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큐레이터를 위한) 박물관 소장품의 수집과 관리 / 김상태 지음
(큐레이터를 위한) 박물관 소장품의 수집과 관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큐레이터를 위한) 박물관 소장품의 수집과 관리 / 김상태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예경, 2012
  • ·형태사항 183 p. :천연색삽화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176)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0844909  9360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69.4  듀이십진분류법-> 069.4  
  • ·주제명 박물관[博物館]소장품[所臧品]큐레이터[curator]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상태 지음 2012 SE0000437456 069.4-18-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엮으며 
1장 소장품 수집
01 소장품 수집정책
1. 소장품을 수집할 때 정책이 필요한가? 
2. 수집정책은 어떻게 구성하는가? 
가. 기본정책 수립하기 
나. 수집계획 수립하기 
3. 수집정책의 평가와 보완 

02 소장품을 수집하는 다양한 방법
1. 유물 구입하기 
가. 일반구입의 절차 
나. 지정구입 
경매에 참가하여 구입하기 
소장가에게 직접 구입하기 
2. 유물 기증받기 
가. 기증업무의 특수성 
나. 기증받는 절차 
다. 기증자 예우는 어떻게 할 것인가? 
쉬어가기_기증, 그 숭고한 실천 
3. 유물 기탁받기 
4. 다른 박물관과의 유물 교환 
쉬어가기_외규장각 의궤의 귀환  

2장 소장품의 등록과 격납
01 소장품으로 등록하기
1. 등록 업무의 중요성 
2. 등록의 절차와 내용 
가. 분류 및 번호 부여 
나. 명세서 작성 
다. 유물에 번호 기록하기 
라. 등록사진 촬영 
마. 등록 유물의 수장고 격납 
바. 등록 관련 자료의 정리 
쉬어가기_신안 해저유물의 발견과 등록 
02 소장품의 격납과 관리
1. 격납 방법 
가. 격납할 때 주의할 점 
나. 격납용품 활용방법 
2. 격납처 기록하기 
3. 유물 보관장의 유형과 활용 
가. 선반식 보관장 
나. 슬라이드식 보관장 
다. 밀폐식 보관장 

3장 소장품의 반출입과 포장운송
01 박물관 내에서의 소장품 이동
1. 대출과 격납 
가. 출납 절차 
나. 출납 기록관리 
2. 박물관 내에서 유물 운반하기  

02 소장품 대여와 운송
1. 소장품 대여 
가. 국내 대여 
나. 국외 대여 
다. 대여 유물의 포장 
2. 대여 유물의 운송 
가. 운송수단의 종류 
나. 유물호송관과 유물관리관 
3. 만일의 사고에 대비한 보험 

4장 수장고 시설과 관리
1. 수장고 설비와 관리의 중요성
2. 수장고 건축 
가. 보존적 측면 
나. 보안적 측면 
다. 활용적 측면 
쉬어가기_밀폐형 수장고의 구조 
3. 수장고의 주요 시설 
가. 출입시설 
나. 보조시설 
다. 기타 설비
4. 수장고 관리
가. 환경관리 
나. 보안관리 
쉬어가기_훈증  

5장 소장품 전산으로 관리하기
01 소장품 관리의 전산화와 운영
1. 전산화의 필요성 
2. 전산화의 개념과 과정 
3. 유물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가. 사용자 관리 
나. 유물 DB 관리 

02 우리나라 박물관의 소장품 관리 전산화 역사
1. 전산화 과정 
2. 개선 과제와 전망 
쉬어가기_어느 날 우연히 문화재를 발견하거나 습득했다면? 

6장 소장품의 공개와 저작물 관리
소장품의 공개와 저작물 관리
1. 저작권 관리의 필요성 
2. 저작권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가. 저작권이란 
나. 저작권법과 소장품
3. 소장품과 관련된 저작물 
가. 소장품 관련 저작물의 종류 
나. 저작권 관리 
4. 저작물의 생산과 활용 
가. 저작물 관리 체계 
나. 저작물의 대외 서비스 

참고문헌 
찾아보기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