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경기 : 천년의 문화사,조선후기~현대 / 집필자 : 강진갑,김기봉,김덕묵,김덕진,김상헌,김성환,김종혁,김형목,김형섭,남창근,박철하,박형규,배은석,석화정,신영담,은정아,이달호,이동근,이동헌,정성희,정해은,조성운,차선혜,최용환,최형국,허동현,황금회,황병주
경기 : 천년의 문화사, 조선후기~현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경기 : 천년의 문화사,조선후기~현대 / 집필자 : 강진갑,김기봉,김덕묵,김덕진,김상헌,김성환,김종혁,김형목,김형섭,남창근,박철하,박형규,배은석,석화정,신영담,은정아,이달호,이동근,이동헌,정성희,정해은,조성운,차선혜,최용환,최형국,허동현,황금회,황병주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문화재단, 2018
  • ·형태사항 379 p.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21 cm
  • ·총서사항 (경기그레이트북스 ;03)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9901126  0490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5  듀이십진분류법-> 951.9  
  • ·주제명 지방사[地方史]향토 문화[鄕土文化]경기도[京畿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조선후기~현대 집필자: 강진갑,김기봉,김덕묵,김덕진,김상헌,김성환,김종혁,김형목,김형섭,남창근,박철하,박형규,배은석,석화정,신영담,은정아,이달호,이동근,이동헌,정성희,정해은,조성운,차선혜,최용환,최형국,허동현,황금회,황병주 2018 SE0000429338 정책 911.5-18-7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
책머리에 - 경기, 천년의 문화사를 시작하며
프롤로그 - 문명의 전환 관점에서 바라 본 경기천년

1부 조선 후기 경기인의 삶과 신문명, 그리고 실학
01 경기인의 삶
02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03 서학西學의 전래와 수용
04 의주대로義州大路와 연행노정燕行路程
05 경기 실학의 연원을 찾아서
06 경기도의 기근 참상과 구휼정책
07 누구나 공평한 세금을 내야 한다
08 다산 정약용
09 수원 화성은 "호호부실戶戶富實 인인화락人人和樂"의 신도시
10 두물머리에서 문화의 격을 경험하다

2부 근대를 접한 경기인
01 개항의 문명사적 의미와 경기도
02 경기인京畿人을 접한 서양인들
03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그리고 대원군의 다른 선택
04 화서학파의 성립과 위정척사의 시대적 변용
05 동북아 국제관계와 한반도 수호의 최전선
06 한 세기 전 근대 국민 국가 수립에 실패한 역사가 주는 교훈
07 경기, 근대의 시선 속으로

3부 일제강점기의 경기도
01 일제의 한국 지배 정책
02 대한독립, 그 길 위에 서다
03 신간회 창립 90주년, 화해와 협력의 시대로 나아가자
04 1920~1930년대 경기도 소작농민의 참상과 농민운동
05 경기지역 근대 교육에서 미래를 생각하자
06 식민지 지배의 새로운 방식, 근대 관광

4부 경기도의 현재, 그리고 미래 이야기
01 해방정국
02 피난민의 구술사로 읽는 경기도민과 6·25전쟁
03 경기도의 민주화운동
04 경기도 지방자치 제도의 발전
05 산업경제의 중심, 경기도
06 경기도 일상의 변화
07 대경기大京畿의 거대 권역
08 경기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음식
09 경기천년의 민속
10 경기도의 지리
11 경기천년과 북한, 그리고 통일
12 개성의 건축문화재
13 개성에 남아 있는 전통한옥
14 개성상인과 한옥
15 4차 산업혁명과 경기도의 미래
16 우리는 문명의 전환에 대비하고 있는가?

에필로그 - 경기도의 지정학 유라시아 대륙과의 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