 북한 에너지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 및 국제적 협력 방안
V. 결론

2부 정보통신 분야의 기회와 도전
4장 북한 IT 현황과 남북 IT협력의 과제
I. 머리말
II. 남북 IT협력의 필요성과 의미
III. 디지털 북한의 등장 및 IT발전전략
IV. 북한 IT부문 현황
V. 남북한 IT협력의 현황 및 과제
VI. 결어: 남북 IT협력의 방향
5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남북관계: 북한의 정보통신(ICT) 인프라, 전자상거래 현황 및 과제
I. 들어가며
II. 북한에서의 ICT의 위상 및 역할
III. ICT로 인해 변화하는 북한의 정치경제
IV. 북한의 전자상거래 현황
V. 마치며: 전자상거래 및 ICT 서비스 분야 남북협력, 그 가능성을 보다
6장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남북한 문화콘텐츠 교류협력: 북한의 국제평판 개선과 한반도 한류의 창출
I. 서론
II. 북한 문화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의 이중성
III. 향유 대상으로서의 외부 문화콘텐츠
IV. 과거 남북한 문화교류 협력사업의 대상과 성과
V. 남북한 디지털 문화콘텐츠 협력사업의 기대효과
VI. 결론

3부 신흥안보 분야의 기회와 도전
7장 4·27 남북 정상회담과 4차 산업혁명: 남북 군사관계와 국방개혁 2.0
I. 서론
II. 4?27 판문점 선언과 남북 군사관계
III. 4차 산업혁명과 군사혁신
IV. 21세기 한반도 평화체제와 국방개혁
V. 결론
8장 이주 및 난민문제의 외교안보적 도전: 남북한 관계의 맥락
I. 서론
II. 국제이주 및 난민문제의 외교안보적 도전
III. 한국의 이주 및 난민문제의 현황과 외교안보적 도전
IV. 남북한 관계 맥락에서의 이주·난민안보
V. 결론
9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남북 보건안보와 보건협력 거버넌스
I. 서론
II. 보건안보 개념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보건
III. 대북 보건협력 거버넌스의 과정과 특징
IV. 대북 보건안보 위협요인
V. 4차 산업혁명 시대 대북 보건협력 아이템
VI.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