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공자 사상의 현대적 의미 / 저자 : 장기윤 ;영어판 2판 역자 : 정선웅 ;한국어판 역자 : 전종훈
공자 사상의 현대적 의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공자 사상의 현대적 의미 / 저자 : 장기윤 ;영어판 2판 역자 : 정선웅 ;한국어판 역자 : 전종훈
  •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2018
  • ·형태사항 632 p. ;24 cm
  • ·주기사항 원표제:孔学今义
    영어번역표제:Confucianism: a modern interpretation(2nd ed.)
    감수: 최우석
    권말부록 수록
    참고문헌: p. 630-631
    영어로 번역된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중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8483814  93140 : \3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52.212  듀이십진분류법-> 181.112  
  • ·주제명 공자,B.C.551-B.C.479중국 철학[中國哲學]유교[儒敎]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장기윤영어판 2판 역자: 정선웅한국어판 역자: 전종훈 2018 SE0000434096 152.212-18-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장기윤영어판 2판 역자: 정선웅한국어판 역자: 전종훈 2018 SE0000434097 152.212-18-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역자 머리말
저자 및 역자 소개

01 공자의 위대성
1.1 공자의 위대한 인격
1.2 공자의 인문주의
1.3 최초의 민주적인 교육자
1.4 위대한 철인
1.5 새로운 시대의 시작
1.6 4단계
1.7 도道에 대한 목표
1.8 덕德의 토대를 세움
1.9 인仁에 의존함
1.10 예술 안에서 마음을 편히 가짐
1.11 사람의 마음, 본성, 감정
1.12 호학好學, 지지至知, 격물格物
1.13 역행力行
1.14 성의誠意
1.15 도道 안에서 찾는 행복
1.16 중도中道
1.17 내성외왕內聖外王
1.18 민치民治
1.19 혁명革命
1.20 대동大同
1.21 학통學統
1.22 유교儒敎의 신세기新世紀

02 인생철학
2.1 인본주의 철학
2.2 공자가 창시한 인仁의 개념
2.3 의義
2.4 효孝
2.5 신信
2.6 충서忠恕
2.7 공공심公共心과 정직성正直性
2.8 경敬과 성誠
2.9 정靜과 강剛
2.10 검약과 겸손
2.11 관과지인觀過知仁
2.12 극기복례克己復禮

03 교육철학
3.1 교육 목표
3.2 교육 제도
3.3 교육 평등의 기회, 20세기 신사조新思潮
3.4 문화 통일
3.5 덕을 존중하는 사람의 본성
3.6 도문학道問學
3.7 전체의 파악
3.8 미묘하고 난해한 것에 대한 철저한 연구
3.9 교재
3.10 교수법
3.11 교사의 길
3.12 스승으로서의 친구
3.13 사회교육
3.14 인격 형성

04 정치철학
4.1 민치民治 근본
4.2 제도화
4.3 자유와 평등
4.4 예치禮治
4.5 정명正名
4.6 정치와 교육
4.7 정치와 도덕
4.8 우수한 인재
4.9 정치가의 품격
4.10 효율적인 정책 수행
4.11 여론 문제
4.12 수신修身
4.13 제가齊家
4.14 향鄕의 자치
4.15 치국治國
4.16 유교儒敎와 삼민주의三民主義
4.17 평천하平天下
4.18 대동大同의 이상

05 법철학
5.1 중국문화와 법치
5.2 예와 법
5.3 예경禮經 삼례三禮
5.4 예禮에 대한 견해
5.5 예禮와 자연법
5.6 법의 제정
5.7 법의 적용
5.8 법관
5.9 법가法家
5.10 중국 법률의 기본 원칙
5.11 중국의 법체계

06 예술철학
6.1 예악禮樂의 나라
6.2 조화와 음악 정신
6.3 예술가 공자
6.4 시와 음악 그리고 무용
6.5 시학詩學
6.6 문학
6.7 음악
6.8 악사樂師
6.9 악기
6.10 무용
6.11 회화
6.12 체육
6.13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6.14 예술 교육의 중요성

07 역사철학
7.1 이론과 사실
7.2 『주역周易』의 가르침
7.3 음양陰陽, 태극太極, 무극無極
7.4 역易의 세 가지 의미
7.5 겸양의 덕
7.6 문제의 극복
7.7 『서경書經』의 가르침
7.8 역사의 해석
7.9 『춘추春秋』
7.10 『춘추春秋』의 어법
7.11 국가통합
7.12 이민족
7.13 『춘추春秋』의 세 가지 주석서
7.14 위대한 전통: 역사가의 진실성

08 군사철학
8.1 무사武士 공자
8.2 국방
8.3 인정仁政과 전쟁戰爭
8.4 인자무적仁者無敵
8.5 인仁에 의한 중국 통일
8.6 인자仁者의 저항정신
8.7 노魯나라를 위해 순국한 소년 왕기汪錡
8.8 학자이자 군인인 염구 염求
8.9 노련한 외교가 자공子貢
8.10 용의주도한 계획
8.11 주周나라 중기의 군사 조직
8.12 영구적인 평화 협정

09 종교철학
9.1 천도天道
9.2 천天
9.3 천명天命
9.4 천인합일天人合一
9.5 경천애인敬天愛人
9.6 효도
9.7 삶과 죽음
9.8 제사
9.9 “天”에 대한 천주교적 해석
9.10 기도祈禱
9.11 종교
9.12 지성至誠

10 공자 이념의 인격
10.1 완벽한 인격
10.2 유자儒者
10.3 선인善人, 대인大人, 성인聖人
10.4 지사인인志士仁人
10.5 군자君子
10.6 현인賢人
10.7 성인聖人
10.8 중국 전설시대의 성인들
10.9 은殷나라의 인자仁者
10.10 주周나라 초기의 성인聖人과 현자賢者
10.11 관중管仲과 자산子産
10.12 유하혜柳下惠와 거백옥 거伯玉

11 공자의 제자들
11.1 제자들의 숫자
11.2 육십일자六十一子
11.3 출생년도
11.4 공문십철孔門十哲
11.5 안회顔回(자연子淵)
11.6 민손閔損(자건子騫), 염경 염耕(백우伯牛), 염옹 염雍(중궁仲弓)
11.7 재여宰予(자아子我)와 단목사端木賜(자공子貢)
11.8 염구 염求(자유子有)와 중유仲由(자로子路)
11.9 언언言偃(자유子游)
11.10 복상卜商(자하子夏)
11.11 증삼曾參(자여子輿)
11.12 전손사 전孫師(자장子張)
11.13 기타 제자들
11.14 맺음말

12 공자의 학통
12.1 중국문화사의 주류
12.2 유교의 창시
12.3 유교의 전파
12.4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유교
12.5 한漢나라 시대의 유교
12.6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의 유교
12.7 수隋나라 시대의 유교
12.8 당唐나라 시대의 유교
12.9 북송北宋 시대의 유교
12.10 남송南宋 시대의 유교
12.11 원元나라 시대의 유교
12.12 명明나라 시대의 유교
12.13 청淸나라 시대의 유교

13 유교경전
13.1 공자의 저술
13.2 주역周易
13.3 시경詩經
13.4 서경書痙
13.5 춘추春秋
13.6 예경禮敬
13.7 효경孝經
13.8 사서집주四書集註
13.9 대학大學
13.10 논어論語
13.11 맹자孟子
13.12 중용中庸
13.13 고전 해석
13.14 곡부曲阜
13.15 공자의 시호諡號와 제례 의식
13.16 공자의 탄생일과 스승의 날

14 동양의 유교
14.1 유교와 동양 문화
14.2 중국과 한국의 문화 교류
14.3 신라와 화랑
14.4 고려高麗의 유교
14.5 조선朝鮮의 유교
14.6 한국의 국악國樂
14.7 중일 문화 교류
14.8 수당隋唐 시대 이전의 일본 유교
14.9 수당隋唐 시대의 일본 유교
14.10 송宋·명明·청淸 시대의 일본 유교
14.11 주지유朱之瑜와 수호水호
14.12 현대 일본의 유교
14.13 성당聖堂과 사문회斯文會
14.14 천리대학天理大學
14.15 유구 沖구의 유교
14.16 베트남의 유교

15 서양의 유교 연구
15.1 유교와 서양 문화
15.2 중국의 초기 천주교 선교사
15.3 천주교 선교사의 유교 경전 번역
15.4 독일의 유교 연구
15.5 프랑스의 유교 연구
15.6 영국의 유교 연구
15.7 기타 유럽의 유교 연구
15.8 미국의 유교 연구

16 공자세기
16.1 공자의 시대정신
16.2 춘추시대 주요 연표
16.3 주周나라의 제후국
16.4 문화 동화와 영토 확장
16.5 춘추시대 저명인사 42명
16.6 춘추시대의 예치禮治
16.7 관중管仲
16.8 자산子産
16.9 노자老子
16.10 공자의 중요한 공헌
16.11 지성선사至聖先師
16.12 공자의 현대화와 세계화

부록
참고문헌
1. 서양어 참고문헌
2. 중국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