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경성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study of 'Orientalism' / 지은이 : 윤해동,정준영,허지향,이용범,정상우,신주백,장신,조정우 ;편자 : 윤해동,정준영
경성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study of 'Orientalism'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경성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study of 'Orientalism' / 지은이 : 윤해동,정준영,허지향,이용범,정상우,신주백,장신,조정우 ;편자 : 윤해동,정준영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8
  • ·형태사항 368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RICH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총서 ;19)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8-A00005)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1970  93910 : \3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0  듀이십진분류법-> 950  
  • ·주제명 경성 제국 대학[京城帝國大學]동양학[東洋學]식민 사관[植民史觀]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윤해동,정준영,허지향,이용범,정상우,신주백,장신,조정우 ;편자: 윤해동,정준영 2018 SE0000414759 910-18-1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윤해동,정준영,허지향,이용범,정상우,신주백,장신,조정우 ;편자: 윤해동,정준영 2018 SE0000421110 910-18-1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윤해동,정준영,허지향,이용범,정상우,신주백,장신,조정우 ;편자: 윤해동,정준영 2018 SE0000421111 910-18-13=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1부_ ‘제국대학’과 동아시아

한국 근대 고등교육의 기원과 ‘식민지대학 체제’의 형성 _윤해동
Ⅰ. 머리말
Ⅱ. 식민지대학의 두 기원
Ⅲ. 제국대학의 이식과 굴절 : 식민지대학 체제의 형성
Ⅳ. ‘대안적 고등교육’의 활성화
Ⅵ. 맺음말

육당 최남선의 만주행과 만주국 ‘건국대학’의 실험 _정준영
Ⅰ. 들어가며 : 만주국의 육당
Ⅱ. 건국대학의 설립과 민족협화의 신화
Ⅲ. 건국대학이라는 실험의 겉과 속
Ⅳ. 나가며 : 육당과 만주건국대

2부_ 동양학으로서의 철학과 문학

다이쇼 교양주의와 경성제국대학 ‘철학, 철학사 제1’강좌: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를 중심으로 _허지향
Ⅰ. 들어가며
Ⅱ. 생애와 특정 부분의 소극적인 기술
Ⅲ. 아베의 학문적 배경과 연구 성과 : 경성제대 부임 이전까지
Ⅳ. ‘인생철학’으로 식민지 조선 살아가기
Ⅴ. 끝맺기

김태준 초기이력의 재구성과 ‘조선학’의 새로운 맥락들 _이용범
Ⅰ. 서론
Ⅱ. 경성제대 재학기(在學期)와 두 번째 북경행
Ⅲ. 동아시아 근대학술 교류의 일지맥(一支脈)
Ⅳ. 조선어문학회와 경성제대 지나문학과의 중첩
Ⅴ. ‘조선학’의 기저로서 민족의식
Ⅵ. 결론

3부_ 조선사 연구와 동양학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들의 한국사에 대한 통사적 접근
쓰에마스, 이나바, 나카무라의 시도를 중심으로 _정상우
Ⅰ. 서언
Ⅱ. 대륙 침략과 새로운 조망의 필요 : 역사의 정리
Ⅲ. 식민주의 역사학의 상수 : 종속과 혼란의 역사
Ⅳ. 새로운 양상들 : 정체를 보여주는 새로운 소재들과 동북아시아에 대한 조망
Ⅴ. 결어

쓰에마스 야스카즈(末松保和, 1904~1992)의 학술사와 식민주의 역사학: 그 반사경인 한국사 학계에서의 엇박자의 원인을 찾아서 _신주백
Ⅰ. 문제제기 : 식민주의 역사학을 보는 눈과 태도
Ⅱ. 식민지 조선, 식민주의 역사학의 최전선에서
Ⅲ. 전후 일본에서 더욱 확장된 연구와 내재된 제국의식
Ⅳ. 식민주의 역사학을 바라보는 두 측면 : 실증, 존재와 태도

4부_ 법학 연구와 경성제대

식민지 조선에서 법학의 위상과 경성제국대학 _장신
Ⅰ. 머리말
Ⅱ. 전문학교에서 법학교육의 목표와 실상
Ⅲ. 고등시험과 법학 교육
Ⅳ. 법학 연구의 두 축
Ⅴ. 맺음말

통제경제 속의 주식회사법: 경성제대 니시하라 간이치의 상법학이 처한 딜레마 _조정우
Ⅰ. 들어가며 : 식민지의 상법-회사법
Ⅱ. 이법지역(異法地域)으로서의 식민지
Ⅲ. 경성제국대학의 상법 강좌와 회사법
Ⅳ. 자유주의 상법 이론의 체계화 : 주식회사의 법적 규제 문제
Ⅴ. 국가와 시장의 교착 : 통제경제의 발흥과 주식회사법
Ⅵ. 나오며 : 감춰진 식민지 경험과 송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