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 지은이 : 이현민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 지은이 : 이현민
  • ·발행사항 서울 : 솔과학, 2018
  • ·형태사항 184 p.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7124313  93300 : \13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3  듀이십진분류법-> 306  
  • ·주제명 대중 문화[大衆文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이현민 2018 SE0000393570 331.53-18-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이현민 2018 SE0000393571 331.53-18-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4 ㆍ 서문
제 1 장  이슈로 보는 대중문화
12 ㆍ 추억 소환의 묘미, 복고
15 ㆍ 복고문화의 인기, 대중을 향한 위로의 메시지
18 ㆍ 대중 예술의 표현과 예술가의 책임 의식
21ㆍ ‘증거중독’과 ‘도덕성’의 관계
24 ㆍ 직장인 코드가 각광 받는 이유, 공감과 위로의 웃음을!
27 ㆍ 백세시대의 혼자남녀, 범람하던 펫방ㆍ집방의 현주소는?
30 ㆍ 노벨문학상, 밥 딜런 수상의 의미
33 ㆍ 한국형 판타지물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
36 ㆍ 정치와 예능, 예능과 정치
39 ㆍ 문송한 현실 속 인문학의 재발견
42 ㆍ 욜로YOLO 열풍, 자기만족과 현실도피 사이
45 ㆍ 혁신인가 교란인가 GD의 USB 음반과 넷플렉스
48 ㆍ 마녀사냥의 장으로 변질된 개인 SNS
51 ㆍ 공중파 파업에도 시청자들이 불편하지 않은 이유

제 2 장 TV 예능으로 보는 대중문화
56 ㆍ B급 코드와 욕망의 만남, 문화콘텐츠의 새 트렌드를 열다
59 ㆍ Mnet {음악의 신2}와 {쇼미더 머니 5}의 인기가 증명하는 것
62 ㆍ 인디음악이 대중문화의 중심에 서는 순간
65 ㆍ 이케아 세대를 위한 예능 프로그램? 현실과의 괴리감만...
68 ㆍ ‘히트’상품. ‘킬러콘텐츠’인가? ‘킬링콘텐츠’인가?
71 ㆍ 냉장고 주인들은 왜 분노받이가 되어야 하나?
75 ㆍ 본분 올림픽? 미디어가 부추기는 폭력적인 시선
78 ㆍ {꽃청춘 청춘} 착함의 딜레마? 변화 없는 포맷은 외면 받을 수밖에
81 ㆍ 시즌제와 스핀오프의 유혹, 시청자들이 견뎌야할 식상함은?
84 ㆍ 정치 선동으로 전락한 영화, 대중들은 피곤하다
87 ㆍ 가족 관찰 예능은 왜 불편한가?
90 ㆍ 김생민의 스투핏에 열광하는 이유

제 3 장 영화로 보는 대중문화
94 ㆍ 역사가 남긴 상흔을 안고 살아가다, {5일의 마중}, 그리고 {1987}
97 ㆍ 최고작품상 {내부자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나
100 ㆍ 영화 {라라랜드}가 대한민국에 전해준 메시지
103 ㆍ ‘룸’ 보다 더욱 숨막히는 자유, 사랑으로 다시 채울 수 있을까?
106 ㆍ {버드맨}, 초능력에 투영된 불안한 자아 찾기
109 ㆍ {보이후드}, 인생 자체가 기-승-전-결
113 ㆍ {비긴어게인}, 관객이 원하지 않은 결말. 그 이유는?
116 ㆍ {위플래쉬Whiplash} , 분노는 당신의 실력을 살찌우게 하리니
119 ㆍ {장고-분노의 추적자}, 의미작용의 미스커뮤니케이션
122 ㆍ {황금시대}, 자서전 같은 샤오홍의 삶

제 4 장 디지털시대로 보는 대중문화
126 ㆍ 수동적 콘텐츠 소비는 가라! 능동형 대중의 진화
129 ㆍ 뉴스, 대중 유혹의 기술이 초래한 악순환
132 ㆍ 성숙한 미디어문화를 위한 선행 조건은?
135 ㆍ SNS는 논란을 타고 때와 장소를 가릴 줄 아는 미덕
138 ㆍ 더 얕고, 더 빠르게?! 그 밑바탕은 역시 실력과 진정성
141 ㆍ 자기 자신이 모두 드러나는 세계
144 ㆍ 잊혀질 권리? 디지털 시대의 숙명
147 ㆍ 창조경제와 4차혁명의 차이?
150 ㆍ 자연스러움이 주는 대중적 공감대

제 5 장 한중 문화콘텐츠로 보는 대중문화
154 ㆍ 문화 원형, 새로운 문화콘텐츠 시장의 확장
157 ㆍ 중국 비즈니스가 연예인들에게 심어 준 환상
160 ㆍ 대중국 의존도가 한국 콘텐츠 시장에 미치는 영향
164 ㆍ 태양의 후예, 중국에 의한, 중국을 위한 사전제작?
167 ㆍ {엽기적인 그녀2}의 실패, 한중공동제작의 책임의식
170 ㆍ 중국의 한류 콘텐츠 제재, 한국 콘텐츠 시장의 미래는?
173 ㆍ 아이돌 콘서트가 한국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176 ㆍ 웹 드라마 시장의 성장과 한중 합작
179 ㆍ 콘텐츠 시장의 변화, 한국PD의 중국진출과 사드 직격타
182 ㆍ 사드 후폭풍, 우리 문화콘텐츠시장의 대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