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그림의 전통 / 지은이 : 안휘준
한국 그림의 전통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그림의 전통 / 지은이 : 안휘준
  •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 2012
  • ·형태사항 588 p. :천연색삽화 ;24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미개척 분야와의 씨름-나의 한국회화사 연구 ; 도판목록
    참고문헌(p. 545-569)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355145  93650 :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53.11  듀이십진분류법-> 759.9519  
  • ·주제명 한국 미술[韓國美術]회화(그림)[繪畵]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안휘준 2012 SE0000411787 653.11-18-5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안휘준 2012 SE0000654215 653.11-18-5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한국 그림의 전통》을 내며   4

Ⅰ 총론편
1. 한국 회화의 전통   15
  1) 머리말 : 전통의 의의   15
  2) 전통회화의 변천   21
가. 삼국시대 및 남북조(통일신라ㆍ발해)시대
나. 고려시대
다. 조선시대
  3) 전통회화의 시련   31
  4) 전통회화의 현황과 방향   34
  5) 맺음말   39
2. 한국의 회화와 미의식   41
  1) 머리말   41
  2) 한국미에 관한 제설(諸說)의 검토   43
  3) 선사시대의 선각화(線刻畵)와 미의식   59
가. 신석기시대의 선각화와 미의식
나. 청동기시대의 선각화와 미의식
  4) 삼국시대 및 남북조(통일신라ㆍ발해)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70
가. 고구려의 회화와 미의식
나. 백제의 회화와 미의식
다. 신라의 회화와 미의식
라. 통일신라 및 발해의 회화와 미의식
  5) 고려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89
  6) 조선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95
가.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회화관
나. 조선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7) 맺음말   116

Ⅱ 산수화편
1. 한국 산수화의 발달   121
  1) 머리말   121
  2) 삼국시대 및 남북조(통일신라ㆍ발해)시대의 산수화   123
가. 고구려의 산수화
나. 백제의 산수화
다. 신라의 산수화
라. 통일신라 및 발해의 산수화
  3) 고려시대의 산수화   142
  4) 조선 초기의 산수화   160
  5) 조선 중기의 산수화   174
  6) 조선 후기의 산수화   186
  7) 조선 말기의 산수화   198
  8) 맺음말   204
2. 한국 남종산수화의 변천   207
  1) 머리말   207
  2) 남종화의 개념   208
  3) 남종화의 동전(東傳)과 수용   218
가. 고려시대
나. 조선 초기
다. 조선 중기
  4) 남종화의 정착과 유행   242
가. 조선 후기
나. 조선 말기
  5) 맺음말   277

Ⅲ 풍속화편
1. 한국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285
  1) 머리말   285
  2) 고려시대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288
  3) 조선시대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297
가. 조선시대의 문인계회
나. 조선시대 계회도의 변천
  4) 맺음말   317
2. 한국 풍속화의 발달   321
  1) 머리말   321
  2) 조선시대 이전의 풍속화   324
가. 청동기시대
나. 삼국시대 및 남북조시대
다. 고려시대
  3) 조선시대 전반기의 풍속화   334
  4) 조선시대 후반기의 풍속화   342
가. 조선 후기(약 1700~약 1850)의 풍속화
김홍도 이전의 풍속화
김홍도 이후의 풍속화
나. 조선 말기(약 1850~1910)의 풍속화
  5) 맺음말   383

Ⅳ 회화교섭편
1. 한국 회화사상 중국 회화의 의의   387
  1) 머리말   387
  2) 한국회화의 원류(原流)로서의 중국회화는 어떠한 미술인가   389
가. 일반적 측면
나. 정신적(사상적) 측면
다. 기법적 측면
  3) 한국인들은 중국회화를 어떻게 수용(受容)하였나   422
  4) 한국인들은 중국회화를 수용하여 무엇을 이루었나   431
  5) 맺음말   448
2. 한ㆍ일 회화관계 1500년   451
  1) 머리말   451
  2) 삼국시대~고려시대 회화의 일본과의 관계   454
가. 삼국시대
나. 남북조시대 및 고려시대
  3) 조선시대 회화의 일본과의 관계   467
가. 임진왜란 이전
나. 임진왜란 이후
  4) 맺음말   498
<한ㆍ일 회화관계 참고문헌 약목>   500
<통신사일람>   505
<통신사왕래약도>   507

Ⅴ 부록
미개척 분야와의 씨름 ― 나의 한국회화사 연구   511

도판목록   533
참고문헌   545
찾아보기   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