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지리학자의 국토읽기 : 역사·정치·경제·관광·사회 다섯 가지 주제로 읽는 국토 이야기 / 정은혜,손유찬 지음
지리학자의 국토읽기 : 역사·정치·경제·관광·사회 다섯 가지 주제로 읽는 국토 이야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지리학자의 국토읽기 : 역사·정치·경제·관광·사회 다섯 가지 주제로 읽는 국토 이야기 / 정은혜,손유찬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푸른길, 2018
  • ·형태사항 340 p. :천연색삽화, 지도 ;26 cm
  • ·주기사항 권중부록: 상처 입은 나비로 돌아오다, '소녀상' 등
    참고문헌(p. 324-332)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914412  9398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81.1  듀이십진분류법-> 915.19  
  • ·주제명 국토[國土]지리 역사[地理歷史]한국 지리[韓國地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정은혜,손유찬 지음 2018 SE0000382961 981.1-18-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정은혜,손유찬 지음 2018 SE0000396479 981.1-18-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정은혜,손유찬 지음 2018 SE0000396480 981.1-18-3=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부 역사를 통한 국토읽기
 제1장 삼국시대와 조선시대의 유구한 흔적 
 1. 고조선의 고토를 관리하다, 고구려의 도시 ‘평양’/
2. 찬란함에서 쓸쓸함으로 남다, 백제의 도시 ‘부여’/
3. 천년의 역사가 살아 숨 쉬다, 신라의 도시 ‘경주’/
4. 계층을 반영한 수도를 건설하다, 조선의 도시 ‘서울’
 제2장 일제강점기의 슬픈 투영
 1. 미쓰비시의 상징, 인천 ‘부평 삼릉마을’/2. 아픈자들의 아우슈비츠 수용소, 고흥 ‘소록도’/
3. 권력의 힘겨루기 투영 공간, 서울 ‘서대문형무소’
 부록 1: 상처 입은 나비로 돌아오다, ‘소녀상’

제2부 정치·경제를 통한 국토읽기
 제3장 국토를 보전하다
 1. 주권회복의 첫걸음, ‘독도’와 ‘동해’/2. 분단이라는 이름의 흔적, ‘비무장지대’
 제4장 자연과의 타협을 도모하다
 1. 녹차 클러스터로의 급부상, ‘보성’/2. 대게의 고장, ‘울진’과 ‘영덕’
 제5장 노동자의 땀으로 일구어 내다
 1. 해오름 동맹의 산업도시, ‘울산’과 ‘포항’/2. 정부정책에 따른 지역의 변화, ‘태백’과 ‘정선’
 제6장 최첨단을 달리다
 1. 3차에서 4차 산업혁명의 공간으로, 강남 ‘테헤란밸리’/
2. 우주 산업의 실현 가능성 모색, 고흥 ‘나로 우주센터’
 부록 2: 진보의 성지가 된 농촌마을, 김해 ‘봉하마을’

제3부 관광을 통한 국토읽기
 제7장 현실과 가상의 경계
 1. 영화와 만화의 도시, ‘부산’과 ‘부천’/2. 드라마의 도시, ‘춘천’과 ’가평’/
3. 디즈니피케이션의 실현, 테마파크: ‘롯데월드’와 ‘에버랜드’
 제8장 과거와 현재의 공존
 1. 외유내강, 전주 ‘한옥마을’/2. 풍부한 전통문화의 메카, ‘안동’/3. 찻길에서 공중공원으로, ‘서울로 7017’
 제9장 자연적인 것과 의도적인 것
 1. 다양성과 복잡성의 특성화지구, 인천 ‘월미관광특구’/2. 근대사의 음영이 서린 계획도시, ‘군산’/
3. 놀멍·쉬멍·걸으멍, 제주 ‘올레길’
 부록 3: 소규모의 한류 체험관, 롯데월드타워의 ‘스타 에비뉴’

제4부 사회적 쟁점(issue)을 통한 국토읽기
 제10장 다문화 사회에 대한 친근감: 수렴적 시선
 1. 이국적인 펜션촌, 남해 ‘독일마을’과 ‘미국마을’/2. 강남의 쁘띠 파리, 서울 ‘서래마을’/
3. 샐러드 볼, 서울 ‘이태원’
 제11장 다문화 사회에 대한 거리감: 배타적 시선
 1. 국경 없는 마을, 안산 ‘원곡동’/2. 옌볜 조선족 타운, 서울 ‘가리봉동’
 제12장 소수사회를 향한 단편적 시선
 1. 양재대로가 갈라놓은 빈부의 격차, ‘구룡마을과 타워팰리스’/
2. 젊음과 대조를 이루는 노인의 공간, ‘탑골공원 및 종묘공원 주변’/
3. 밝게 빛나는 붉은 불빛 아래, ‘청량리와 영등포 사창가’
 부록 4: 어두운 극장에서 확 트인 광장으로, ‘성소수자들의 공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