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그래도 집을 사시겠습니까? / 최경진 지음
그래도 집을 사시겠습니까?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그래도 집을 사시겠습니까? / 최경진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이담Books :한국학술정보, 2011
  • ·형태사항 418 p. :삽화, 도표 ;23 cm
  • ·주기사항 이담Books는 한국학술정보의 지식실용서 브랜드임
    표제관련정보: 1991년 일본發 버블경제의 경고: 거품경제의 붕괴, 부동산 불패신화는 끝났다!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6828427  03320 : \2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97  듀이십진분류법-> 338.544  
  • ·주제명 버블(경제)[bubble]경제 전망[經濟展望]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최경진 지음 2011 SE0000428341 321.97-18-3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최경진 지음 2011 SE0000428342 321.97-18-3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버블경제(Bubble Economy)란 무엇인가?
1. 버블경제에 대한 정의
2. 거품경제의 역사
(1) 17세기 네덜란드 튤립 투기
(2) 프랑스의 “미시시피계획”
(3) 사우스 시 컴퍼니(The South Sea Company) 버블사건
(4) Internet Bubble
3. 버블경제의 성향
(1) 버블경제의 징조
(2) 버블경제에서의 매스미디어의 역할

버블경제에 대한 인식
1. 일본의 버블경제는 언제인가?
(1)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2) 일본의 주식가격
(3) 일본의 부동산가격
(4) 일본의 골프회원권가격
2. 일본 버블경제에 대한 인식은 언제부터인가?
(1) 미디어의 버블인식
(2) 경기호황과 버블에 대한 인식도
(3) 일본 교과서의 버블 인식 정도

버블경제의 배경 
1. 미국의 경제상황
(1) 미국의 주요경제지표
(2) 일본에 대한 압력
2. 프라자 합의(Plaza Accord)

버블발생의 형성요인
1. 엔화의 가치절상
(1) 엔 환율의 추이
(2) 대미 무역수지차 추이
(3) 일본 전체 무역수지 차의 추이
2. 저금리 정책
(1) 금리인하
(2) 주식투자증가
3. 금융규제의 완화

자산가치의 폭등
1. 부동산가격의 폭등
(1) 일본의 공동주택의 역사
(2) 부동산가격 폭등의 원인
(3) 부동산가치의 폭등
2. 주식가격의 폭등
(1) NTT주식공개
(2) 주가의 상승
3. 골프회원권가격의 급상승
(1) 일본 골프의 역사
(2) 일본 골프업계 현황
(3) 골프회원권가격의 급상승
4. 높은 생활비, 소비의 증가
(1) 동경의 높은 생활비
(2) 고가 수입품의 증가

버블의 한가운데에서
1. 버블 시의 사회상
(1) 버블 시의 패션과 유흥
(2) OL(Office Lady)의 추억
(3) 고급품 지향
(4) 나의 버블 체험기
(5) 버블 시의 TV드라마와 스포츠
2. 자산격차의 발생
(1) 주식소유자의 분포
(2) 대도시와 지방의 토지자산 가치의 격차
(3) 격차발생에 대한 세론조사(世論調査)

버블의 제거
1. 일본정부의 버블제거 정책
(1) 토지거래 감시구역제도 도입(1987. 9)
(2) 금리의 인상(1989. 5∼1990)
(3) 부동산 관련 융자 총량규제(1990. 4)
(4) 토지기본법(1989. 12. 22 시행)
(5) 토지세제개혁
2. 거품제거정책의 효과
(1) 부동산
(2) 주식가격
(3) 골프회원권

버블경제 붕괴의 영향
1. 국부의 감소
2. 기업에 끼친 영향
(1) 이자 부담의 증가
(2) 평가익의 감소와 불량자산의 증가
(3) 구조조정(리스토라, リストラ)
(4) 기업도산의 증가
3. 개인에의 영향
(1) 고용과 소득의 감소
(2) 개인소비의 감소
(3) 주택대출과 주택구입에 끼친 영향
(4) 젊은 층의 취업과 생활에 끼친 영향

소비자금융시장의 급팽창
1. 일본 소비자금융시장의 성장과정
2. 일본 소비자금융시장의 현황
3. 소비자금융시장의 문제점
(1) 금리 문제
(2) 소비자금융광고 문제
(3) 자기파산의 증가
(4) 다중채무자 문제
4. 일본정부의 지도

   버블경제 붕괴 후의 사회상
1. 어느 사회과목 교사의 기억
2. 버블을 예측한 투기사
3. 도심파와 지방파
4. 브랜드제품의 리사이클 샵
5. 병들어가는 청소년
6. 격차사회와 소자녀화(少子女化)
7. Working Poor
8. 갑작스러운 해고통보
9. 욕망의 경제학

 일본의 버블경제가 우리에게 주는 암시
1. 당시 일본과 한국의 사회현상 비교
(1) 당시 일본의 상황
(2) 한국이 당시의 일본과 닮은 현상
2. 향후 우리의 문제점
(1) 가계부채 문제
(2) PF대출 연체와 부실채권 발생
(3) 청년실업과 미혼율의 증가, 출생률 감소 현상
3. 제언
(1) 상황에 대한 객관적 인식
(2) 가계부채 대책
(3) 가계소득의 유지
(4) 세수(稅收)의 확대
(5) 서민금융의 지원확대
(6) 사회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