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 피부과 의사, 선비의 얼굴을 진단하다 / 이성낙 지음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 피부과 의사, 선비의 얼굴을 진단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 피부과 의사, 선비의 얼굴을 진단하다 / 이성낙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눌와, 2018
  • ·형태사항 223 p. :천연색삽화, 초상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14-220)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9074005  0391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54.5  듀이십진분류법-> 757  
  • ·주제명 초상화[肖像畵]조선 시대[朝鮮時代]피부 질환[皮膚疾患]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성낙 지음 2018 SE0000395535 654.5-18-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이성낙 지음 2018 SE0000395536 654.5-18-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넋두리에서 시작하여 책으로


Ⅰ장 초상화에서 피부병을 발견하다

1. 초상화에 빠진 피부과 의사

2. 정직함의 발현, 초상화 속 피부병

◆윤두서 자화상과 뒤러 자화상, 어느 쪽이 더 세밀한가 


Ⅱ장 개국 군주에서부터 망국의 지사까지

1. 태조 어진 
개국 군주의 얼굴에 흠집을 남기다 

2. 홍진 초상 
주먹만큼 부풀어오른 코, 코주부 선비의 고뇌 

3. 김새신 초상 
민둥민둥한 얼굴, 내시의 초상 

◆나무불상에 담긴 내시 아내의 애달픈 사연

4. 장만 초상 
애꾸눈의 두 전쟁 영웅, 서로 다른 초상화

5. 이시방 초상 
말굽에 채인 상처일까, 피부병의 흔적일까 

◆클레의 작품에 스민 전신성경피증의 고통

6. 오명항 초상 
어두워진 얼굴빛, 죽음의 그림자 

7. 유복명 초상 
얼굴 가득 털이 난 다모증의 선비

8. 송창명 초상 
하얗게 물든 얼굴, 백반증의 증거

◆조선시대 탈에도 피부병이 묘사되어 있다

9. 서명응 초상 
어른이 되어도 남은 ‘얼굴의 몽골반점’

10. 채제공 초상 
당대 명재상의 사시를 그리다

◆채제공이 신윤복의 미인도를 봤다면? 

11. 서매수 초상 
청소년들의 영원한 고민, 울긋불긋 여드름

12. 서직수 초상 
쌍둥이 모발에서 보는 조선시대 초상화의 자존심

◆서양에서 온 초상화의 도우미, 카메라 옵스쿠라 

13. 강인 초상 
아버지와 아들, 팔자 주름이 닮았네

◆부채 속 애꾸눈 청년은 무엇을 꿈꾸었을까

14. 이채 초상 
할아버지의 초상인가, 손자의 초상인가 

◆베껴 그린 그림인가? 두 개의 홍상한 초상  

15. 신홍주 초상 
수염 속에 숨은 작은 혹까지도

16. 김정희 초상 
추사의 얼굴에 다녀간 ‘손님병’의 흔적

17. 홍직필 초상 
얼굴에 피어난 발진, 병마에 시달린 흔적

18. 황현 초상 
죽음을 각오한 선비, 그 사팔눈에 담긴 개결함 


Ⅲ장 조선시대 초상화, 그 고유함에 대하여

1. 피부병을 찾기 힘든 서양의 초상화 

◆베르메르가 그린 소녀는 머리카락이 없었을까 

2. 과시와 조상숭배, 중국의 초상화 

3. 도식화된 권위, 일본의 초상화 

◆빨간 립스틱을 바른 조선 선비?

4. 선비정신을 담은 조선시대 초상화  


후기
선비정신, 다시 살아나야 한다 

참고 문헌
참고 도록
외국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