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고대 국가제의와 정치 / 채미하 지음
한국 고대 국가제의와 정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고대 국가제의와 정치 / 채미하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혜안, 2018
  • ·형태사항 450 p.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33-446)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946002  93910 : \3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2  듀이십진분류법-> 951.901  
  • ·주제명 제천 의식[祭天儀式]한국 고대 시대[韓國古代時代]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채미하 지음 2018 SE0000395815 911.02-18-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채미하 지음 2018 SE0000395816 911.02-18-5=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건국신화와 國家祭儀

제1절 고구려의 國母信仰
1. 태후묘의 ‘태후’
2. 수신제의 ‘수신’
3. 부여신묘의 ‘부여신’
4. ‘신모’ 유화

제2절 한국 고대 神母와 國家祭儀-유화와 선도산 신모를 중심으로-
1. 神母의 유형:시조모와 시조비
2. 國家祭儀와 신모의 추숭
3. 한국 고대 신모의 變移

제3절 신라의 건국신화와 국가제의
1. 건국신화와 始祖廟
2. 건국신화와 神宮
3. 건국신화와 五廟

제2장 ‘祭天地’와 城제사

제1절 666년 고구려의 唐 封禪儀禮 참여와 그 의미
1. 666년 당 봉선의례 기록 검토
2. 고구려의 당 봉선의례 참여 배경
3. 봉선의례의 의미

제2절 웅진시기 백제의 국가제사-‘祭天地’를 중심으로-
1. ‘제천지’와 동성왕
2. 웅진시기 ‘제천지’의 변화
3. ‘제천지’ 변화의 의미

제3절 백제加林城考-『삼국사기』제사지신라조의명산대천제사를 중심으로-
1. ‘一本’과 加林城
2. 가림성과 加林縣
3. 국가제사에 편제된 이유와 이후의 가림성

제4절 신라의 城제사와 그 의미-성황신앙의 수용배경을 중심으로-
1.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된 城
2. 城 제사의 전개와 변화
3. 城 제사의 의미-성황신앙 수용의 端初

제3장 山川祭와 정치

제1절 신라의 6村과 山嶽祭祀
1. 6村과 6村長의 初降地
2. 6촌의 基盤 변화
3. 山嶽祭祀의 편제와 그 의미

제2절 신라의 四海와 四瀆
1. 大山川 제사와 사해?사독
2. 신라 중대왕실과 사해?사독 제사
3. ‘大川’ 제사의 의미

제3절 백제의 산천제사와 그 整備
1. 사비시기의 三山, 五嶽, 諸山川
2. 禮制의 수용과 사비시기 산천제사의 정비

제4절 陶唐山과 그 성격-祭儀를 중심으로-
1. 陶唐山 관련 기록 검토
2. 月城과 都堂山土城
3. 陶唐山과 祭儀

補 論

제1절 고려시대 東明에 대한 인식-국가제사를 중심으로-
1. 東明聖帝祠의 실체
2. 東明 崇拜의 諸相
3. 東明聖帝祠의 의미

제2절 고려시대의 水神祭
1. 해상교통과 漕運의 발달
2. 祭場과 그 대상
3. 水神제사의 성격

제3절 문헌에 나타난 삼각산 산신과 기우제
1. 산천제사의 정비와 삼각산
2. 삼각산 산신과 산천신
3. 기우제와 삼각산

제4절 조선시대 강릉의 城隍祠와 단오제
1. 성황사와 金庾信祠
2. 大關山神祠와 단오제
3. 강릉 단오제의 ‘僧’과 梵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