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개념사의 지평과 전망 / 지은이 : 박근갑,루치안 횔셔,롤프 라이하르트,김학이,고지현,고원,나인호,멜빈 릭터,이경구 ;옮긴이 : 김성호,최용찬,황정아
개념사의 지평과 전망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개념사의 지평과 전망 / 지은이 : 박근갑,루치안 횔셔,롤프 라이하르트,김학이,고지현,고원,나인호,멜빈 릭터,이경구 ;옮긴이 : 김성호,최용찬,황정아
  • ·판사항 개정증보판
  • ·발행사항 서울 : 小花, 2015
  • ·형태사항 355 p. ;22 cm
  • ·총서사항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개념소통 연구시리즈)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7-361-AM000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104815  9490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1.31  듀이십진분류법-> 153.23  
  • ·주제명 역사학[歷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박근갑,루치안 횔셔,롤프 라이하르트,김학이,고지현,고원,나인호,멜빈 릭터,이경구 ;옮긴이: 김성호,최용찬,황정아 2015 SE0000433436 181.31-18-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개정증보판을 내면서 박근갑 _ 7

한국 개념사의 꿈과 짐―하나의 방법론 소고 박근갑
말안장시대 _ 13
문명의 길 _ 18
보편의 세계 _ 28
진리와 신화 _ 36
역사적 지평 _ 51

개념사의 개념과 ?역사적 기본 개념?            루치안 횔셔 / 김성호 옮김
역사상의 시간과 실재 _ 64
현존하는 과거와 과거의 현재 _ 69
담론 분석인가, 개념 분석인가 _ 73
?역사적 기본 개념?의 접근 방식 _ 76
전망 _ 81

역사적 의미론:어휘통계학과 신문화사 사이
─관점 정리를 위한 예비 고찰 롤프 라이하르트 / 최용찬 옮김
‘언어적 전회’와 종말의 부재 _ 85
개념사(Begriffsgeschichte), 개념사(Conceptual History), 또는 담론 분석? _ 89
‘중간적’ 사료 차원의 사회사적 담론과 의미론을 위하여 _ 106

롤프 라이하르트의 개념사 김학이
코젤렉의 기본 개념 _ 129
개념과 현실 _ 133
개념과 상징 _ 144
개념과 심성 _ 157
맺음말 _ 167

일상 개념 연구―이론 및 방법론의 정립을 위한 소론 고지현
서론 _ 177
일상 개념의 전망 속에서 바라본 역사적 의미론 _ 178
라이하르트의 사회사적 의미론 _ 190
언어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담론 분석과 역사적 의미론 _ 197
결론 _206

프랑스의 담론 분석과 개념사 연구 고원
머리말 _ 213
페브르와 언어의 역사적 분석 _ 215
실증주의적 담론 분석 _ 218
개념사로의 회귀 _ 225
개념사와 정치철학의 결합 _230

개념사는 어째서 새로운가 나인호
이념(관념)과 단어(용어) 사이의 개념 _ 237
‘자본주의 정신’을 통해 본 언어의 사회사로서 개념사 _ 243

개념사, 번역, 그리고 상호 문화적 개념 전이멜빈 릭터/황정아 옮김 _ 270

한국의 역사는 개념사의 지평을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 이경구
개념사는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_ 318
한국의 전통 개념에서 찾을 수 있는 가능성 _ 326
복수의 ‘세계사들’을 위하여 _334
전망:중심주의 해체를 향하여 _339

찾아보기 _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