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블록체인의 미래 : 금융·산업·사회는 어떻게 바뀌는가 / 오키나 유리,야나가와 노리유키,이와시타 나오유키 편저 ;이현욱 옮김
블록체인의 미래 : 금융·산업·사회는 어떻게 바뀌는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블록체인의 미래 : 금융·산업·사회는 어떻게 바뀌는가 / 오키나 유리,야나가와 노리유키,이와시타 나오유키 편저 ;이현욱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한스미디어 :한즈미디어, 2018
  • ·형태사항 410 p. :삽화, 도표 ;23 cm
  • ·주기사항 원표제:ブロックチェーンの未来 :金融・産業・社会はどう変わるのか
    원저자명: 翁百合, 柳川範之, 岩下直行
    권말부록: 미래연표: 블록체인의 비전 ; '더 다오 해킹 사건'과 '비트파이넥스 해킹 사건'에서 얻은 시사점 ; 블록체인 용어 해설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072372  13320 : \16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412  듀이십진분류법-> 303.483  
  • ·주제명 블록 체인[Block chain]사회 변동[社會變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오키나 유리,야나가와 노리유키,이와시타 나오유키 편저 ;이현욱 옮김 2018 SE0000375172 331.5412-18-17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오키나 유리,야나가와 노리유키,이와시타 나오유키 편저 ;이현욱 옮김 2018 SE0000392229 331.5412-18-1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오키나 유리,야나가와 노리유키,이와시타 나오유키 편저 ;이현욱 옮김 2018 SE0000392230 331.5412-18-17=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블록체인으로 사회는 어떻게 변할까
블록체인에 대한 기대와 과제:

제1장 블록체인의 특징과 장점
01 블록체인의 구조: 중요한 콘셉트와 철학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거래 데이터를 복수의 참가자에게 분산해서 관리한다
참가자 간의 합의:
참가자들은 거래 데이터의 정합성에 대해 어떻게 합의하는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거래:
국경을 넘나드는 돈과 상품의 거래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
02 블록체인의 분류: 참가자를 한정하는가, 한정하지 않는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무허가형
관리자의 허가가 필요한 허가형
03 장점

제2장 블록체인의 활용 예
01 증가하는 가상화폐의 시가총액
가상화폐와 법정화폐
가상화폐의 다양한 적용 영역
02 정부의 플랫폼에 활용
[활용 예1] 가드타임의 에스토니아 전자정부에 대한 기여
03 금융거래와 상거래의 인프라 제공
[활용 예2] 펀더빔의 스타트업 기업 투자자금 모금과 유동화
[활용 예3] 에버레저의 다이아몬드 거래

제3장 블록체인을 사회기반으로 만들기 위해
01 블록체인의 과제
더 다오를 둘러싼 문제와 시사점
02 블록체인은 앞으로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적 서비스의 실현
거래 이력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금융 비즈니스 거래의 효율화
03 블록체인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제언1 [정부는 앞으로의 디지털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관민이 힘을 모아 과제 공유·연구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제언2 [정부는 국제적인 관점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해하고 직접 도입·검토해야 한다]
제언3 [정부는 민간기업이 혁신을 추진하기 쉽도록 환경을 정비해야 한다]
제언4 [민간기업은 시스템의 개방화·표준화를 추진해야 한다]

제2부 블록체인으로 금융은 어떻게 변할까
비트코인으로 촉발된 금융업계의 새로운 경쟁
비트코인 탄생 이전의 전자현금
왜 비트코인은 ‘성공’했는가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
블록체인 2.0과 더 다오 사건
블록체인과 중앙은행
금융기관의 블록체인 기술 이용

제4장 가상화폐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01 비트코인의 시작: 2008년 10월, 9쪽의 논문에서 시작된 비트코인
02 제네시스 블록: 비트코인 거래의 시작
03 비트코인 거래의 시작에서 현재까지
04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의 발전 가능성
05 DAO로 국가가 성립되는 ‘비트네이션’이 실현되다
06 앞으로의 전망

제5장 블록체인 기술/분산원장기술을 둘러싼 은행계의 대응
01 블록체인 기술/DLT의 활용 가능성을 둘러싼 국내외 검토 상황
02 은행 분야의 블록체인 기술/DLT의 활용 가능성과 과제
(1)활용의 이점
(2)활용의 과제와 유의점
(3)은행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착안점
03 블록체인 기술/DLT가 은행 업무에 혁신을 가져올 가능성을 생각하며
‘블록체인 관민 연계 이니셔티브’의 개요
04 앞으로의 전망

제6장 은행 계정계 시스템의 블록체인 실증실험: 성과와 과제
01 실증실험의 개요
02 부하와 조작에 관한 내성 검증
03 비용 대비 효과 검증
04 주변 애플리케이션 기능 개발에 과제가 있다
05 성과와 과제
06 복수 은행의 공동 운영으로 전체 비용을 감축
07 앞으로의 전망

제7장 중앙은행에서 본 블록체인
01 중앙은행의 세 가지 시점
02 비트코인의 확대와 ‘화폐’로서의 기능
03 새로운 IT 기반으로서의 블록체인의 가능성

제8장 가상화폐·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금융청의 대응
01 가상화폐 규제의 개요
(1)규제의 배경
(2)가상화폐의 정의
(3)가상화폐교환업의 정의
(4)규제의 개요
(5)범죄수익이전방지법 개정
02 한발 더 나아간 개혁을 위하여

제9장 핀테크의 과제와 대응의 방향성에 대하여
01 바람직한 핀테크 사회의 모습
(1)개인 생활(가계)의 극적인 변화
(2)기업 수익력의 극적인 향상(생산성 혁명)
02 정책의 방향성
(1)핀테크 사회의 전제가 되는 데이터 유통 환경 정비
(2)핀테크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자정부의 촉진
(3)중소기업 등의 핀테크 활용 추진
(4)혁신을 촉진하는 제도 설계
03 블록체인에 대한 검토

제3부 산업 인프라로서의 블록체인의 가능성
블록체인 기술에는 어떤 응용 가능성이 있는가
01 블록체인은 무엇이 새로운가: 응용의 시점
포인트는 조작되지 않는 기록을 남기는 것
정보의 비대칭성을 줄인다
거래기록을 남기는 비즈니스 모델
행정과 정부의 응용
02 스마트 계약이 변화시킨 블록체인의 세계
스마트 계약이란?
스마트 계약의 정의
중개 서비스의 자동화

제10장 증권 거래의 실증실험과 스마트 계약: 성과와 과제
01 미니 증권 인프라를 3개월간 2개 만들다
02 스마트 계약은 애플리케이션인가?
03 마찰이 없는(frictionless) 세계로
04 기술적인 도전: 기술자에 대한 기대
(1)예상 밖의 난관
(2)분산형 아키텍처의 약점
(3)범용고급언어인가, 전용언어인가
05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생각해야 할 지점
(1)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
(2)복층화와 연계
06 앞으로의 전망: 기술은 사회를 위해서

제11장 에버레저, 다이아몬드 시장에 도전
01 다이아몬드 산업의 특수성
02 다이아몬드와 블록체인의 만남
03 사업의 혁신성
(1)원장 시스템
(2)비즈니스 모델
(3)확장성 문제
04 사회적 의의와 앞으로의 전망

제12장 IoT를 활용한 블록체인의 발전 가능성
01 블록체인을 IoT에 적용한 장점
(1)높은 신뢰성으로 상품 정보를 축적·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2)현실 세계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자동화
(3)모든 것을 빌트인
02 현실 세계와 접점이 생기기 시작한 블록체인
(1)현실 세계의 상품과 디지털 기록의 대응 관계를 강화
(2)상거래 자동화에 응용
(3)개인이 생산자 겸 소비자가 되는 비즈니스 생태계에 응용
03 블록체인의 IoT 적용에 관한 과제
04 IoT와 블록체인의 미래
(1)다양한 서비스의 효율화·자동화를 촉진하고 스마트 사회로 나아가다
(2)개인이 기업과 대등하게 연계될 수 있는 시대로
(3)복수의 블록체인, 클라우드와 어떻게 연계해갈 것인가

제13장 경제학으로 본 스마트 계약: 불완비 계약과의 관계에 대하여
01 스마트 계약은 조직을 변화시킬까?
경제학의 계약과 조직
스마트 계약과 조직
경제학의 기업 조직
경제학의 관점에서 본 스마트 계약
02 계약과 조직의 시점에서 본 스마트 계약
기업 조직은 왜 필요한가
코스에 대한 이해
계약의 불완비성과 조직
계약의 불완비성이 생기는 이유
03 스마트 계약에 대한 함의
이행 비용의 저하
스마트 계약의 한계
조직 공존의 가능성과 과제

제14장 스마트 계약의 법적 측면에 대하여
01 스마트 계약이란
02 ‘스마트 계약을 분산원장기술로 실현한다’는 의미
(1)분산원장기술의 특성
(2)프로그램화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03 법적인 검토
04 계약의 성립
05 계약서의 진정 성립
06 ‘이행가능성’에 관한 사항 중 자산의 귀속과 득실에 관한 논점에 대하여
(1)장부 기재와 자산 귀속의 관계
(2)집행가능성에 관한 논의와의 관계
(3)검토
07 분산원장기술을 사용한 스마트 계약의 전망

제15장 실리콘밸리에서 본 블록체인의 잠재성과 과제
01 기술혁신과 벤처기업의 급성장을 뒷받침하는 실리콘밸리의 비즈니스 생태계
파괴적인 기술과 미국
실리콘밸리와 파괴적인 비즈니스 모델, 기술
02 미국의 블록체인의 동향
(1)기존의 대기업
(2)블록체인 관련 스타트업 기업
03 블록체인이 파괴적인 기술이 되기 위한 과제
(1)기술적인 필요성
(2)실리콘밸리에서 기세가 꺾인, 아직 잘 보이지 않는 급성장 비즈니스 논리
04 앞으로의 전망

제16장 에스토니아 전자정부에 대하여
01 IT 선진국 에스토니아
(1)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국가
(2)유명한 스타트업 기업을 배출
02 에스토니아 전자정부의 구체적인 움직임
(1)국민 ID 번호의 유효한 활용으로 각종 절차의 효율화·저비용화를 실현
(2)교육 현장에서의 국민 ID 활용: e-School
(3)e-Police 도입으로 검거 효율 50배 향상
(4)e-Health 도입으로 병원의 대기 시간이 1/3로 단축, 처방전의 99%가 전자화
(5)각 부처 간의 데이터베이스를 상호 연계한 엑스로드
(6)정부가 보관하는 국민의 개인정보를 대폭 줄인다
(7)자국민 이외에도 IT 기반을 폭넓게 세계에 개방하여 스타트업 기업을 유치
03 가드타임의 에스토니아 전자정부에 대한 기여
(1)국가기관 수준으로 데이터 조작을 검지하는 KSI 블록체인
(2)비트코인은 국가의 데이터 관리에 부적절
04 목표는 보이지 않는 정부
(1)서비스의 철저한 간소화
(2)민간기업과 이용자의 ICT 기반 활용을 정부가 지원
05 각국 정부에 주는 시사점

부록
01 미래연표: 블록체인의 비전
02 ‘더 다오 해킹 사건’과 ‘비트파이넥스 해킹 사건’에서 얻은 교훈
03 블록체인 용어집