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영호남의 인문지리 : 동서 지역갈등의 사회사 / 지은이 : 김정호
영호남의 인문지리 : 동서 지역갈등의 사회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영호남의 인문지리 : 동서 지역갈등의 사회사 / 지은이 : 김정호
  • ·발행사항 파주 : 지식산업사, 2018
  • ·형태사항 304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89-293)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2390533  0391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81.1  듀이십진분류법-> 915.19  
  • ·주제명 인문 지리[人文地理]역사 문화[歷史文化]영호남[嶺湖南]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정호 2018 SE0000426808 981.1-18-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김정호 2018 SE0000426809 981.1-18-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차례

│책머리에│ 영호남의 풍수와 역사 …5

제1장 환경과 인간의 진화 / 13
1.1. 인간의 풍토 적응 …15
1.2. 서양의 환경결정론 …20
1.3. 동양의 풍수와 풍토 …27

제2장 영호남의 인문지리 / 33
2.1. 영호남의 지리 비교 …35
2.2. 두 지역의 인구 변화 …42
2.3. 지역 종교의 특징 …47
2.4. 고대국가 변한과 신라 …50
중국 사서와 《삼국유사》 속의 마한 ● 51 / 중국 사서에 나오는 진한과 경상도 ● 59
2.5. 영호남의 문화 특성 …83
전라도의 모정 ● 83 / 영남의 도학 ● 87 / 호남의 문학과 예술 ● 91 / 경상도 종택 문화 ● 94 / 조선시대 두 지역의 관료 진출 ● 96


제3장 호남 편견의 정착 / 101
3.1. 호남에 대한 역사적 편견 …103
〈훈요십조〉의 왕실 기록 ● 104
3.2. 풍수와 지역 편견 …109
호남 지리의 재검토 ● 111
3.3. 도선 국사와 〈훈요십조〉…120
도선 기록과 전설 ● 120 / 역사기록의 도선 ● 123 / 〈훈요십조〉의 위작설 ● 124 / 〈훈요십조〉의 진상 ● 129 / 신라계의 고려 왕실 점령 ● 131
3.4. 후백제 기록의 재검토 …135
진훤이라 불러다오 ● 135 / 가은의 진훤 전설터 ● 137 / 광주 북촌 사생아 이야기 ● 140 / 광산김씨와 신라왕실 ● 143 / 진훤의 경주 진격 ● 149 / 진훤의 신라왕계설 ● 151 / 진훤이 경주계 김씨였을 가능성 ● 155 / 상주의 아자개 ● 157 / 전주이씨와 ‘견성’의 수수께끼 ● 160
3.5. 고려 이후 호남의 저항 …163
3.6. 전라도 폄하의 역사 …67
부정적인 묘사 문적들 ● 167
3.7. 기축옥사의 여진 …174


제4장 전라도의 시련 / 181
4.1. 수탈의 대상지 호남 …183
4.2. 개혁 성향과 소작지대 …188
4.3. 광복 후의 좌파운동과 여순사건 …193
4.4. 적 치하 2개월, 6·25의 비극 …198
4.5. 극복의 몸부림, 종교혁신 운동 …202
메시아 미륵을 섬긴 망국 백제 사람들 ● 202 / 고려의 불교혁신운동 ● 205 / 동학군과 신흥종교 ● 208 / 일제하 신흥종교운동 ● 209 / 유교적 법고창신 ● 210


제5장 선거와 지역주의 / 215
5.1. 광복 이후의 선거 …217
5.2. 1971년 선거와 1987년 선거 …219
5.3. 1987년 선거결과와 지역주의 논란 …222
인사의 불공정 ● 226 / 개발의 불균형 ● 228
5.4. 지역갈등의 조사 … 235
5.5. 주민 이동과 편견의 심화 …237
왕따당한 전라도 사람들 ● 237

제6장 지역주의는 이념에 앞선다 / 245
6.1. 광복 후 영호남의 인구 이동 …247
6.2. 지역주의와 정치 …254
정치는 지역연고를 이용한다 ● 254 / 연고투표의 실상 ● 258
6.3. 노무현과 문재인의 혈연연고 …267
6.4. 지역주의의 조화와 상생 …272
6.5. 남·북 통일과 지역주의 …276

│끝내는 말│  …287

│참고문헌│  …289
│찾아보기│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