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변화하는 선교 : 선교신학의 패러다임 전환 / 데이비드 J. 보쉬 지음 ;김만태 옮김
변화하는 선교 : 선교신학의 패러다임 전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변화하는 선교 : 선교신학의 패러다임 전환 / 데이비드 J. 보쉬 지음 ;김만태 옮김
  • ·판사항 제3판
  • ·발행사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2017
  • ·형태사항 855 p. ;26 cm
  • ·주기사항 원표제:Transforming mission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원저자명: David J. Bosch
    참고문헌: p. 804-855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4116486  93230 : \4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235.6  듀이십진분류법-> 266  
  • ·주제명 선교(종교)[宣敎]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데이비드 J. 보쉬 지음 ;김만태 옮김 2017 SE0000375173 235.6-18-3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변화하는 선교 17
추천사 - 박기호 박사, 김영동 박사, 문상철 박사 5
기념사 - 제럴드 앤더슨 박사 8
저자서문 10
역자서문 13
약어표 14
서론 위기 속에 있는 선교 26
1. 위험과 기회 사이에서
2. 광의의 위기
3. 선교의 기초, 목표와 성격
4. 확신에서 불안으로
5. 선교학의 다양성
6. 선교: 잠정적 정의
제1부 신약성경의 선교 모델 43
제1장 선교 문서로서의 신약성경 44
1. 신학의 어머니
2. 구약성경에서의 선교
3. 성경과 선교
4. 예수와 이스라엘
5. 모두를 포괄하는 선교
6. 그리고 이방인들?
7. 예수의 인격과 사역의 주요한 특징들
1) 예수와 하나님의 통치
2) 예수와 율법(토라)
3) 예수와 그의 제자들
4) 부활의 관점에서 본 선교
8. 초기 기독교 선교
9. 예수와 초대교회의 선교 사역
10. 초대교회가 실패한 부분
11. 대안들이 있었는가?
제2장 마태복음: 제자삼기로서의 선교 107
1. “대위임령”?
2. 마태와 그의 공동체
3. 마태복음의 모순들
4. 마태와 이스라엘
5. 마태와 “모든 민족들”
6. 마태복음의 핵심 개념들
7.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8. 산상수훈
9. 하나님의 통치와 정의-의
10. “제자를 삼으라...”
11. 예수를 본받아 그러나...
12. 마태의 패러다임: 선교적 제자도
18 변화하는 선교 변화하는 선교 19
제4장 바울의 선교: 종말론적 공동체로의 초대 212
1. 첫 선교사: 첫 신학자
2. 바울의 회심과 소명
3. 바울의 선교 전략
1) 대도시 선교
2) 바울과 그의 동역자들
3) 바울의 사도적 자기인식
4. 바울의 선교 동기
1) 관심
2) 책임감
3) 감사의 마음
5. 선교와 하나님의 승리
1) 묵시적인 바울
2) 기독교회와 묵시
3) 묵시의 새 중력 중심
4)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생활
5) 열방의 예루살렘 순례
6) 바울의 보편주의
7) 묵시와 윤리
6. 율법, 이스라엘, 이방인들
1) 바울과 유대주의
2) 율법의 기능
3) 무조건적인 수용
4) 회개하지 않는 이스라엘의 문제
5) 로마서 9-11장
제3장 누가복음-사도행전: 용서 및 가난한 자들과의 연대감의 실천 151
1. 누가의 중요성
2. 누가복음-사도행전에서의 유대인, 사마리아인, 이방인
1)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차이점
2) 누가복음 4:16-30에서의 이방인 선교
3) 사마리아인들과의 만남
4) 누가의 “대위임령”
5) 누가복음의 유대적 성격
6) 예루살렘
7) 첫째는 유대인들에게 둘째는 이방인들에게
8) 이스라엘의 나뉨
9) 비극적인 이야기
3. 가난한 자들과 부자들을 위한 복음
1) 누가복음에서의 가난한 자들
2) 그리고 부자는?
3) 나사렛 예수
4) 부자들의 전도자?
5) 모두 회개해야 한다
4. 누가복음-사도행전에서의 구원
5. 복수는 더 이상 없다!
1) 설명할 수 없는 변화
2) 1세기에서의 이사야서 61장
3) 복수는 대치되었다!
6. 누가의 선교 패러다임
20 변화하는 선교 변화하는 선교 21
7. 교회: 중간기의 종말론적 공동체
1) 바울의 에클레시아
2) 세례와 장벽들의 초월
3) 세상을 위하여
8. 바울의 선교 패러다임
제2부 선교의 역사적 패러다임들 303
제5장 선교의 패러다임 변화들 304
1.여섯 시대
2.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이론
3. 신학에서의 패러다임 이동
4. 선교학에서의 패러다임들
제6장 동방교회의 선교 패러다임 317
1.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며”
2. 교회와 그 상황
3. 교회와 철학자들
4. 종말론
5. 영지주의
6. 동방 신학에서의 교회
7. 비로마권 아시아에서의 선교
8. 교부와 정교회 선교 패러다임
9. 첫 번째 패러다임 이동: 과도기적 균형
제7장 중세 로마가톨릭 선교 패러다임 352
1. 변화된 상황
2. 구원의 개인화
3. 구원의 교회화
4. 교회와 국가 사이의 선교
5. 간접적이고 직접적인 “선교 전쟁들”
6. 식민주의와 선교
7. 수도원주의 선교
8. 중세 패러다임: 평가
제8장 개신교 종교개혁 선교 패러다임 388
1. 새로운 운동의 성격
2. 종교개혁자들과 선교
3. 루터파 정통주의와 선교
4. 경건주의의 발흥
5. 제2의 종교개혁과 청교도주의
6. 종교개혁 패러다임의 양면성
제9장 계몽주의 이후의 선교 424
1. 계몽주의 세계관의 특징들
2. 계몽주의와 기독교 신앙
3. 계몽주의의 거울 속에 있는 선교
1) 교회와 국가
2) 갱신의 동력들
3) 제2차 대각성 운동
22 변화하는 선교 변화하는 선교 23
4) 19세기
5) 20세기
4. 계몽주의 시대의 선교 주제들
1) 하나님의 영광
2) “예수의 사랑에 강권함을 받아”?
3) 복음과 문화
4) 선교와 명백한 사명
5) 선교와 식민주의
6) 선교와 천년왕국
7) 자발주의
8) 선교 열정, 낙관주의와 실용주의
9)성경적 주제
5. 근대적 선교의 동기들과 주제들
제3부 적절한 선교신학을 향하여 543
제10장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의 출현 544
1. 근대 시대의 끝
2. 계몽주의에 대한 도전
1) 이성의 확장
2) 주체와 객체의 구조를 넘어서
3) 목적론적 차원의 재발견
4) 진보 사고에 대한 도전
5) 신탁의 틀(fiduciary framework)
6) 훈계 받은 낙관주의
7) 상호 의존을 향하여
제11장 시험 중에 있는 선교 565
제12장 부상하는 에큐메니칼 선교 패러다임의 요소들 572
1. 타자와 함께하는 교회로서의 선교
1) 교회와 선교
2) 선교 이해의 변화
3) “본래적으로선교적”
4) 하나님의 순례하는 백성
5) 성례, 표적과 도구
6) 교회와 세상
7) 지역교회의 재발견
8) 창조적인 긴장
2. 하나님의 선교로서의 선교
3. 구원의 매개로서의 선교
1) 구원에 대한 전통적 해석
2) 근대 패러다임 속에서의 구원
3) 구원에 대한 근대적 이해 속에 있는 위기
4) 포괄적 구원(Comprehensive Salvation)을 향하여
4. 정의 추구로서의 선교
1) 역사의 유산
2) 정의와 사랑 간의 긴장
3) 두 가지 명령
24 변화하는 선교 변화하는 선교 25
4) 확신들의 수렴
5. 복음 전도로서의 선교
1) 복음 전도: 수많은 정의들
2) 복음 전도에 대한 건설적인 이해
6. 상황화로서의 선교
1) 상황화 신학의 기원
2) 인식론적 전환
3) 상황화의 모호성
7. 해방으로서의 선교
1) 개발에서 해방으로
2) “하나님의 가난한 자들을 위한 편애적 선택”
3) 자유주의 신학과 해방신학
4) 막스주의와의 관련성
5) 완전한 해방
8. 문화화로서의 선교
1) 수용과 토착화의 변쳔
2) 20세기의 진전
3) 문화화로의 발전
4) 문화화의 한계
5) 교차문화화(Interculturation)
9. 공동 증거로서의 선교
1) 선교에서의 에큐메니칼 사상의 (재)탄생
2) 가톨릭, 선교, 그리고 교회일치운동
3) 선교 속에서의 일치(unity in mission), 일치 속에서의 선교(mission in unity)
10. 하나님의 전체 백성의 사역으로서의 선교
1) 성직 사역의 발전
2) 평신도의 사도직
3) 사역의 형태
11. 타종교인들에 대한 증거로서의 선교
1) 변화의 국면
2) 포스트모던적 반응들?
3) 대화와 선교
12. 신학으로서의 선교
1) 소외된 선교
2) 선교신학에서 선교적 신학(Missionary Theology)으로
3) 선교학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13. 희망의 행위로서의 선교
1) 닫힌 “종말론 사무실”
2) 종말론적 지평의 희석화
3) 다시 열린 “종말론 사무실”
4) 선교의 극단적인 종말론화
5) 구원으로서의 역사
6) 창조적 긴장 속에 있는 종말론과 선교
제13장 다양한 형태의 선교 789
1. 모든 것이 선교인가?
2. 선교하는 교회의 얼굴들
3. 선교는 어디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