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세상을 바꾼 생물 / 원정현 지음
세상을 바꾼 생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세상을 바꾼 생물 / 원정현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리베르스쿨, 2018
  • ·형태사항 248 p. :천연색삽화, 초상 ;21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5822448  04400 : \149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470  듀이십진분류법-> 570  
  • ·주제명 생물[生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원정현 지음 2018 SE0000393512 470-18-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원정현 지음 2018 SE0000393513 470-18-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저자의 말
들어가는 글

Chapter 1 몸속에서 피가 흐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 혈액 순환 이론과 생리학
ㆍ갈레노스, 생리학 체계를 정맥·동맥·신경으로 나누다 
ㆍ해부학이 발달하며 갈레노스의 이론이 흔들리다 
ㆍ하비, 혈액 순환을 실험으로 증명하다 
ㆍ혈액 순환 이론에 영향을 준 이론들 
ㆍ베르나르, 인체의 기능을 밝혀 19세기 생리학을 발전시키다 

Chapter 2 린네, 생물을 나누는 규칙을 만들다 | 린네 분류 체계와 분류학
ㆍ아리스토텔레스, 생물을 영혼과 형태로 분류하다 
ㆍ유럽인들, 세계를 탐사하며 수많은 생물들과 마주하다 
ㆍ린네 분류 체계의 특징, 하위 그룹과 명명법 
ㆍ린네, 제한적인 분류 기준으로 비판받다 
ㆍ진화만을 반영하는 분류 체계가 등장하다 

Chapter 3 식물, 생명을 위한 영양소와 산소를 만들다 | 식물과 광합성
ㆍ식물의 잎과 줄기, 뿌리는 각각 어떤 역할을 할까? 
ㆍ식물에게는 빛·물·이산화탄소가 필요하다 
ㆍ광합성,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는 과정
ㆍ광합성의 두 단계인 명반응과 암반응을 분석하다 
ㆍ식물, 지구 생명의 토대를 마련하다 

Chapter 4 생물이 계속해서 변해 왔다고? | 다윈의 진화론
ㆍ신이 자연의 사다리에 맞춰 생명을 만들다 
ㆍ지구의 나이가 길어지자 진화 개념이 생기다 
ㆍ갈라파고스 육지 거북의 등딱지 모양은 왜 섬마다 다를까? 
ㆍ다윈, 자신의 연구를 정리해 《종의 기원》을 펴내다
ㆍ다윈의 진화론을 둘러싸고 논쟁이 일어나다 

Chapter 5 끝없이 계속되는 질병과의 싸움 | 세균과 백신
ㆍ질병의 원인, 신에게서 자연으로 
ㆍ고대와 중세의 믿음, ‘나쁜 공기가 병을 일으킨다’ 
ㆍ파스퇴르, 미생물을 부패의 원인으로 지목하다 
ㆍ코흐, 막대 모양 세균과 탄저병의 관계를 밝혀내다 
ㆍ파스퇴르가 전염병을 막는 백신을 개발하다 
ㆍ앞으로도 계속될 미생물들과의 전쟁

Chapter 6 자식은 어떻게 부모를 닮을까? | 멘델과 고전유전학의 발달
ㆍ생명의 씨앗은 부모 중 누가 품고 있을까? 
ㆍ오스트리아의 수도사, 유전 연구를 위해 완두콩을 키우다
ㆍ멘델의 유전 법칙을 새롭게 발견하다 
ㆍ멘델, 노력과 통찰력으로 ‘유전학의 아버지’가 되다 

Chapter 7 유전 물질의 정체를 밝혀라! | DNA의 역할과 구조의 발견
ㆍ핵산과 단백질 중 유전 물질은 어느 쪽일까? 
ㆍ생물학과 화학이 함께 유전 물질의 정체를 밝히다 
ㆍ왓슨과 크릭, DNA의 구조를 알아내다
ㆍ과학자들의 교류가 새로운 과학 지식을 탄생시키다 

참고 자료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