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 글쓴이 : 이보형 ;엮은이 : 오진호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 글쓴이 : 이보형 ;엮은이 : 오진호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5
  • ·형태사항 303 p. ;22 cm
  • ·총서사항 (이보형 평론집.월간 춤·객석 편 ;3)(민속원 ;1306)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08174  9467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80.9  듀이십진분류법-> 792.09  
  • ·주제명 전통 공연 문화[傳統公演文化]평론집[評論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쓴이: 이보형 ;엮은이: 오진호 2015 SE0000409529 680.9-18-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_월간 춤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초창기의 벅찬 감동을 기대하며
전통춤의 반주 음악 문제
대학 전통교육의 정통성 재고
민속문화는 그「현지」에서 살려야
판소리의 온전한 전승을 위한 서곡
맥이 끊어지는 전통문화
현행「전주대사습놀이」의 역사적 근거는 옳은가
잃어버린 전통 무예의 복원
중요무형 문화재를 정하는 이유
국립국악원, 무엇을 해야 하나
해주검무의 복원 가치에 무심
중요무형 문화재와 창작자와의 관계
체계화돼야 할 전통예술의 영상기록화 작업
복원의 맥 끊긴 판줄
자생적 축제의 위기
이름뿐인 중요무형 문화재 발표공연
경기도당굿의 위기
창극은 음악성이 우선해야
아직도 국악 차별대우 남아 있다
잃어버린 인물을 위한 추적
축제와 민족문화 복원
부롬인 세계「종족문화」국내 연구
전승보조금 마련은 바람직
창극에 대한「연극평론가」의 평은 문제있다
교포사회에서의 우리 전통문화
점점 밀려나는 미국속의 우리 국악
국립창극단이 해야 할 일
전통연희의 공연장문제
국악과 대중
창극을 어떻게 민족극으로 이끌 것인가
30여년된 전국민속 경연대회 없애서는 안 된다
전통과 창작, 엄격히 구별돼야 
국민교육에 있어서의 국악의 불균형성
남북 교차  공연은 좀 더 의연하게 대해야
국립극장 부설 예술학교 있어야
전통예술 관련 용어 정리부터 필요해
「여성국극」은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창작 국악을 위한 충격적 실험
민족 동질성 찾기의 제일순위
초ㆍ중ㆍ고등학교 국악교육의 문제점

_객석
전국단오놀이를 둘러보고
"너는 죽어 정피(창포)되고 나는 죽어 약쑥되야"
우리민요의 지역적 토리
이봄, 마음문을 열어준 공연 셋
완창 판소리 공연과 시립국악 관현악단 연주와…
초여름 더위 식혀준 국악공연 셋
85예술계를 돌아본다
86예술계를 말한다
민요와 농악도 국악에 속하느냐는 새삼스러운 질문
다양한 얼굴이 요구되는 창작연주회
우리음악에 대한 애정과 실천, FM국악무대
풍류문화를 되살리는 '우리가락 한마당'
대학국악교육 30년의 결산, 87서울국악제
여섯 차례나 열린 판소리 절판공연
판소리 다섯 마당과 가야금 병창의 맥
가야금산조 여섯바탕전
국립창극단 정기공연 '수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