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통제와 저항, 인류역사의 변주 / 저자 : 한영화,권순홍,이상동,박재우,조성산,하원수,박기수,임경석,최보민,김진흠,김택현
통제와 저항, 인류역사의 변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통제와 저항, 인류역사의 변주 / 저자 : 한영화,권순홍,이상동,박재우,조성산,하원수,박기수,임경석,최보민,김진흠,김택현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8
  • ·형태사항 407 p. :천연색삽화 ;23 cm
  • ·총서사항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총서 ;18권)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1581  93900 : \3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05  듀이십진분류법-> 951.9  
  • ·주제명 한국사[韓國史]논문집[論文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한영화,권순홍,이상동,박재우,조성산,하원수,박기수,임경석,최보민,김진흠,김택현 2018 SE0000403976 911.005-18-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한영화,권순홍,이상동,박재우,조성산,하원수,박기수,임경석,최보민,김진흠,김택현 2018 SE0000403977 911.005-18-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제1부 통제의 방식, 권력과 이념의 변주
┃고대사회의 성별 분업과 여성노동 | 한영화
1. 머리말
2. 성별 노동의 분화 
3. 여성노동의 성격 
4. 맺음말

┃고구려 초기 왕실교체와 개도(改都) | 권순홍
1. 머리말 
2. 도성의 위치 비정 
3. 환인에서 집안으로의 개도 시기 
4. 맺음말 

┃스코틀랜드 로버트 브루스의 무덤 조성과 장례 | 이상동
1. 머리말
2. 로버트 브루스의 장례식 
3. 로버트 브루스의 무덤 
4. 맺음말

제2부 세력의 형성, 개인과 집단의 변주
┃고려 전기 강감찬의 관료진출과 정치활동의 성격 | 박재우
1. 머리말 
2. 강감찬 선대의 금주(衿州) 정착과 활동 
3. 호족의 관료 진출과 강감찬의 급제 
4. 현종대 정치형태와 강감찬의 정치활동 
5. 맺음말 

┃18세기 후반 석실서원(石室書院)과 지식·지식인의 재생산 | 조성산
1. 머리말 
2. 서원이라는 ‘지식’·‘지식인’ 생성의 장(場) 
3. 석실서원의 강학과 교육
4. 과거 시험에 대한 부정과 새로운 지식의 가능성
5. 맺음말 

┃당대(唐代) 소영사(蕭穎士)와 사인(士人)들의 교유 | 하원수
1. 머리말 
2. 소영사의 삶 
3. 소영사와 교유한 사인들
4. 소영사와 사인들의 관계 
5. 맺음말 

┃태평천국운동 이후 강절환(江浙皖) 지역에서의 자작농의 형성 | 박기수
1. 머리말 
2. 강소(江蘇)에서의 개간정책과 자작농의 형성 
3. 절강(浙江)에서의 개간정책과 자작농의 형성 
4. 안휘(安徽)에서의 개간정책과 자작농의 형성 
5. 맺음말

제3부 갈등의 충돌, 억압과 저항의 변주
┃식민지시대 반일 의열투쟁과 사회주의 | 임경석 
1. 머리말 
2. 3·1운동기 의열투쟁 전술의 출현 
3. 의열투쟁과 두 고려공산당 
4. 의열투쟁과 조선공산당 
5. 맺음말 

┃1920년대 중반 반(反)기독교운동 | 최보민 
1. 머리말
2. 천도교 청년세력의 반기독교 운동
3. 조선공산당의 반기독교운동 
4. 맺음말 

┃1950년대 이승만 대통령의 ‘불교 정화’ 유시와 불교계의 정치 개입 | 김진흠
1. 머리말
2. 1954~1955년 이승만 대통령의 ‘불교 정화’ 유시 
3. ‘불교 정화’의 양상과 불교계의 정치 개입 
4. 맺음말 

┃(포스트)식민주의와 문화 혼종 | 김택현
1. 제국주의의 문화 지배 전략 
2. 대항 전략/담론으로서의 문화 혼종
3. 문화 혼종의 정치적 실천
4. 문화 혼종: 과거의 반복 혹은 현재를 바꾸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